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민주당: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성향)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7030A0; color:#000; max-width:55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7030A0; color:#000; max-width:550px;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
|-
! colspan="5" style="width:550px; background:#7030A0; color:#fff;" | 랑크 제국의 공화주의 정당
! colspan="5" style="width:550px; background:#7030A0; color:#fff;" | 랑크 제국의 민주당계, 공화주의 정당
|-
|-
| width=33% | [[정의민주당|{{글씨 색|#03B50B|제정파}}]]
| [[국민민주당 (랑크)|{{글씨 색|#00B8ED|국민민주당}}]]<br><small>(개별 합류)</small></br>
| rowspan="4" |→
| rowspan="4" |→
| rowspan="4" width=33% style="background:#7030A0;" |[[우리민주당|{{글씨 색|#fff|우리민주당}}]]
| rowspan="4" width=33% style="background:#7030A0;" |[[우리민주당|{{글씨 색|#fff|우리민주당}}]]
10번째 줄: 10번째 줄:
| rowspan="4" |''현재''
| rowspan="4" |''현재''
|-
|-
| [[국민공화당|{{글씨 색|#ffffff|우리 국민의 황제}}]]
| 전진 2.0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7030A0; max-width:450px; float:right; color:#000;"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7030A0; max-width:450px; float:right; color:#000;"
25번째 줄: 26번째 줄:
|-
|-
! style="color:#7030A0;" | 창당
! style="color:#7030A0;" | 창당
| [[2020년]] [[3월 15일]]
| [[2020년]] [[1월 15일]]
|-
|-
! style="color:#7030A0;" | 선행 정당
! style="color:#7030A0;" | 선행 정당
31번째 줄: 32번째 줄:
|-
|-


! style="color:#7030A0;" | 당대표
! style="color:#7030A0;" | 비대위원장
| [[트리먼 러휘페스|러휘페스]] <sub>/ 상원 재선 (27~28대)</sub>
| 지메 루이번 <sub>/ 상원 3선 (27~29대)</sub>
|-
|-
! style="color:#7030A0;" | 상원 원내대표
! style="color:#7030A0;" | 상원 원내대표
55번째 줄: 56번째 줄: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16.20%, transparent 16.20%);" | '''81석 / 500석 (16.20%)'''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16.20%, transparent 16.20%);" | '''81석 / 500석 (16.20%)'''
|-
|-
! style="color:#7030A0;" | 광역자치단체
! style="color:#7030A0;" | 광역자치단체장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2.85%, transparent 2.85%);" | '''1석 / 35석 (2.85%)'''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2.85%, transparent 2.85%);" | '''1석 / 35석 (2.85%)'''
|-
|-
! style="color:#7030A0;" | 기초자치단체
! style="color:#7030A0;" | 기초자치단체장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0%, transparent 0%);" | '''석 / 석 (0%)'''</span>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0%, transparent 0%);" | '''석 / 석 (0%)'''</span>
|-
|-
! style="color:#7030A0;" | 식민자치주 지역단체
! style="color:#7030A0;" | 식민자치주 지역단체장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0%, transparent 0%);" | '''0석 / 10석 (0.00%)'''
| style="background-color:#aaaaaa; color:#fff;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30A0 0%, transparent 0%);" | '''0석 / 10석 (0.00%)'''
|-
|-
85번째 줄: 86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랑크]]의 민주주의,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공화주의계 정당이다.
[[랑크]]의 민주주의,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공화주의계 정당이다.
== 성향 ==
우리민주당의 스펙트럼 위치를 한 번에 딱 잘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시장자유주의, 보수주의 등 우익 성향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같은 보수 정당인 [[제정당 (랑크)|제정당]]과는 다르게 당 내 공화주의자도 여럿 존재하며, 공화주의에 상당히 우호적인 정당이다. 강령에는 명시하지는 않지만 결정적으로는 민주화를 통해 경제적 자유화와 자유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의회민주주의와 시민사회를 이루는 것이 목표이다. 친 황실 보수 유권자들이 제정당을 지지한다면, 황실에 적대감을 갖거나 민주정을 지지하는 보수 유권자는 우리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이다. 중도층에는 국민민주당보다 더 급진적인 정당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들의 역사는 과거 국민공화당에서부터 내려온다. 합당 이후 다시 분당되는 과정에서 이전 국민공화당 의원들이나 친공화당 인사들이 많이 우리민주당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국민공화당의 이념을 공유한다. 그러나 국민공화당 시절에 비하면 당의 크기가 현저히 쪼그라들었고, 국민 정당이라는 거대 정당 역할은 민주당과 공화당을 모두 흡수한 국민민주당이 가져갔기 때문에, 현재는 국민공화당 시절보다는 정책의 여러 면에서 덜 급진적인 태도를 보이고는 있다.
== 역사 ==
== 역사 ==
=== 국민민주당 탈당 사태 ===
=== 국민민주당 탈당 사태 ===
2019년 정의민주당과 국민공화당이 합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초반에는 모든 의원이 참여하고 대체로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약속과 달리 2020년 총선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을 공천에서 대거 배제하고 민주당쪽으로 의제를 유리하게 몰고가고, 국민민주당이 공화주의 보다는 입헌군주제로 사실상 군주정을 유지하는 쪽으로 노선을 정하자, 이에 대거 반발한 여러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총선에 불참하며 탈당했다. 국민민주당 합당 이후 사실상 정계에 공화주의 계파가 힘을 많이 잃은 상태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은 다시 공화주의 계열을 규합하려 했다. 민주당에서 대거 탈당 후 원외 인사를 모아 우리민주당을 창당하고, 공화주의 연대를 창설하여 총선에 참여하였다. 사실상 국민공화당의 부활로 보는 시각이 많다.
2018년 정의민주당과 국민공화당이 합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초반에는 모든 의원이 참여하고 대체로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약속과 달리 2020년 총선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을 공천에서 대거 배제하고 민주당 쪽으로 의제를 유리하게 몰고가고, 국민민주당이 공화주의 보다는 입헌군주제로 사실상 군주정을 유지하는 쪽으로 노선을 정했다. 이에 대거 반발한 여러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총선에 불참하며 탈당했다. 국민민주당 합당 이후 사실상 정계에 공화주의 계파가 힘을 많이 잃은 상태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은 다시 공화주의 계열을 규합하려 했다. 민주당에서 대거 탈당 후 원외 인사를 모아 우리민주당을 창당하고, 공화주의 연대를 창설하여 총선에 참여하였다. 사실상 국민공화당의 부활로 보는 시각이 많다.


다만 모든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우리민주당이 참여한 것은 아니다. 우리민주당 창당위에서 우리민주당이 우경화 되었으며, 기존 중도층, 온건파 중심의 국민공화당이 우익화되어 보수, 강경파 공화주의 정당으로 창당하였다. 기존 탈당파 좌익 인사들은 열린공화당이나 사회민주당에 합류하였으며, 웬만한 온건파 인사는 국민민주당이 잔류하였다. 따라서 명분은 충분하였으나 반쪽짜리 성공으로만 보는 경향이 많았다. 다만 우리민주당은 공화주의자들과 반제정당 보수 세력의 유권자의 표를 빠르게 흡수하여 세를 불려나갔으며, 2024년에는 연정에도 참여하며 확실한 제3정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다만 모든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우리민주당이 참여한 것은 아니다. 우리민주당 창당위에서 우리민주당이 우경화 되었으며, 기존 중도층, 온건파 중심의 국민공화당이 우익화되어 보수, 강경파 공화주의 정당으로 창당하였다. 기존 탈당파 좌익 인사들은 열린공화당이나 사회민주당에 합류하였으며, 웬만한 온건파 인사는 국민민주당이 잔류하였다. 따라서 명분은 충분하였으나 반쪽짜리 성공으로만 보는 경향이 많았다. 다만 우리민주당은 공화주의자들과 반제정당 보수 세력의 유권자의 표를 빠르게 흡수하여 세를 불려나갔으며, 2024년에는 연정에도 참여하며 확실한 제3정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제29대 랑크 상의회 선거]] ===
=== [[제28대 랑크 상의원 선거]] ===
2020년 총선 공천에서 반발하여 빠져나와 급하게 총선을 준비하여 입하였지만 생각보다 선전하는 결과가 나왔다.
 
=== [[제29대 랑크 상의원 선거]] ===
열린공화당과 빅텐트 연합을 이루어 [[민주열림]]을 창설하고 선거에 임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열린공화당과 빅텐트 연합을 이루어 [[민주열림]]을 창설하고 선거에 임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2025년 8월 1일 (금) 15:15 기준 최신판

랑크 국민 공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29대 상의회 제41·42대 평의회
페스처 내각 (세이콘 13년)
2024. 7. 5. -
연립 여당

국민민주당
83석 · 152석

급진사회개혁연합
5석 · 12석

우리민주당
40석 · 81석

랑크공산당
27석 · 18석
야당

제정당
108석 · 187석

랑크녹색당
8석 · 19석

열린공화당
8석 · 0석

사회민주당
7석 · 14석

진보연합
4석 · 4석

랑크사회당
4석 · 1석

국민돌격대
2석 · 3석

부흥!
0석 · 2석
무소속 4석 · 7석
재적 300석 · 500석
좌측은 상의회(상원) 의석 수, 우측은 평의회(하원) 의석 수
랑크 제국의 민주당계, 공화주의 정당
국민민주당
(개별 합류)
우리민주당 현재
전진 2.0
우리민주당
약칭 MAD
표어 진짜 보수의 진짜 민주당
창당 2020년 1월 15일
선행 정당 국민민주당
전진 2.0
비대위원장 지메 루이번 / 상원 3선 (27~29대)
상원 원내대표 크로퍼 / 상원 4선 (24대, 26대, 28~29대)
하원 원내대표 할테 / 하원 5선 (23대, 25대, 27~29대)
사무총장 스르퍼
이념 민주주의
공화주의
보수주의
자유주의
반군국주의
반공주의
스펙트럼 중도 우익 - 우익
상의회 40석 / 300석 (13.33%)
평의회 81석 / 500석 (16.20%)
광역자치단체장 1석 / 35석 (2.85%)
기초자치단체장 석 / 석 (0%)
식민자치주 지역단체장 0석 / 10석 (0.00%)
당색 공화의 힘 (#7030A0)
당가 나, 너, 우리, 새로운 랑크
당원수 약 196,352명
청년 조직 새시대민주당
국제 조직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개요

랑크의 민주주의,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공화주의계 정당이다.

성향

우리민주당의 스펙트럼 위치를 한 번에 딱 잘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시장자유주의, 보수주의 등 우익 성향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같은 보수 정당인 제정당과는 다르게 당 내 공화주의자도 여럿 존재하며, 공화주의에 상당히 우호적인 정당이다. 강령에는 명시하지는 않지만 결정적으로는 민주화를 통해 경제적 자유화와 자유민주주의를 실현하며, 의회민주주의와 시민사회를 이루는 것이 목표이다. 친 황실 보수 유권자들이 제정당을 지지한다면, 황실에 적대감을 갖거나 민주정을 지지하는 보수 유권자는 우리민주당의 핵심 지지층이다. 중도층에는 국민민주당보다 더 급진적인 정당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들의 역사는 과거 국민공화당에서부터 내려온다. 합당 이후 다시 분당되는 과정에서 이전 국민공화당 의원들이나 친공화당 인사들이 많이 우리민주당에 참여하였기 때문에, 사실상 국민공화당의 이념을 공유한다. 그러나 국민공화당 시절에 비하면 당의 크기가 현저히 쪼그라들었고, 국민 정당이라는 거대 정당 역할은 민주당과 공화당을 모두 흡수한 국민민주당이 가져갔기 때문에, 현재는 국민공화당 시절보다는 정책의 여러 면에서 덜 급진적인 태도를 보이고는 있다.

역사

국민민주당 탈당 사태

2018년 정의민주당과 국민공화당이 합당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초반에는 모든 의원이 참여하고 대체로 순종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약속과 달리 2020년 총선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을 공천에서 대거 배제하고 민주당 쪽으로 의제를 유리하게 몰고가고, 국민민주당이 공화주의 보다는 입헌군주제로 사실상 군주정을 유지하는 쪽으로 노선을 정했다. 이에 대거 반발한 여러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총선에 불참하며 탈당했다. 국민민주당 합당 이후 사실상 정계에 공화주의 계파가 힘을 많이 잃은 상태에서, 공화당 출신 인사들은 다시 공화주의 계열을 규합하려 했다. 민주당에서 대거 탈당 후 원외 인사를 모아 우리민주당을 창당하고, 공화주의 연대를 창설하여 총선에 참여하였다. 사실상 국민공화당의 부활로 보는 시각이 많다.

다만 모든 공화당 출신 인사들이 우리민주당이 참여한 것은 아니다. 우리민주당 창당위에서 우리민주당이 우경화 되었으며, 기존 중도층, 온건파 중심의 국민공화당이 우익화되어 보수, 강경파 공화주의 정당으로 창당하였다. 기존 탈당파 좌익 인사들은 열린공화당이나 사회민주당에 합류하였으며, 웬만한 온건파 인사는 국민민주당이 잔류하였다. 따라서 명분은 충분하였으나 반쪽짜리 성공으로만 보는 경향이 많았다. 다만 우리민주당은 공화주의자들과 반제정당 보수 세력의 유권자의 표를 빠르게 흡수하여 세를 불려나갔으며, 2024년에는 연정에도 참여하며 확실한 제3정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제28대 랑크 상의원 선거

2020년 총선 공천에서 반발하여 빠져나와 급하게 총선을 준비하여 입하였지만 생각보다 선전하는 결과가 나왔다.

제29대 랑크 상의원 선거

열린공화당과 빅텐트 연합을 이루어 민주열림을 창설하고 선거에 임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