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역 (범민족 세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고속1 이전 방면 = {{Cl|서울역 (범민족 세계)|#373a3c|서울}}
| 고속1 이전 방면 = {{Cl|서울역 (범민족 세계)|#373a3c|서울}}
| 고속1 이전 방면 크기 = 10
| 고속1 이전 방면 크기 = 10
| 고속1 이전 = [[대전역 (범민족 세계)|대 전]]
| 고속1 이전 = [[동대구역 (범민족 세계)|동대구]]
| 고속1 이전 거리 = 64.8km
| 고속1 이전 거리 = 49.0km
| 고속1 = 경부고속선
| 고속1 = 경부고속선
| 고속1 역번호 = [[파일:KTX 건양 백색 로고.svg|58px]]
| 고속1 역번호 = [[파일:KTX 건양 백색 로고.svg|58px]]
21번째 줄: 21번째 줄:
| 고속1 다음 방면 = {{Cl|부산역 (범민족 세계)|#373a3c|부산}}
| 고속1 다음 방면 = {{Cl|부산역 (범민족 세계)|#373a3c|부산}}
| 고속1 다음 방면 크기 = 10
| 고속1 다음 방면 크기 = 10
| 고속1 다음 = [[동대구역 (범민족 세계)|동대구]]
| 고속1 다음 = [[울산역 (범민족 세계)|울 산]]
| 고속1 다음 거리 = 62.1km
| 고속1 다음 거리 = 30.0km
| 고속1 다음 행 = 2
| 고속1 다음 행 = 2


| 고속2 이전 방면 = {{Cl|의주역 (범민족 세계)|#373a3c|의주}}
| 고속2 이전 방면 = {{Cl|의주역 (범민족 세계)|#373a3c|의주}}
| 고속2 이전 방면 크기 = 10
| 고속2 이전 방면 크기 = 10
| 고속2 이전 = [[대전역 (범민족 세계)|대 전]]
| 고속2 이전 = [[동대구역 (범민족 세계)|동대구]]
| 고속2 이전 거리 = 64.8km
| 고속2 이전 거리 = 49.0km
| 고속2 = 경의고속선
| 고속2 = 경의고속선
| 고속2 역번호 = [[파일:KTX 건양 백색 로고.svg|58px]]
| 고속2 역번호 = [[파일:KTX 건양 백색 로고.svg|58px]]

2025년 6월 19일 (목) 20:50 판

경주역
고속열차 노선 보기
서울 방면
동대구
← 49.0km
경부고속선
부산 방면
울 산
30.0km →
의주 방면
동대구
← 49.0km
경의고속선
수서 방면
상 주
← 35.3km
중부내륙선
동대구 방면
구 미
25.2km →
서울 방면
대 전
← 64.8km
남부내륙선
거제 방면
성 주
37.4km →
일반열차 노선 보기
서울 방면
영 동
← 37.9km
경부선
부산 방면
구 미
25.2km →
수서 방면
어 모
← 12.6km
중부내륙선
시종착
서울 방면
황 간
← 23.3km
경부선
부산 방면
율 곡
8.4km →
영남권 전철 노선 보기
영동 방면
직지사
← 4.2km
영남경부선
(YN215)
밀양·경주 방면
평화남산
2.2km →
문당 방면
삼 락
← 0.8km
김천 1호선
(GC115)
부상 방면
새 들
0.8km →

지도를 불러오는 중...

역명 표기
[ 펼치기 · 접기 ]
경부고속선 김천
Gimcheon
金泉 / 金泉(きんせん)
경부선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영남경부선
김천 1호선 김천역
Gimcheon Station
金泉驛 / 金泉駅(きんせんえき)
주소
남한주 경상도 김천시 김천역로 1
관리역 등급
관리역 / 1급[1]
(대한철도공사 경상중부본부)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경부선 2010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1951년 11월 1일
중부내륙선 2018년 11월 11일
남부내륙선 1970년 5월 31일
1951년 11월 1일
2018년 11월 11일
2014년 5월 12일
2023년 9월 1일
영남경부선 2010년 11월 1일
김천 1호선 2021년 9월 9일
역사 구조
[ 펼치기 · 접기 ]
경부고속선 지상 5층 구조, 지상 2층 승강장
경부선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영남경부선
김천 1호선 지상 1층
승강장 구조
[ 펼치기 · 접기 ]
경부고속선 4면 8선 복합식 승강장
경부선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영남경부선
김천 1호선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 펼치기 · 접기 ]
서울 방면
대 전
← 64.8km
경부고속선
김 천
부산 방면
동대구
62.1km →
서울 방면
직지사
← 4.2km
경부선
김 천
부산 방면
평화남산
2.2km →
수서 방면
어 모
← 12.6km
중부내륙선
김 천
종점
기점 남부내륙선
김 천
거제 방면
성 주
37.4km →


개요

영남의 문을 여는 중심역

김천역은 1883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경부선 개통과 함께했던 주요 역사로 1924년에 발표되었던 염상섭의 소설 <만세전>에도 김천역 전경이 등장한다. 또한 김천역은 1902년 김천~안동 구간에 부설되었던 경북선의 기점이었기도 하며, 지금은 사라진 진삼선의 기공식이 황제께서 행차하여 열렸던 곳이다. 오랜 시간 우리나라 철도역사의 발전과 그 맥을 함께해온 역으로 경부고속선 개통으로 KTX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역사는 경부선 이설과 함께 경부고속선과 통합되었고,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이 개통하며 경상 서부의 중심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대한철도공사 공식 소개 문구

경부고속선경부선,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의 철도역. 남한주 경상도 김천시 김천역로 1 소재.

역 정보

1883년 1월 1일 경부선이 개통하면서 보통역 (구)김천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02년에 (구)김천역을 기점으로 하는 경북선이 개통했다.

1945년 4월 1일 경부고속선 1단계 개통과 함께 김천역에서 KTX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51년 11월 1일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이 개통하면서 신김천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2010년 11월 1일 경부선 이설, 영남권 전철 영남경부선 개통과 함께 (구)김천역이 신김천역에 통합되어 신김천역의 역명이 김천역으로 변경되었다.

승강장

경부고속선, 동해선, 영남권 전철 영남경부선

직지사 대전·어모 대전 대전·어모 직지사
1 | | 2 3 | | | | 4 5 | | 6
평화남산 성주·구미 동대구 성주·구미 평화남산
1 영남경부선 완행 대구·밀양·경주 방면
1 경부선 · 동대구·부산·신해운대 방면
2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
진주·마산·거제 방면
3 경부고속선 동대구·경주·부산 방면
4 서울·평양·의주 방면
5 중부내륙선
남부내륙선

·
충주·인천·수서 방면
6 경부선 · 대전·천안·서울 방면
6 영남경부선 완행 추풍령·황간·영동 방면

경주 도시철도 1호선

삼락
| |
새들
김천 1호선 삼락·김천종합운동장·대광 방면
부곡·김천버스터미널·부상 방면
  1. 신암역, 직지사역, 김천역, 평화남산역, 율곡역, 대신역, 아포역, 구미역, 사곡역, 북삼역, 약목역, 왜관역, 연화역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