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대한민국 국회 원내 구성 |
[ 펼치기 · 접기 ] |
![]() | |
공화당 | |
---|---|
약칭 | 공화, REP |
한자명 | 共和黨 |
영문명 | Republican Party |
슬로건 | 다시 함께 도약하는 대한민국 |
창당일 | 1952년 4월 11일 |
주소 |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2길 4 | |
총재 | 유승민 / 3선 (상, 19·21·23대) |
간사장 | 김용태 / 4선 (하, 16~19대) |
전국대회 의장 | 홍문표 / 5선 (상, 14·16·18·21·23대) |
원로원 원내대표 | 이낙연 / 4선 (18·20·22·24대) |
대의원 원내대표 | 김무성 / 7선 (하, 13~19대) |
원로원 | 41석 / 100석 (41.00%) |
대의원 | 178석 / 435석 (39.56%) |
시도지사 | 9석 / 27석 (33.33%) |
당색 | 짙은 파란색 (#005AAB) |
옅은 파란색 (#00A6EF) | |
당원 수 | 4,894,300명 (2022년 1월 기준) |
책임 당원 수 | 1,875,033명 (2022년 3월 기준) |
학생 조직 | 공화당 청년위원회 |
해외 조직 | 재외 공화당 |
여성 조직 | 공화당 여성전국연합 |
국제조직 | 국제민주연합 |
공식 홈페이지 | ![]() |
링크 | ![]() ![]() ![]() |
개요
대한민국의 정당. 대한민국의 최대 보수 정당으로, 현재 야당의 지위에 있다. 사회민주당과는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로, 양당제를 구축하고 있다.
상세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었던 이승만이 퇴임 직전 사회민주당에 대항하는 우익 세력의 구심점을 만들기 위하여 김구의 정당이었던 대한민주당과 자신의 정당이었던 자유당을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1952년부터 1960년까지는 여운형-조봉암으로 이어지는 중도좌익 성향의 행정부에 밀려 잠시 야당의 기간에 있기도 하였지만, 1960년대 장면 행정부 성립 이후 1996년까지 무려 32년에 달하는 기간동안 여당으로 존속했다.[1]
그러나 이민우 대통령의 집권 기간동안 일어난 이민우 구상 파동 사건으로 인해 당내 진보파 상당수가 사회민주당으로 이동하여 당세가 위축되었으며, 1996년 권영길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이후로는 사민당과 양당제를 이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