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양 지하철 1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 인별국]]
[[분류: 인별국]]


{{틀: 인양 도시철도 노선 목록}}
{{틀: 인양 지하철 노선 목록}}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border: 2px solid #004AE0; text-align: left;" text-align: left;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width: 100%; border: 2px solid #004AE0; text-align: left;" text-align: left;  

2025년 7월 8일 (화) 02:47 판

인양특별시
지하철 노선 목록
[ 펼치기 · 접기 ]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10호선 11호선 12호선
13호선 14호선 15호선
인양 지하철 1호선
仁養 地下鐵 1號線
Inyang Subway Line 1
노선도
노선 정보
노선 분류 도시철도
차량 분류 대형 중전철
기점 포원역
종점 이선역
역 수 33개
직결 노선 전백선[1](강평~포원)
전석이선선(이선~전석)
인만선(이선~서화)
상징색 파란색 (#004AE0)
최초개통일 1949년 12월 11일
소유자
운영자
사용차량 인양메트로 1형 전동차
인양메트로 10형 전동차
인양메트로 서강1형 전동차
(추가 집계중)
차량기지 이선차량사업소
포원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32.5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복선[2]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S2
폐색방식 자동제어식
신호장비 ATS-S2
최고속도 80km/h
지상구간 포원역, 정암동역 ↔ 강나루역, 이선역
통행 방향 우측통행
개통연혁 1949. 12. 11. 인양역 ↔ 상은역 개통
1950. 03. 07. 상은역 ↔ 도각역 개통
1951. 07. 22. 도각역 ↔ 이선역 개통
1958. 12. 09. 황운궁역 ↔ 인양역 개통
1964. 06. 03. 도안역 개통
1971. 10. 11. 운내역 ↔ 황운궁역 개통
1972. 01. 15. 흥락문역 ↔ 운내역 개통
1979. 09. 09. 포원역 ↔ 흥락문역 개통
1980. 04. 21. 공분역, 포원시장역 개통
1992. 05. 12. 봉현종합운동장역 개통

개요

1949년 12월 11일에 개통된, 인양 지하철의 한 노선이자, 인별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노선색상은 파란색이며, 인양 도심 교통을 맡는 주요 교통수단 중 하나이다.

건설목적

전차의 노후화 및 과포화가 된 인양시 도심지역의 신 교통수단

조포구, 강희구 등의 유동인구 많은지역 연계

이선역, 포원역 방면으로 직결을 통해, 강평 - 인양 - 청곡 - 주곡으로 이어지는 대 수도권 전철망 보완

역할

인양 강희로를 통과하여 인양역으로 연결해줌으로써, 구도심 지역에선, 없어선 안될 중요한 노선 역할을 해주며, 북쪽으로 황운궁, 화도구 지역을 지나 포원동까지 연결이 된다.

조포구, 강희구, 중구, 이선구에선 없어서는 안될 필수 노선이며, 그만큼 이용객도 굉장히 많다.

운행 계통

인양 1호선에서는 다양한 직결을 통한 여러 행선지가 존재하지만, 지하철 구간 내 운행하는 계통으로는 크게 완행과 급행만 있다.

중간 시종착을 하는 열차는 사실상 첫차와 막차밖에 없어, 생각보다 인별국 최초 지하철 치곤 생각보다 단순하다.

급행열차

원래는 기존에 없었으나, 인양메트로에서 직결노선들과의 운행편의 및 혼잡도 개선을 위해 큰 맘을 먹고 대피선 추가 공사[3]를 하였다.

대피선이 있는 역으로는, 포원역[4], 상주림역, 정진역, 운내역, 황운궁역, 정암동역[5], 인양역, 동천역, 도안역, 진양역, 이선역[6]으로, 총 10개역에 설치되어 있다.

급행열차 정차역으로는, 포원 - 상주림 - 정진 - 운내 - 황운궁 - 장곡 - 정암동 - 인양역 - 시청 - 강희로2가 - 강희로4가 - 강희로6가 - 상은 - 도안 - 상정 - 진양 - 이선으로, 고정이 되어있는게 특징이며, 일부 1시간에 1대꼴로 있는 1호선구간만 운행하는 열차가 있는 완행과 달리, 모든 급행열차는 타사와 직결운행을 한다. [7]

또한, 평시에 급행이 완행을 앞지르는 역으로는, 포원역, 정진역, 황운궁역, 인양역, 도안역, 이선역 총 6개 역으로, 상당히 많은 편.[8]

급행열차의 종류로는, 또한 구간급행과 일반급행으로 나뉘는데, 구간급행의 경우, 타직결구간에서 급행이었다가 지하철구간에선 완행으로 운행하는 열차, 타직결구간에서 완행으로 운행하다가 지하철구간에선 급행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있다. 주로, 후자 열차가 많은 편이다.

각주

  1. 포원지선구간만 직결한다.
  2. 복선이지만, 일부역이나 구간에선 대피선이 존재한다.
  3. 그러나, 강희로 구간에는 대피선을 놓지 못해, 이구간 한정으로 급행이 각역정차를 한다.
  4. 대피선 추가공사 이전에도 이미 있었다.
  5. 지상역
  6. 대피선 추가공사 이전에도 이미 있었다.
  7. 그러나, 기상이슈나 사고 등의 특수상황일 경우엔, 급행이 타절하는 경우도 있다.
  8. 포원역과 이선역의 경우엔, 완행이 도착한 후 급행이 도착하는데, 급행을 먼저 직결 노선 방향으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