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웨이스트랜드 침공}}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width: 350px; border: 2px solid #013300; |-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제 3...) |
편집 요약 없음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방어측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방어측 | ||
|- | |- | ||
| [[소르다네 제국]] | | [[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소르다네 제국]] | ||
| [[웨이스트랜드(웨이스트랜드)|웨이스트랜드<br>저항군]] | | [[웨이스트랜드(웨이스트랜드)|웨이스트랜드<br>저항군]] | ||
|- | |- |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지휘관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지휘관 | ||
| [[이즈미 린]]<br>(총지휘관·서북부<br>집단군 지휘관)<br>츠루기 마이<br>(북부 집단군 지휘관)<br>아마야 료스케†<br>(서부 집단군 지휘관) | | [[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이즈미 린]]<br>(총지휘관·서북부<br>집단군 지휘관)<br>[[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츠루기 마이<br>(북부 집단군 지휘관)<br>[[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아마야 료스케†<br>(서부 집단군 지휘관) | ||
| [[우에스기 아리사]]<br>(총지휘관)<br>[[아마이 카리나]]<br>(보급관)<br>[[오카다 마리]]<br>(중재자)<br>그 외 다수의<br>저항군 간부 | | [[우에스기 아리사]]<br>(총지휘관)<br>[[아마이 카리나]]<br>(보급관)<br>[[오카다 마리]]<br>(중재자)<br>그 외 다수의<br>저항군 간부 | ||
|- | |- |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병력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병력 | ||
| 1만 9000명 | | [[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1만 9000명 | ||
| 3만 2000명 | | 3만 2000명 | ||
|- | |- |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피해 | ! style="background-color:#013300;color:#fff; " | 피해 | ||
| 사상자 7000명 | | [[파일:소르다네 국기.png|28px]]사상자 7000명 | ||
| 사상자 5000명 | | 사상자 5000명 | ||
|} | |} |
2022년 11월 12일 (토) 15:29 판
웨이스트랜드 침공 | ||
---|---|---|
제 1차 웨이스트랜드 침공 | 제 2차 웨이스트랜드 침공 | 제 3차 웨이스트랜드 침공 |
제 3차 웨이스트랜드 침공 | ||
---|---|---|
기간 | 혼란의 시대 58년~혼란의 시대 59년 | |
장소 | 웨이스트랜드 | |
원인 | 하야세 한의 객사로 인한 소르다네 제국 과학기술부 권력의 공백과 국방부장관의 웨이스트랜드 침공 요청 | |
결과 | 소르다네 제국의 퇴각, 웨이스트랜드 저항군의 승리 | |
영향 | 웨이스트랜드 레지스탕스의 부활 | |
교전국 | 공격측 | 방어측 |
![]() |
웨이스트랜드 저항군 | |
지휘관 | ![]() (총지휘관·서북부 집단군 지휘관) ![]() (북부 집단군 지휘관) ![]() (서부 집단군 지휘관) |
우에스기 아리사 (총지휘관) 아마이 카리나 (보급관) 오카다 마리 (중재자) 그 외 다수의 저항군 간부 |
병력 | ![]() |
3만 2000명 |
피해 | ![]() |
사상자 5000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