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
(→상세)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또한 이에 대한 리스크도 매우 분명하기에 상용화에는 큰 위험이 따르기도 한다. 우선 나노봇이 생체 조직들을 기억하고 손상이 일어나는 순간 마지막 메모리를 업로드해 신체를 구성하는데, 이 기억 시점 자체가 뒤틀릴 경우 돌이킬 수가 없어지며 수많은 나노봇 중 하나라도 손상이나 오류 등의 이유로 오작동을 일으키는 순간 저장되어 있던 신체 구조가 뒤엉켜버린다. 이때, 복구를 하지 못해 부상을 회복하지 못한 채 유지되면 다행이고 아예 복구해야 하는 팔을 다른 위치에서 복구 시키거나 신체 기관 위치를 바꿔버리는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 또한 이에 대한 리스크도 매우 분명하기에 상용화에는 큰 위험이 따르기도 한다. 우선 나노봇이 생체 조직들을 기억하고 손상이 일어나는 순간 마지막 메모리를 업로드해 신체를 구성하는데, 이 기억 시점 자체가 뒤틀릴 경우 돌이킬 수가 없어지며 수많은 나노봇 중 하나라도 손상이나 오류 등의 이유로 오작동을 일으키는 순간 저장되어 있던 신체 구조가 뒤엉켜버린다. 이때, 복구를 하지 못해 부상을 회복하지 못한 채 유지되면 다행이고 아예 복구해야 하는 팔을 다른 위치에서 복구 시키거나 신체 기관 위치를 바꿔버리는 등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 ||
때문에 재생자 나노 테크가 완전하게 이식 받은 인물을 '완전한 재생자', 불완전하게 이식을 받았거나 프로토타입을 이식 받은 인물을 '불완전한 재생자'로 분류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