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부) |
(→행정부) |
||
222번째 줄: | 222번째 줄: | ||
<div> | <div> |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29176e"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29176e" | ||
! style="color: #fff; background: #29176e;" | <big>{{글씨 크기|15|'''대한국 | ! style="color: #fff; background: #29176e;" | <big>{{글씨 크기|15|'''대한국 행정기관'''}}</big> | ||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 #29176e;" | {{펼접|id=chongri|titlecolor=#fff}} | | colspan="1" style="background: #29176e;" | {{펼접|id=chongri|titlecolor=#fff}} |
2024년 12월 25일 (수) 00:16 판
타임라인 | 대한국 | 역사 | 인물 |
大韓國| Korea | ||||||||||||||||||||||||||||||||
![]() |
![]() | |||||||||||||||||||||||||||||||
국기 | 국장 | |||||||||||||||||||||||||||||||
홍익인간 弘益人間 | ||||||||||||||||||||||||||||||||
상징 | ||||||||||||||||||||||||||||||||
국가 | 애국가 | |||||||||||||||||||||||||||||||
국화 | 오얏꽃 | |||||||||||||||||||||||||||||||
역사 | ||||||||||||||||||||||||||||||||
칭제건원 1897년 10월 12일 대한국 헌법 공표 1919년 9월 11일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국가 코드 | ||||||||||||||||||||||||||||||||
전화 코드 | ||||||||||||||||||||||||||||||||
위치 | ||||
---|---|---|---|---|
파일:Uskormap.png |
개요
대한국, 혹은 대한 또는 한국은 동북아시아 한반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역사
상징
국호
上曰: 我邦乃三韓之地, 而國初受命, 統合爲一。 今定有天下之號曰‘大韓’, 未爲不可。 且每嘗見各國文字, 不曰‘朝鮮’, 而曰韓者, 抑有符驗於前, 而有竢於今日, 無待聲明於天下, 而天下皆知大韓之號矣 상이 이르기를 우리나라는 곧 삼한(三韓)의 땅인데, 국초(國初)에 천명을 받고 한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大韓)’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 나라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韓)이라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 |
공식 국호는 '대한국(大韓國)'이며, 약칭은 대한(大韓) 혹은 한국(韓國)이다. 드물지만 황제국임을 강조하여 대한제국(大韓帝國)이라 칭하기도 한다.
'한(韓)'이라는 단어는 삼한을 일컫는 다른 말로써 한반도 전역을 이르는 말로 예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기원전 4세기 고조선의 군주가 한(韓) 씨라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 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뺏긴 후 건마국의 군주가 될 때 한왕(韓王)을 자처한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고있다.
이후 한반도 중남부의 마한, 진한, 변한을 통틀어 삼한으로 불렀고, 마진변한이 사라진 지 이미 수백년이 지난 삼국시대 후반부에는 의미가 변형, 확장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셋을 삼한이라고 불렀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이를 삼한일통이라 칭한 것도 이러한 인식에 기반을 둔 것이다. 삼한이 원래 삼국시대 초반 한반도 중남부에 있던 여러 나라들을 의미했다는 것은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고증에 의해 밝혀졌지만, 관용적 용법은 계속 이어졌기에 칭제 당시 국호가 '한(韓)'으로 정해진 것이다.
공식 영문국호는 'Korea'이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Empire of Korea'를 사용하였으나 제국이라는 명칭이 주는 부정적인 인식을 고려하여 변경된 후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국가코드로는 KR, KOR이 사용된다.
국기
태극기 太極旗 | |
---|---|
지위 | 공식 국기 |
채택일 | 1883년 3월 6일 |
제작자 | 이응준(李應浚) 박영효(朴泳孝) 고조 이형(高祖 李㷩) |
비율 | 2:3 |
대한국의 국기는 태극기이다. 역관 이응준과 박영효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 이후 1883년 3월 6일(음력 1월 27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서 공포되었다.
태극기는 흰색 바탕 중앙에 파란색과 빨간색의 태극문양과 네 귀퉁이의 건(乾, ☰), 곤(坤, ☷), 감(坎, ☵), 리(離, ☲) 사괘로 이루어져 있다.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평화를 지향하는 한민족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태극 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표현한 것이다.
국장
대한국 국장 大韓國國章 | |
---|---|
지위 | 황실 문장 국가 문장(관습상) |
채택일 | 1922년 9월 10일 |
이명 | 이화문 (李花紋) |
대한국 국장은 대한국 황실의 문장이자 관습법상의 국장이다. 이화문이라고도 불린다. 황실(전주 이씨)를 상징하는 자두꽃을 도안화한 것이다. 정가운데에 암술머리에 15개의 수꽃술이 둘러져 있으며, 맨 바깥에는 다섯개 혹은 열개의 꽃잎이 자리잡고 있다. 색은 황제를 상징하는 금색이지만 은색 등 다른 색으로 칠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화문은 대한국군의 상징이기도 하다.
최초의 사용례는 1892년 조선국 닷냥 은화에서 확인된다. 1922년 어기, 황후기, 태자기, 친왕기 등이 제정되면서 황실의 문장으로 공인되었다. 국가문장으로써 공식적으로 지정된 것은 아니나 관습상 대한국의 국장으로써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