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의 분기점
1800년대는 서구 열강에 의한 아시아의 개항 및 식민지화가 극에 달한 때였다. 당시 유럽과 미국에서는 눈에 불을 켜고 아시아를 개방시켜 이권을 선점하는 데 혈안이 되어 있었다. 당시 조선은 점차 변화하고 있었다. 아편전쟁 이후로 진행된 청의 몰락과 쿠로후네 사건 후 미일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며 근대적 국가로써 발돋움하고 있는 일본을 보며, 조선의 지식인들과 일부 개화적 실무 관리들은 쇄국 정책의 한계를 인식하게되었고, 그들은 흥선대원군의 쇄국 정책에 반발하며, 점차 자신들의 세력을 늘려나갔다. 그리고 1865년 4월 26일 흥선대원군이 70만이라는 어마어마한 인력들을 동원해 경복궁을 재건하는 계획을 발표하자. 더 이상 못참겠다면서 이것에 반발한 개혁파와 농민들을 중심으로한 혁명군이 들고 일어나게 된다. 이것을 을축년에 일어난 정변이라 하여 을축정변이라고 한다. 을축정변이 끝나고 조선에는 변화가 찾아왔다. 새롭게 조선의 뒤를 이은 대한제국은 일단 변화하는 세계에 발맞춰가고자 서양 세력과 교류하는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렇게 해서 1866년 3월 14일, 한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면서 서양세력과 교류하게된다.
주요 국가
대한민국 (근대화의 여명) 독일 (근대화의 여명) 미국 (근대화의 여명) 북일본 (근대화의 여명 남일본 (근대화의 여명) 북중국 남중국 러시아 (근대화의 여명)
"근대화의 여명"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4개 가운데 4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