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E CARRIER: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div style="background:#f5dcb7; border:0px; padding:0px 0px 0px 0px; margin:0px -17px 0px -17px; auto; box-shadow:0px 0px 4px #b0b0b0; color:#fff; font-size:14px; color:#ffffff; ">
{{보일제목:ICE CARRIER{{fs|14| : OVERLOAD}}}}
{{ICE CARRIER 대문}}
<div style="background:#f5dcb7; border:0px; padding:0px 0px 0px 0px; margin:-90px -17px 0px -17px; auto; box-shadow:0px 0px 12px #474747; color:#fff; font-size:14px; color:#ffffff; ">
{{nmi|ICE CARRIER Banner2.png}}
{{nmi|ICE CARRIER Banner2.png}}
</div>
</div>
<div style="background:#34495e; border:2px solid #141c24; padding:10px 25px 30px 25px; margin:30px -17px 0px -17px; auto; box-shadow:0px 0px 6px #88c2fc; color:#fff; font-size:14px; color:#ffffff; ">
<div style="background:#34495e; border:2px solid #141c24; padding:10px 25px 30px 25px; margin:0px -17px 0px -17px; auto; box-shadow:0px 0px 6px #88c2fc; color:#fff; font-size:14px; color:#ffffff; ">
<onlyinclude>{{#SWITCH:{{랜덤|10}}
|0 = {{fs|8|{{color|#fff|{{center|우리는 이 땅을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 잠시 기간을 연장 받았을 뿐이다.}}}}}}
|1 = {{fs|8|{{color|#fff|{{center|전쟁은 가장 먼저 사람을 죽이지 않는다. 진실을 죽인 뒤 시작된다.}}}}}}
|2 = {{fs|8|{{color|#fff|{{center|이 땅은 모든 이에게 풍요롭지만, 한 사람의 탐욕조차 감당할 수 없다.}}}}}}
|3 = {{fs|8|{{color|#fff|{{center|그들은 나무를 베고, 물고기를 잡고, 땅을 태우고 나서야 먹을 것이 없다며 불평할 것이다. 그들은 그동안 자신들의 목숨을 담보로 팔아넘겼다는 사실을 모른다.}}}}}}
|4 = {{fs|8|{{color|#fff|{{center|문명은 느리게 쌓인다. 무너지는데는 사흘이면 족하다.}}}}}}
|5 = {{fs|8|{{color|#fff|{{center|" 정부에서 나왔습니다. 도와드리러 왔습니다. "}}}}}}
|6 = {{fs|8|{{color|#fff|{{center|가장 지혜로운 자도 지금에 적응하지 못하면 살아남을 수 없다.}}}}}}
|7 = {{fs|8|{{color|#fff|{{center|낡은 현실을 부순다고 그 잿더미 위에 새로운 내일이 세워지는 건 아니다.}}}}}}
|8 = {{fs|8|{{color|#fff|{{center|질서와 혼돈을 뒤바꾸는데는 빵 한 상자면 족하다.}}}}}}
|9 = {{fs|8|{{color|#fff|{{center|역사는 승자를 기록한다. 그러나 살아남은 자들은 기록하지 않는다.}}}}}}
}}</onlyinclude>
{{구분선2}}
{{center|{{fs|15|'''" 최후를 막아섰던 장벽은 무너졌다. 이제, 우리는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 "'''}}}}
{{fs|5| }}
<div style="background:#34495e; border:0px; padding:0px 0px 0px 0px; margin:0px -17px 0px -17px; auto; box-shadow:0px 0px 12px #162029; color:#fff; font-size:14px; color:#ffffff; ">
{{nmi|ICE CARRIER SubBanner.png}}
</div>
<br>
현대에 접어든 인류 문명은 다시 한 번 유례 없는 대호황기를 맞이한 듯 보였다. 1996년, 크라스노비야르크의 붕괴로 수십 년에 걸친 장기 냉전이 그 막을 내리고 세계는 대립과 충돌로부터 해방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는 오래 가지 못했다. 세계는 풍요로움의 어두운 이면에 대해 끊임없이 외면해왔다. 2020년대, 풍요 속에 숨겨진 자원 고갈과 기후 변화가 그들의 목을 직접 죄여오기 전까지, 그들은 그저 우쭐하게 웃고 있었다.
 
2028년 클라크 제도에서의 대지진에서부터 자원 고갈은 예견된 문제였고, 이에 마땅한 대안이 부족한 상황에서 세계는 스스로를 지탱할 수 없었다. 대지진의 여파를 수습하기도 전에 균형을 잃은 세계는 점진적으로 붕괴의 초입에 접어들었다. 2030년대 초, 세계는 에너지 위기, 유가와 실업률의 폭등, 물류와 산업, 경제의 마비 속에 하나둘씩 침묵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2035년부터 중동 지역의 유전을 확보하기 위한 계약 전쟁 시대가 도래하였고, 2040년, 10년 간의 새로운 냉전과 분쟁, 그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각국은 태평양 제도 유전 지대를 확보하기 위해 다시 한번 전쟁에 뛰어들었다. 석유 전쟁의 서막이었다.
 
국가의 존폐를 건 총력전은 전 세계의 육지, 바다, 하늘을 가리지 않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태평양의 유전 대다수가 파괴되었고, 잿더미 위에서 이어져 온 무의미한 소모전 속에서 유지 능력을 상실한 각국은 개전 2년 만에 승리자 없이 전쟁을 급히 종결지었다. 전쟁은 끝났고, 세계는 멈추었다. 세계는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흔들렸고, 이 전례 없는 대침체 속에서, 그 누구도 재건을 확신하지 못하고, 그 누구도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그런 시대.
 
{{right|{{fs|14|지금은 2050년.}}<br>
모든 것이 멈춘 세계에서 전후 유일의 중립국이자, 극지의 망명자들, '''[[북련]]''' — 지금, 당신은 그곳에 있다.}}
[[분류:ICE CARRIER]]

2025년 7월 2일 (수) 15:28 기준 최신판



이 땅은 모든 이에게 풍요롭지만, 한 사람의 탐욕조차 감당할 수 없다.

" 최후를 막아섰던 장벽은 무너졌다. 이제, 우리는 어디로 향해야 하는가? "


현대에 접어든 인류 문명은 다시 한 번 유례 없는 대호황기를 맞이한 듯 보였다. 1996년, 크라스노비야르크의 붕괴로 수십 년에 걸친 장기 냉전이 그 막을 내리고 세계는 대립과 충돌로부터 해방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평화는 오래 가지 못했다. 세계는 풍요로움의 어두운 이면에 대해 끊임없이 외면해왔다. 2020년대, 풍요 속에 숨겨진 자원 고갈과 기후 변화가 그들의 목을 직접 죄여오기 전까지, 그들은 그저 우쭐하게 웃고 있었다.

2028년 클라크 제도에서의 대지진에서부터 자원 고갈은 예견된 문제였고, 이에 마땅한 대안이 부족한 상황에서 세계는 스스로를 지탱할 수 없었다. 대지진의 여파를 수습하기도 전에 균형을 잃은 세계는 점진적으로 붕괴의 초입에 접어들었다. 2030년대 초, 세계는 에너지 위기, 유가와 실업률의 폭등, 물류와 산업, 경제의 마비 속에 하나둘씩 침묵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2035년부터 중동 지역의 유전을 확보하기 위한 계약 전쟁 시대가 도래하였고, 2040년, 10년 간의 새로운 냉전과 분쟁, 그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각국은 태평양 제도 유전 지대를 확보하기 위해 다시 한번 전쟁에 뛰어들었다. 석유 전쟁의 서막이었다.

국가의 존폐를 건 총력전은 전 세계의 육지, 바다, 하늘을 가리지 않고 전개되었다. 그러나 태평양의 유전 대다수가 파괴되었고, 잿더미 위에서 이어져 온 무의미한 소모전 속에서 유지 능력을 상실한 각국은 개전 2년 만에 승리자 없이 전쟁을 급히 종결지었다. 전쟁은 끝났고, 세계는 멈추었다. 세계는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흔들렸고, 이 전례 없는 대침체 속에서, 그 누구도 재건을 확신하지 못하고, 그 누구도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그런 시대.

지금은 2050년.
모든 것이 멈춘 세계에서 전후 유일의 중립국이자, 극지의 망명자들, 북련 — 지금, 당신은 그곳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