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 역대 선거 결과 == === 2023년 전국지방선거 ===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border:2px solid #808080; max-width:450px; t...)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 rowspan="2" style="background:#E40030; color:#fff;" | {{글씨 크기|15|1}} | ! rowspan="2" style="background:#E40030; color:#fff;" | {{글씨 크기|15|1}} | ||
| | | 김희선 | ||
| | |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사회당 (마루 공화국)}} | | {{사회당 (마루 공화국)}} | ||
| | | 24.50% | ||
| 낙선 | | 낙선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rowspan="2" style="background:#003E99; color:#fff;" | {{글씨 크기|15|4}} | ! rowspan="2" style="background:#003E99; color:#fff;" | {{글씨 크기|15|4}} | ||
| | | 최중식 | ||
| | |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color: white; background: #003E99; font-size: 0.9em">'''[[민주당|{{글씨 색|#fff|민주당}}]]'''</span> |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3px; border-radius: 3px; color: white; background: #003E99; font-size: 0.9em">'''[[민주당|{{글씨 색|#fff|민주당}}]]'''</span> | ||
| | | 8.48% | ||
| 낙선 | | 낙선 | ||
139번째 줄: | 139번째 줄: | ||
! rowspan="2" style="background:#005AD4; color:#fff;" | {{글씨 크기|15|11}} | ! rowspan="2" style="background:#005AD4; color:#fff;" | {{글씨 크기|15|11}} | ||
| | | 조지웅 | ||
| | | | ||
173번째 줄: | 173번째 줄: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 ! rowspan="2" style="background:#808080; color:#fff;" | {{글씨 크기|15|13}} | ||
| 천홍도 | | 천홍도 |
2024년 1월 31일 (수) 18:45 판
역대 선거 결과
2023년 전국지방선거
가람특별시장 | |||
---|---|---|---|
기호 | 후보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당락 | |
1 | 김희선 | 3위 | |
24.50% | 낙선 | ||
4 | 최중식 | 2위 | |
민주당 | 8.48% | 낙선 | |
6 | 김혜은 | 5위 | |
녹색당 | 3.98% | 낙선 | |
5 | 나용찬 | 6위 | |
자유당 | 2.70% | 낙선 | |
9 | 용지연 | 7위 | |
기본소득네트워크 | 0.66% | 낙선 | |
10 | 선해연 | 10위 | |
대통합국민당 | 0.40% | 낙선 | |
11 | 조지웅 | 8위 | |
자유민주당 | 0.62% | 낙선 | |
12 | 우해진 | 9위 | |
청년당 | 0.60% | 낙선 | |
13 | 천홍도 | 4위 | |
무소속 | 10.16% | 낙선 | |
14 | 도혜경 | 1위 | |
무소속 | 47.90%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63.80% | |
유효표수 | |||
무효표수 |
현직 시장인 김한식과 전임 시장인 오세현의 재대결이다.
2015년 총선 이후 정계 은퇴를 한 오세현 후보가 정계 복귀를 선언한 후에 이번 선거에 출마하면서 보수당에서 무공천으로 돌리고 오세현 후보를 지지해 사실상 보수당 후보가 되었다.
김한식 후보는 3선을 노리고 있으며 경쟁자없이 단수공천되었다.
그밖에 마루 신센구미의 천홍도 대표가 출마하였다.
원외의 진보정당인 우엉의당은 당초 공천을 하려고 했으나 천홍도 후보를 지지하면서 무공천했다.
결과로는 오세현 후보가 김한식 후보를 13.76%p로 크게 앞지르면서 압승하였다.
천홍도 후보도 10.16%로 여론조사만큼은 아니지만, 당세에 비해서 크게 선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