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실용}}
| | #넘겨주기 [[오어]]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2px solid #3B83BD; float: right; width: 390px; font-size: 10pt;"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 #3B83BD; color: #ffffff" | '''<big>우어</big>''' <br/>Wu Language
| |
| |-
| |
| |-
| |
| | colspan="4" style="background-color:#FFFFFF; border:1px solid #FFFFFF; text-align: center; height: 100px;" | [[파일:우어분포.png]]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원어명칭'''
| |
| | colspan="2" | 吳語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서자방향'''
| |
| | colspan="2" | 죄횡서, 우종서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문자'''
| |
| | colspan="2" | [[한자]]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지역'''
| |
| | colspan="2" | [[중국 (동음이의)|중국]] 상하이, 저장성 일대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사용국가'''
| |
| | colspan="2" | [[파일:중화인민공화국국기.png|20px]] [[중국 (동음이의)|중국]]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원어민'''
| |
| | colspan="2" | 약 7700만여 명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계통'''
| |
| | colspan="2"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 |-
| |
| | colspan="2" style="color:#ffffff; background: #3B83BD; text-align: center;" | '''ISO 639-3'''
| |
| | colspan="2" | wuu
| |
| |-
| |
| |}
| |
| | |
| {{목차}}
| |
| ==개요==
| |
| {{youtube|zOb8s6GAj5E}}
| |
| '''우어''' 또는 '''오어'''는 중국 상하이와 저장성 일대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계통의 [[중국어|중국의 소수언어]]이다. 오어의 [[한자]]는 오어(吳語)인데 즉, '''오나라 말'''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오나라가 오어가 사용되는 저장성지역에 있었다.
| |
| | |
| 중국어의 다른 주요 방언이 한 성의 일부만을 차지하거나 여러 성에 걸쳐 있는 데 비해서 우어 지역의 경우는 저장 성 경계와 비교적 일치도가 높다. 따라서 '우어=저장 말'이라고 하는 도식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 |
| | |
| 그러나 저장 성 사람만 우어를 말하는 것은 아니고 서쪽으로 저장 성 경계를 넘어 안후이성, 장시성 일부에서도 사용되며 무엇보다도 저장 성과 가까운 장쑤 성 남부 난퉁(南通), 쑤저우(蘇州), 우시(無錫) 등의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장강을 기준으로 남쪽에 있는 장쑤성, 안후이성과 저장성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
| | |
| 한편 같은 우어라도 상하이 방언과 저장 성 남쪽 끝의 원저우 방언은 통역 없이 의사소통할 수 있는 관계가 아니다. 우어와 우어가 아닌 방언 사이에 통역 없이 의사소통이 안 되는 건 두말할 것도 없다.
| |
| | |
| ==글자==
| |
| 중국 내 우어화자는 [[한자]]를 쓴다. 그러나 관화나 광동어가 그렇듯 우어에서만 쓰이는 방언자가 수두룩하다.
| |
| | |
| 오어에서 사용되는 글자로는 “嘸”, “吤”, “𠮶”, “搿”, “咾”, “㑚”, “吇”, “朆”, “瀊”, "瀴", "嗰" 등이 있는데, "嗰", "朆", "瀴" 등 몇 개는 네이버 중국어 사전에서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 |
| | |
| 중국어 방언의 경우 입말을 입 구(口)자 변을 쓰는 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한자들은 표준중국어에서는 사실상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자 중 일부는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선(중국 대륙의 GB 2312나 대만의 Big5) 입출력도 안 된다.
| |
| | |
| ==상해어==
| |
| {{youtube|aGbIjLD9IIE}}
| |
| 上海話/上海话 혹은 上海閒話/上海闲话. 말 그대로 상하이 지역의 방언으로써 우어의 일부이다. 상하이가 국제적인 대도시인 만큼 해외에 가장 널리 알려진 우어 방언이기도 하다.
| |
| | |
| 상하이어의 음거성과 음입성은 다음절 언어에서 그 변별력을 상실해버리고 완전히 동일하게 발음된다. 그러므로 각 성모당 성조의 최소대립쌍은 2개밖에 없는 것이고(음성은 무성음, 양성은 유성음과만 결합하므로), 양성조의 경우 입성 여부는 뒤에 성문음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만 결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유성음은 성조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 |
| | |
| 그리고 표준중국어나 대만어와 마찬가지로 변조(變調, 성조의 변화)가 있는데, 양상이 전혀 다르다. 상해어에서는 단어나 구에서 맨 앞 음절만 본연의 성조를 유지하고 나머지 음절은 2번째 음절부터 마지막 음절까지 순차적으로 내려가는 형태를 띤다. 즉, 2음절부터는 본연의 성조가 완전히 무시되는 것이다.
| |
| | |
| | |
| ==여담==
| |
| 국민당의 [[장제스]]의 모어가 이 언어였다. 장제스의 중일전쟁 승리 축하 연설을 들어보면 표준중국어로 연설하지만 발음이 좋지 않은데 모어가 우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1990년대 우어가 모어인 장쩌민이 북한을 방문했을 때, 중국어의 방언에 능했던 김일성과 우어로 회담했다는 에피소드가 있다. 그 외 유명한 우어 사용자로는 투유유와 천싱선, 장이탕, 왕징웨이, 장징궈 등의 인물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