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내전
German Civil War
기간 1936년 3월 11일1936년 10월 9일
장소 독일 영토 내
원인 나치의 급진적인 정책으로 인한 내부 분열과 이후 발생한 군사반란
교전국 및
교전 세력
왕당파 파시스트파
독일 정통파 나치 독일
지휘관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루프레히트 폰 바이에른
에리히 폰 만슈타인
빌헬름 리스트
에르빈 롬멜
아돌프 히틀러✝
헤르만 괴링✝
오스카 디를레방어
하인리히 힘러
병력 19만 4천명 21만 6천명
피해 사상자 11만 8천명 사상자 38만 4천명
결과 독일 정통파 승리, 입헌 독일제국 건국
영향 파시스트 몰락 촉발
빌헬르니즘의 대두

개요

독일 내전(German Civil War)은 1936년 3월 11일부터 같은 해 10월 9일까지 벌어진 독일 내 왕당파와 공화파(파시스트) 간의 갈등이 폭발해 벌어진 내전이다. 이 전쟁으로 인해 유럽 내에서 파시즘이 몰락하기 시작하고, 새로운 사상인 빌헬르니즘이 대두한다.

배경

1933년 수권법을 통과시키며 본격적으로 독일을 장악한 히틀러는 이후 전체주의에 입각하여 여러 확장정책을 펼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일련의 과정들이 너무 급진적이었고, 몇몇 고위 관료들은 이것이 영국, 프랑스의 심기를 건드릴까 봐 염려했다. 그리고 이것은 1936년 3월 히틀러가 라인란트 재무장을 명령하며 폭발해 버린다. 많은 장교들은 히틀러의 정책에 반대했으나, 히틀러는 라인란트 재무장 추진을 고집했고 이대로 가다가는 정말로 프랑스에게 공격당한다고 생각한 독일군 장교들은 정부의 병력을 쌔벼서, 브릴론으로 가 그곳에서 왕당파의 대부격인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을 필두로 반란을 일으킨다.

전개

전쟁 초반, 전선의 고착화

정통파 독일은 순식간에 독일 서부를 완전히 장악했으며 곧 전선을 구축한다. 정통파 독일이 이런 행보를 보임에 따라 히틀러는 재빨리 반란을 진압하라 명령했고 정통파 독일로 전향하지 않고 남아있던 병력이 서부전선으로 출격하였다. 서부에선 에리히 폰 만슈타인이, 동부에선 헤르만 괴링이 병력을 지휘했으며 4개월 동안 치열한 접전이 벌어졌으나, 서로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전선이 고착화되었다. 하지만 정통파 독일이 뉘른베르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며 전세가 바뀌기 시작한다. 뉘른베르크 전투 이후 프랑스, 영국등의 서구세력이 본격적으로 정통파 독일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전쟁 중반, 바이에른 점령

뉘른베르크 전투에서 승리한 서부군은 파죽지세로 밀고 들어가기 시작했으며, 밤베르크를 지나 결국에는 7월 31일 오버바이에른 전체를 포위하였다. 이후 여러 주에 걸친 대공세 끝에 9월 6일 바이에른 전체를 점령한다. 한편 북부전선에서는 6월 13일 뤼네부르크 전투 승리 이후 서부군이 조금씩 밀고 들어오고 있었으며 바이에른 점령 이후 진격이 가속화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부군은 동부군의 사기를 꺾기 위해 베를린 공습을 펼쳤으며 공습 도중 헤르만 괴링이 폭사하고 하인리히 힘러가 새로이 동부군을 이끌게 된다.

(베를린 공습을 펼치는 서부 공군)

전쟁 후반, 주요 장교들의 투항과 동부군의 몰락

9월 후반이 되자 서부군은 라이프치히 전투와 포츠담 전투에서 승리하여 작센을 장악하고 베를린 코앞까지 도달한다. 이에 이젠 승산이 없다고 판단한 하인리히 힘러는 히틀러를 손수 암살하고 서부군에 투항한다. 이렇게 9월 30일 베를린은 함락된다. 베를린 함락 이후에도 오스카 디를레방어가 항전을 이어나갔으나, 슈체친과 포즈난의 함락 이후 디를레방어도 결국 투항하며 10월 9일 공식적으로 독일 내전이 종결된다.

전후처리와 전쟁의 결과

내전 이후 정통파 독일은 네덜란드에 있던 빌헬름 2세를 데려와서 독일제국을 재건했으며,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여 황제의 권력을 조정했다. 또한 초대 총리로 취임한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은 나치를 지지하던 프로이센파를 대대적으로 숙청했다. 이에 반발하여 프로이센파 봉기(1937.6.3~1937.8.5)가 일어나기도 했으나 한달만에 진압되었다. 이후 독일만의 독특한 입헌주의인 빌헬르니즘이 대두되었으며 유럽에서 파시즘의 구름이 서서히 걷히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