송악구 (도시 프로젝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도시 프로젝트 도시정보 | 너비 = | 테두리 색 = #000 | 상위 상징 = 30px | 상위 지역 = 개성부 (도시...)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도시 프로젝트 도시정보
{{도시 프로젝트 도시정보
| 너비 =  
| 너비 = 400px
| 테두리 색 = #000
| 테두리 색 = #000
| 상위 상징 =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30px]]
| 상위 상징 = [[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28px]]
| 상위 지역 = [[개성부 (도시 프로젝트)|개성부]]
| 상위 지역 = [[개성부 (도시 프로젝트)|개성부]]
| 국기 =  
| 국기 = [[대한민국 국기.png|28px]]
| 국가 =  
| 국가 = [[대한민국 (도시 프로젝트)|대한민국]]
| 지위 = 자치구
| 지위 = 자치구
| 시 문장 =  
| 시 문장 =  
14번째 줄: 13번째 줄:
| 한자 이름 =  
| 한자 이름 =  
| 지도 그림 =  
| 지도 그림 =  
| 범례 너비 =  
| 범례 너비 = 35%
| 범례 배경 색 = #fff
| 범례 배경 색 = #fff
| 범례 글씨 색 = #000
| 범례 글씨 색 = #000
| 글자 정렬 =  
| 글자 정렬 = center
| 시청 소재지명 =  
| 시청 소재지명 =  
| 상위 행정구역명 = [[개성부 (도시 프로젝트)|개성부]]
| 상위 행정구역명 = [[개성부 (도시 프로젝트)|개성부]]
23번째 줄: 22번째 줄:
| 면적 =  
| 면적 =  
| 총 인구 = 312,226명
| 총 인구 = 312,226명
| 광역 인구 =
| 인구 밀도 =  
| 인구 밀도 =  
| 인종 구성 =
| 범례2 너비 = 35%
| 범례2 너비 =  
| 시장 소속 정당 = 무소속
| 시장 소속 정당 = 무소속
| 시장 =  
| 시장 = ■■■
| 의회 명칭 = 송악구의회
| 의회 명칭 = 송악구의회
| 여당1 =  
| 여당1 = 무소속
| 여당 의석1 =  
| 여당 의석1 =  
| 여당2 =  
| 여당2 =  
57번째 줄: 54번째 줄:
| 국회의원 소속 정당3 =  
| 국회의원 소속 정당3 =  
| 국회의원3 =  
| 국회의원3 =  
| 상원의원 소속 정당1 =  
| 민의원 소속 정당1 =
| 상원의원1 =
| 민의원1 = 무소속
| 하원의원 소속 정당1 =
| 민의원 소속 정당2 =
| 하원의원2 =  
| 민의원2 = 무소속
| 민의원 소속 정당1 =  
| 민의원1 =  
| 참의원 소속 정당1 =  
| 참의원 소속 정당1 =  
| 참의원1 =  
| 참의원1 =  
| 중의원 소속 정당1 =  
| 중의원 소속 정당1 =  
| 중의원1 =  
| 중의원1 =  
| 입법위원 소속 정당1 =
| 입법위원1 =
| 입법위원1 =
| 총 GDP =  
| 총 GDP =  
| 1인당 =  
| 1인당 =  

2022년 1월 7일 (금) 13:23 기준 최신판

}}
[[파일:28px|28px]] 개성부의 자치구
[[파일:|]] 송악구
songak District
국가
[[파일:28px|28px]] 대한민국
개성부
인구
총 인구
312,226명
시장
무소속 ■■■
송악구의회
여당
무소속
민의원
무소속
무소속
전화번호
032


개요

송악구는 개성부의 자치구이다.

역사

1953년 이전에는 개성시의 영역 전체가 현재 송악구 지역이었다.

1957년 개성시에 구제가 실시되면서 나온 5개 구 중 한 곳이다.

1995년 명칭을 중구에서 송악구로 개칭하였다.

지리

전체적으로 평지인 구시가지를 2차 순환도로와 산지가 둘러싸고 있는 분지 구조이다.

이름과 달리 송악산의 정상은 여기 없고 북구에 있다.

지역 특징

개성의 원도심이다.

교통

도시 중심부의 남대문 앞에서 1번 국도6번 국도가 각각 동서와 남북 방향으로 가른다.

금융

문화

정치

하위 행정구역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