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주

대한합중국
연방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남한주
광역자치단체
[ 펼치기 · 접기 ]
대한합중국의 주
남한주
南韓州
Namhan State
South Han State
주기 문장
미래의 요람
未來搖籃
상징
주가
역사
[ 펼치기 · 접기 ]

연방제 도입 1945년 8월 15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주도 | 최대도시 부산광역시
주청 소재지 남한주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국제1로 220 (명지동)
면적 96,975km²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7,225,119명
인구밀도 280.74명/km²
공용 언어 한국어
공용 문자 한글, 한자
종교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4광역시 4도
기초자치단체
정치
[ 펼치기 · 접기 ]
주지사 정형주
부주지사 00
참의회 의원
민의회 의원
연방자치단체장
주의회의원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개요

남한주는 한반도에 있는 대한합중국의 주. 한반도 남부를 관할하기에 남한주라는 명칭이 붙었다.

vs 북한주

전통적으로 남한과 북한 간의 경쟁이 벌어지곤 한다. 남북한 지역 갈등은 삼국시대 때부터 시작되어 형태만 바뀌면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조선이 개항하여 대한제국이 탄생하자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처음 개항했을 당시에는 부산항을 위시한 남한 지역이 경부선을 받으며 공업화와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때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북한 지역의 반발이 일어난다. 그런데 한청전쟁과 함께 한국이 만주로의 확장을 시작하자 보급기지가 필요해졌고, 이때부터 북한 지역에 개발이 몰리며 남한이 개발에서 소외된다.

일본이 한국에 합병되자 일본에도 개발이 시작된다. 한편 북한과 일본 사이에 끼여있는 남한의 개발 계획은 붕뜨게 되었고, 일본 식민화 계획과 함께 나온 남한 군수공장 건설이 줄줄이 취소되거나 일본에 옮겨진다. 초기 개발의 수혜를 받은 남한은 어느새 북한의 경제력에 밀려버리고 빈곤해진 사람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상황까지 오게 된다. 이 상황에서 황실은 군대에 폭동 진압을 명하지만, 남한 출신 군인 일부가 이에 항명한다. 결국 북한 지역 군대를 투입하여 반란을 진압한다. 이 과정에서 남북한 주민들의 감정의 골이 깊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