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 두 판 사이의 차이

19번째 줄: 19번째 줄:
'''다마국'''({{llang|ja|{{ruby-ja|多麻国|たまこく}}|타마코쿠}},{{llang|en|Tama}}), 약칭 '''다마'''는 [[동중국해]]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국토는 [[다마섬]]과 그 부속도서로 구성되며 총 면적은 473.07km², 인구는 [[2026년]] 기준 약 5만 명이다. [[공용어]]는 [[일본어]]이나, 주민들 사이에선 [[한국어]]도 많이 쓰인다. 수도는 [[요테이]](陽亭, Yotei)이다.
'''다마국'''({{llang|ja|{{ruby-ja|多麻国|たまこく}}|타마코쿠}},{{llang|en|Tama}}), 약칭 '''다마'''는 [[동중국해]]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국토는 [[다마섬]]과 그 부속도서로 구성되며 총 면적은 473.07km², 인구는 [[2026년]] 기준 약 5만 명이다. [[공용어]]는 [[일본어]]이나, 주민들 사이에선 [[한국어]]도 많이 쓰인다. 수도는 [[요테이]](陽亭, Yotei)이다.


《[[본조세보]]》에 따르면 [[이나이노미코토]]<ref>稲飯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진무 천황]]의 아버지 [[우가야후키아에즈]]와 해신의 딸 [[다마요리비메]]의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신찬성씨록]]》에서는 신라왕(新羅王)의 조상이라고 쓰여 있다.</ref>의 딸 [[하토리노히메]]<ref>葉鳥媛, 《본조세보》에만 등장하는 점, [[신라]]의 관등 중 하나인 [[파진찬]](하토리칸키)과 어원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다마에 정착한 [[도래인]]들의 [[우지가미]](氏神, 씨족신)로 추정하고 있다.</ref>가
《[[본조세보]]》에 따르면 [[이나이노미코토]]<ref>稲飯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진무 천황]]의 아버지 [[우가야후키아에즈]]와 해신의 딸 [[다마요리비메]]의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신찬성씨록]]》에서는 신라왕(新羅王)의 조상이라고 쓰여 있다.</ref>의 딸 [[하토리노히메]]<ref>葉鳥媛, 《본조세보》에만 등장한다는 점, [[신라]]의 관등 중 하나인 [[파진찬]](하토리칸키)과 어원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다마에 정착한 [[도래인]]들의 [[우지가미]](氏神, 씨족신)로 추정하고 있다.</ref>가


== 상징 ==
== 상징 ==

2025년 6월 22일 (일) 15:35 판

분류:
다마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
[ 역사 ]
시대
[ 사회 · 경제 ]
경제
지리
사회
[ 문화 ]
예술
[ 기타 ]
다마계
다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다마 대한민국 몽골[1] 북한
일본[2] 중국[3] 중화민국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2. 영토 일부가 미크로네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3. 영토 일부가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북아시아로 분류되기도 함
다마국
多麻国 | Tama
국기 국장
상징
국가
국화
국조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최대도시
면적
km²
내수면 비율
%
인접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민족 구성
인구 밀도
출산율
기대수명
공용 언어
공용 문자
종교
국교
분포
군대
주둔군
인간개발지수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주의 지수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ccTLD
.ta, .多麻
국가 코드
762, TA, TAM
국제 전화 코드
+83
여행경보
여행유의
위치

개요

다마국(일본어: 多麻国 (たまこく) 타마코쿠[*],영어: Tama), 약칭 다마동중국해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국토는 다마섬과 그 부속도서로 구성되며 총 면적은 473.07km², 인구는 2026년 기준 약 5만 명이다. 공용어일본어이나, 주민들 사이에선 한국어도 많이 쓰인다. 수도는 요테이(陽亭, Yotei)이다.

본조세보》에 따르면 이나이노미코토[1]의 딸 하토리노히메[2]

상징

국호


  1. 稲飯命,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진무 천황의 아버지 우가야후키아에즈와 해신의 딸 다마요리비메의 자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신찬성씨록》에서는 신라왕(新羅王)의 조상이라고 쓰여 있다.
  2. 葉鳥媛, 《본조세보》에만 등장한다는 점, 신라의 관등 중 하나인 파진찬(하토리칸키)과 어원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다마에 정착한 도래인들의 우지가미(氏神, 씨족신)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