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13과 Major50 (이데아포비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4번째 줄: 54번째 줄:
<br>
<br>
페트리카의 식품 산업을 장악하는 거대 그룹. 이들은 외식업 뿐 아니라, 곡물과 축산 분야에도 마수를 뻗치고 있으며 또한 매년 다량으로 생산되는 시체의 소유권을 구매해서 그 시체를 통조림이나 에너지바 등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해 판매하곤 한다. 사실, 페트리카의 고밀도 인구 거주구역의 경우에는 사람의 목숨 값이 가축 값보다 비싸니 어쩌면 당연한 일. 그렇기에 시체청소부들의 주거래처이다.
페트리카의 식품 산업을 장악하는 거대 그룹. 이들은 외식업 뿐 아니라, 곡물과 축산 분야에도 마수를 뻗치고 있으며 또한 매년 다량으로 생산되는 시체의 소유권을 구매해서 그 시체를 통조림이나 에너지바 등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해 판매하곤 한다. 사실, 페트리카의 고밀도 인구 거주구역의 경우에는 사람의 목숨 값이 가축 값보다 비싸니 어쩌면 당연한 일. 그렇기에 시체청소부들의 주거래처이다.
<br>
''RECORD#02-01''<br><div style="font-size:18px">'''오언 퀵미트'''</div>Owen Quickmeat'''<br><br>
<div id="togglesomething" class="toggleBtn" data-target="collapsiblesomething" style="text-align: left;">[잔혹한 묘사 주의] ▼</div>
<div id="collapsiblesomething">
{|class="wikitable" style="width: 300px; border: 2px solid #C0C0C0; margin: 12px auto;"
|-
|{{nmi|페트리카 통조림.jpg}}
|}<br>
오언 퀵미트는 페트리카 하층부에서 버려지는 시체를 모아서 만든 통조림이다. 즉, 인육으로 가공해 생산된 통조림으로 하층민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몇 없는 육류이다. 그나마 가공 과정을 거치기에 위생 자체는 길거리에 흩어진 시체를 파먹는 것보다 훨씬 괜찮은 편이다. 혀를 마비시킬 정도로 향신료를 가득 넣어서 역겨운 맛도 그나마 적어서 중층부에서도 일부 소비된다.
</div>


<br><br>
<br><br>

2025년 7월 6일 (일) 21:44 판




문서 열람 시 세계관 특성 상 극도록 혐오스럽거나 잔혹하고 민감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작자는 등장하는 특정 집단, 개인, 사상을 지지하거나 찬양하지 않습니다.
[ 트리거 목록 열기 ]
동물 살해, 살인, 자살 및 자해, 약물사용, 음주 및 흡연, 욕설, 폭행, 고문, 신체훼손, 시체훼손, 식인, 납치, 병리학적 정신증상
가정폭력, 존속살해, 오컬트, 공포, 고어 및 그로테스크, 가스라이팅, 왕따, 광과민성 요소, 멀미를 유발하는 요소, 흉기 및 총기
전쟁범죄, 차별, 신체변형, 교통사고, 강제화된 사상 및 행동



 







BIG13과 Major50
BIG13 and Major50




BIG 13은 페트리카에서 가장 강한 영향력을 가진 13개의 기업들의 총칭으로, 이들은 사실상 페트리카의 지배자들이다. 페트리카의 과두정은 BIG 13으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RECORD#01
제너럴 헬스
General Health



제너럴 헬스의 평균적인 징수원


  • 정식 명칭 | 제너럴 헬스 주식회사(General Health, Inc.)
  • 대표이사 | 에단 칼드웰(Ethan Caldwell)
  • 산업부문 | 보험, 의료
  • 핵심특허 | 고통


페트리카의 의료 산업을 장악하고 있는 기업. 단순히 병원들 뿐 아니라, 보험 회사도 운영하는데 이들의 보험은 특이하다. 이들의 보험사는 되려 징수하는 집단으로, 고통이라는 특허를 활용해서 누군가가 다치거나 병에 들어 고통을 느낀다면, 그 느끼는 고통의 강도를 수치화하여, 그만큼의 비용을 청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페트리카에서 서민들이 가장 꺼리는 이들이 제너럴 헬스의 징수원들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참고로 고통이 기준이기 때문에, 고통도 느끼지 못하고 즉사한 경우에는 어떤 징수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심리적 고통도 고통이냐라는 문제에 있어서는, 아직 재산분쟁중재소에서 합의된 사항이 없기 때문에 건들이지 않는다고 한다. 제너럴 헬스의 대표이사인 에단 칼드웰의 최종적 목적은 심리적 고통까지 특허로 구매해 막대한 비용을 부과하는 것이다.

이때문에 만약 병에 든다면 고통 없이 죽는 안락사약이 암암리에 판매되었었다. 그러나, 제너럴 헬스에서 소송해서 승소하여 안락사약 대부분을 판매금지조치를 하였었다. 하지만 이 서술이 모두 과거형인 이유는, 현재에는 되려 제너럴 헬스가 안락사약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는 주체가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는 어차피 돈이 없는 사람은 아파하면 비용을 납부하지 못해 징수원이 찾아가도 얻을 수 있는게 없으므로 안락사약이라도 팔아서 수입을 올리자라고 제너럴 헬스가 판단했기 때문이다.





RECORD#02
오언 밀즈
Owen Meals



오언 밀즈의 곡물 생산 농장


  • 정식 명칭 | 오언 밀즈 그룹(Owen Meals Group)
  • 대표이사 | 클레어 C. 오언(Claire C. Owen)
  • 산업부문 | 식품, 곡물, 축산
  • 핵심특허 | 식사


페트리카의 식품 산업을 장악하는 거대 그룹. 이들은 외식업 뿐 아니라, 곡물과 축산 분야에도 마수를 뻗치고 있으며 또한 매년 다량으로 생산되는 시체의 소유권을 구매해서 그 시체를 통조림이나 에너지바 등 형태의 식품으로 가공해 판매하곤 한다. 사실, 페트리카의 고밀도 인구 거주구역의 경우에는 사람의 목숨 값이 가축 값보다 비싸니 어쩌면 당연한 일. 그렇기에 시체청소부들의 주거래처이다.


RECORD#02-01
오언 퀵미트
Owen Quickmeat

[잔혹한 묘사 주의] ▼

오언 퀵미트는 페트리카 하층부에서 버려지는 시체를 모아서 만든 통조림이다. 즉, 인육으로 가공해 생산된 통조림으로 하층민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몇 없는 육류이다. 그나마 가공 과정을 거치기에 위생 자체는 길거리에 흩어진 시체를 파먹는 것보다 훨씬 괜찮은 편이다. 혀를 마비시킬 정도로 향신료를 가득 넣어서 역겨운 맛도 그나마 적어서 중층부에서도 일부 소비된다.





RECORD#03
CPB 미디어
CPB Media



CPB 미디어 리포터


  • 정식 명칭 | CPB 미디어(CPB Media)
  • 대표이사 | 빅터 헌터(Victor Hunter)
  • 산업부문 | 언론, 미디어
  • 핵심특허 | 언어


CPB 미디어는 페트리카에서 가장 거대한 미디어 그룹이다. 이들은, 연합 페트리카 방송(Consorted Patric Broadcasting) 즉 CPB라는 방송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대표적인 뉴스네트워크인 CPB News 등을 운영한다. 또한 과거 페트리카 최대의 언론사였던 포드 타임즈(Ford Times)를 인수한 이후, 가장 거대한 영향력의 언론 기업으로 성장했다. 물론, 페트리카의 기업들이 으레 그러하듯이, 순순히 돈 냄세를 맡고 활동하며, 돈만 된다면 어떤 형태의 방송이나 기사도 가리지 않는 편이라 황색언론의 색이 매우 짙다.

CPB 미디어에서는 언어를 특허로 가지고 있다. 이때문에 페트리카의 국민들은 구매한 사용권에 따라서 한달동안 말할 수 있는 단어의 수가 제한되어있으며, 이때 단순히 ‘구어로 발화된 언어’가 아닌 ‘언어’ 그자체에 대한 특허이므로, 글로 쓰거나, 심지어 수어나 점자도 제한 대상이다. 몸짓이나 표정 등의 준언어적 요소에 대해서는 딱히 권리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RECORD#03-01
더 쇼 오브 게임
The Show of Game


더 쇼 오브 게임은 CPB 미디어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로,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버라이어티 쇼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자극성을 지향하다보니 폭력과 유혈이 난무하며, 데스게임에 가까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RECORD#04
롤랑즈 앤 코
Rollands & Co.



롤랑즈 앤 코 모델


  • 정식 명칭 | CPB 미디어(CPB Media)
  • 대표이사 | 소피 M. 롤랑즈(Sophie M. Rollands)
  • 산업부문 | 패션
  • 핵심특허 | 색상


페트리카 최대의 패션 기업. 단순히 패션 뿐만이 아니라 섬유와 관련된 경공업 산업 전반에 권한이 있는데, 이들의 핵심적인 철학은 가장 아름다운 색의 구현이다. 아름다움하면 으레 그러하듯이 아세팔 종족의 롤랑즈 가문이 세습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기관과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지라, 페트리카의 거의 모든 교복이나 제복은 롤랑즈 앤 코 제품이다.

롤랑즈 앤 코가 보유한 색상에 대한 특권은 말그대로 모든 색상에 적용되며, 이는 피부나 눈, 머리색도 포함이다. 그러나 롤랑즈 앤 코에서는 어느정도 유도리를 발휘하여서,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는 매우 싼 가격에 사용권을 판매한다. 다만,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납부해야하기에 사실상 세금이나 다를 바 없다라는 인식이 강하다. 또한 옷의 색도 다채로운 색일 수록 그 가격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며, 페트리카의 부유층은 디스코가 연상될만큼 다채로운 색의 옷을 입는 것이 유행이라고 한다.





RECORD#05
와치독 시큐리티
Watchdog Security



와치독 시큐리티 용병


  • 정식 명칭 | 와치독 시큐리티(Watchdog Security)
  • 대표이사 | 에드거 한슈워 쥬니어(Edgar Hanshour Jr.)
  • 산업부문 | PMC
  • 핵심특허 | 폭력


페트리카 최대의 PMC로, 와치독을 제외한 나머지 BIG13과 계약하고 있어서 BIG13이 지배하는 영역, 다시 말해서 소수의 무법지대를 제외한 페트리카의 전역을 관리하는 치안 유지 및 국방 기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각 기업마다 각자의 용병 단체나 사병 집단을 운영하며, 이들은 폭력을 독점한 와치독에게 일정의 로열티를 지불하거나, 와치독과 공동 법인을 발촉하곤 한다.

와치독 시큐리티의 존재 때문에 되려 길거리 싸움은 줄어든 편이다. 술을 마시고 길거리에서 폭력을 행사한다면, 그 감당되지 않는 폭력에 대한 사용료가 납부되기 때문. 물론 대다수의 기업이나 폭력조직들은 와치독에게 충분한 사용료를 이미 지불하였거나, 지불할 힘이 있기에 폭력을 숨기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되려 폭력은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업과 폭력조직같은 돈이 충분히 있는 이들은 제약 없이 폭력을 행사하지만, 서민들은 그런 폭력에 대항하여 자기 방위의 목적으로써 폭력조차 할 수 없기 때문이다.


RECORD#05-01
포드 특허시 보안총국
Ford Patented City Sheriff Bureau(FPSB)

체포 작전을 수행 중인 FPSB


포드 특허시 보안총국, 줄여 FPSB는 페트리카의 수도인 포드 특허시의 치안을 담당하는 와치독 시큐리티의 하위 부서이다. 포드가 페트리카에서 가지는 위상과 그 규모를 생각해보면 FPSB는 와치독 시큐리티 내에서도 가장 큰 부서 중 하나로, 상장만 하지 않았다 뿐이지 사실상 독립적인 자회사 수준이다. 재원도 본사와 떨어져 따로 관리하며, 회계도 따로 작성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다른 보안총국과 달리 FPSB의 권한은 매우 높다. 다른 보안총국의 보안관이 직급 상 부사장(Corporate Vice President, CVP)에 해당하는 반면, FPSB 보안관의 직급은 사장(President)에 해당한다.

FPSB의 명성은 꽤나 대단하다. 애초에 사설군사업체에서 만든 치안 기관답게, 이들의 조직 체계나 행동 체계는 경찰보다는 차라리 군대나 헌병대에 가깝다. 그러나 여전히 기업이므로 기업의 직급을 사용한다. 그러나 애초에 명확한 형법이 없는 페트리카의 특성 상 FPSB의 역할은 법률 집행기관이라기 보다는 사설 경호 업무에 가까우며, 개인이 구매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보호받는 정도와 우선 순위가 달라진다.


RECORD#05-02
FPSB 무장기동대
FPSB Armed Mobile Force

GOLIAT-II를 착용한 FPSB 무장기동대


FPSB 무장기동대는 FPSB의 주요 조직 중 하나로 FPSB의 주요 무력집단 중 하나이다. 대테러와 같은 덩치가 큰 사건을 전담하여 무력 진압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일종의 특수부대에 가까운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들의 무력은 페트리카 내에서도 최고위 수준으로 저항이 거의 불가능하다.

FPSB 무장기동대의 대원들은 강화외골격 기반의 강화복인 GOLIATH-I, GOLIAT-II, GOLIAT-IIA 시리즈의 무장을 하고 있으며, 에이듐 극미량이 함유된 철갑탄을 탄약으로 사용하는 자동소총 기반의 개인화기인 기동소총(Mobile Rife, MR), 그중에서도 MR-2000시리즈와 MR-144 시리즈를 소지한다. 사실 MR 시리즈는 평범한 인간이 사용할만한 무장이 절대 아닌데, 파괴력이 괴물같은 대신 반동도 괴물같아서 일반인이 사용하면 몸이 뒤로 날아가기 쉽상이다. GOLIATH 시리즈 수준의 강화복이 반동을 잡아주기 때문에 그나마 상황이 괜찮은 것이다.






Copyright 2025. 금태자. All rights reserved.
이곳을 클릭해 라이선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데아포비아 라이선스



이데아포비아의 이름으로 창작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이하 "본 저작물")은 금태자(이하 "저작자")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자는 본 세계관과 관련된 모든 저작권, 사용권, 편집권을 포함한 일체의 권리를 소유합니다. 본 저작물에 대한 어떠한 제3자의 권리 주장도 인정되지 않으며, 저작자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본 저작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설정, 역사, 문화, 종교, 철학, 지리, 정치 체계 등 세계관 전반.
  • 고유 용어, 개념, 명칭 및 독창적인 표현.
  • 캐릭터, 사건, 조직 등 본 저작물에 기반한 모든 서사적 요소.
  • 고유한 특징을 가진 이미지, 음악, 영상 등.

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저작물에 대한 절대적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 및 비공유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명시적 허가 없이 본 저작물의 요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2차적 저작권, 상표권, 기타 지식재산권의 등록 또한 금지됩니다.

비상업적 2차 창작(팬아트, 팬픽션 등)은 저작자의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를 수익화하는 행위(예: 후원, 광고 게재)는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저작자는 경고 후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취할 권리를 가집니다. 또한, 본 저작물에 기반한 설정, 문서, 창작물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재배포하거나 수정·배포할 수 없습니다. 출판, 영상화, 게임화 등 본 저작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또한 저작자의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가 직접 발표한 설정만이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며, 제3자가 창작한 콘텐츠는 비공식 설정으로 간주됩니다. 공식 설정과 충돌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저작자는 해당 창작물이 비공식적 성격임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베른 협약 등)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사용이 적발될 경우, 저작자는 사전 경고 없이도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피해 금액 산정을 포함한 민·형사상 대응을 진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본 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창작물의 삭제 및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저작자가 허가한 영역에 한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제작할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에 사용된 위키미디어 및 CSS 문법, 제이위키에 작성된 문서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제이위키의 CC-BY-SA 3.0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