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사 (멀티밋 유니버스)

정의

魔法師 | Mage

넓게는 마법을 사용할 수 있는 인간형 고등 지성체를, 좁게는 마법을 전문으로 하는 자를 말한다. 구분을 위해 후자를 술사(術師/Mancer)라 부르기도. 넓은 의미에서의 마법사는 그 범주가 상당히 포괄적이다. 헌터물에서 말하는 각성자, 일본 능력자 배틀물이능력자를 대체한다고 보면 된다. 본 문서에서는 서술하는 마법사는 넓은 의미의 마법사이며 그중에서도 인간 사회에 섞여 살아가는 이들이 주가 된다.

특징

미형인 인물이 많다. 이유는 복합적이다. 영웅은 미형일 것이라는 초인에 대한 인류 보편의 믿음으로 인해 성형 계열 마법이 자동 발현 됐을 수도 있고 마법사가 그 힘으로 권력을 얻어 미인과 맺어져온 덕에, 즉 순전히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그러한 미모를 얻게 됐을 수도 있다. 한편으론 마법의 영향에 의해 흉측한 외모를 갖게 된 자도 많으나 이 경우 양지에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으레 모든 마법사는 준수한 외모를 가졌다고 인식된다. 미형인 동시에 마력의 영향을 받아 동물귀 등 특이한 신체기관을 가진 자도 많다. 이 또한 개성이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현대사회의 마법사들은 연예계에 영향력이 크다. 비교적 평범한 축에 속하는 마법사도 연예계에서 잘 활동할 수 있는데, 이는 마력이 주는 특유의 신비감이나 미약한 공포스러움이 시선을 잡아끄는 마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외형이 아닌 내면 쪽을 보면 여기서도 독특한 성격의 소유자가 많다. 마력이 강할수록 더욱 그렇다. 이는 마력이 심신에 주는 영향 때문도 있고, 개인이 집단을 압도하는 힘을 갖다보니 자연히 오만해지기 쉽게 된 탓도 있다. 오만함이 강해져 마법사 우월주의(Mage Supremacy)에 빠지는 마법사도 있다. 마법의 소질은 유전되는 경향이 짙기 때문에 마법사 우월주의는 마법사에 대한 순수혈통주의로 거듭나기 쉽다. 이렇게 순혈주의에 빠진 마법사들이 KKK단과 같은 집단을 결성하여 사회적 문제가 된다. 딱히 비마법사에 대한 멸시가 없는데도 혈통을 중요시하는 자들도 있다. 가계에서 대대로 전해져내려오는 마법을 미래에 온전히 넘겨주기 위해 수준도 종류도 비슷한 마법의 소유자만을 가문에 받는 케이스, 마력으로 인해 유전자가 변형되어 비슷하게 변형된 인물과만 자손을 만들 수 있는 자들이 그 예시.

한편 마법사들의 혈통을 거슬러 올라가면 귀족이 많다. 이는 권력자들이 마법의 힘을 얻기 위해 마법사와 혼약을 맺어 마법사의 피를 가문에 수혈한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 영향으로 선천적인 마법사들은 현대에서도 부유한 집안을 배경으로 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 마법사가 모두 귀한 집 자제인 것은 아니다. 후천적으로 마법의 소질을 개화하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 타고났는지 아닌지를 불문하고 일단 마법사가 되면 그 가문이 귀한 집안이 되는 것은 맞다. 비마법사와 특정 분야에서 현격한 능력 차를 보이고 그로 인해 막대한 재산을 벌어들이게 되기 때문이다. 마법사 사이의 경쟁이 있긴 하지만 전체 마법사라고 해봐야 비마법사에 비하면 소수인 덕도 있다. 대략 1000명 중 1명 꼴.

역사

마법사의 기원은 불분명하나 오래 전부터 사회 곳곳에 마법사는 존재해왔다. 속세와 떨어져 사는 마법사도 있었지만 마법사임을 숨기고 사회에 녹아드는 자도 마법사임을 밝히고 활동하는 자도 있었다. 그러나 12세기 즈음 유럽에서 대대적인 학살, 마녀사냥이 벌어지면서 자취를 감추게 됐다. 실제로 마법사들이 자주 처형된 건 아니고, 여기서도 대부분의 피해자는 비마법사였으나 마법적인 힘을 가진 존재에 대한 사회 일반의 경계심을 실감하게 되며 자발적으로 은둔하게 된 것이었다.

다만 순수하게 육체를 강화하는 마법사들은 비교적 덜 은둔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육체를 강화하는 마법이 불시의 기습에도 손쉬운 대처를 보장한 것도 있고, 인간 신체에 대한 과학적 계측과 그 한계에 대한 단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손 위에서 불이나 물 따위를 만들어내는 것보다 덜 초자연적으로 보인 덕도 있었다. 또한 마법사들은 교통망이 덜 발달했던 당시에도 드물게나마 암암리에 교류를 이어가며 자신들 외 마법과 관련된 각종 요소들, 마물이나 마도구 따위도 세간의 눈을 피해 격리시켰다. 마법적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게 하여, 자신들에 대한 추적을 관두게끔 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은폐 활동은 18세기 즈음 마녀사냥이 끝나고 산업혁명이 진행되던 때에 결실을 맺어 마법이 대체로 미신으로 취급되게 되었다. 결과 미신에 영향을 받는 마력의 특성에 의해 지구상의 마력 농도가 매우 저조해지기도 했다.

그러나 제3차 산업 혁명, 즉 정보화 혁명이 일어나고 인터넷이 개발됨에 따라 이러한 은폐는 무의미해졌다. 전세계적인 정보통신망이 형성되면서 마물, 마도구, 마법사에 대한 소수의 발견 정보가 통제할 새도 없이 전파되기 시작한 것. 결과 마법사들은 세간에 그 존재를 드러내게 됐다.

이후 2가지 이유로 마법사들은 매스컴에 자주 얼굴을 비추게 된다.

첫째는 마법사로서의 성장을 위해서였다. 마력을 통해 사람들에게 경외심을 받고, 위대한 존재로 우상화, 신격화되다 보면 대중의 미신에 따라 움직이는 마력의 특성상 세계로부터 보다 많은 마력을 얻거나 가지고 있는 마력의 컨트롤 능력이 향상됐기 때문이었다. 북한과 같은 독재 국가에서도 '수령님 축지법 쓰신다' 같은, 지도자의 초자연적 능력에 대한 이야기는 잘 믿지 않을 정도로 현대인들은 의심하는 능력이 발달했는데 그럴 수 있나 싶을 수 있으나, 실제로 마법사들이 초자연적인 능력을 갖고 있기에 옛 시대의 전쟁 영웅들처럼 사람들에게 환상을 심어주기가 어렵지 않다. 결과 엔터테이먼트 활동을 통해 경지를 높이는 성장 경로가 다수 마법사들에게 고려되게 된다.

둘째는 인식 개선. 은폐의 원인부터가 마녀사냥, 즉 마법사들에 대한 박해였다 보니 은폐가 불가능해진 시점에도 박해에 대한 두려움이 마법사 사회에 만연해있었다. 따라서 마법사에 대한 두려움이 떨어지도록, 그리하여 '익숙한 존재'로서 인류와 공존할 수 있게 되도록 매스컴에 자주 얼굴을 비추기 시작한 것. 첫째 이유와 달리 둘째 이유는 얼마 안 가 사라지게 되었다. 마녀사냥에 대한 일종의 반성에 의해 인류가 마법적인 존재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됐기 때문. 그렇다고 하여 자신을 손쉽게 죽일 수 있는 마법사에 대해 두려움을 품는 일반인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다만 마법적 존재에 대한 믿음이 일반화되며 그에 영향을 받아 지구상의 마력 농도가 올라가고, 위험 마물이 도시를 습격하게 되면서 '마물보다 낫다', '마법사가 없으면 마물에게 쉽게 대응하기 힘들다' 등을 이유로 그런 자들마저 대부분 마법사를 받아들이게 됐다.

마녀

魔女 | Witch

여성형 마법사를 이르는 말. 마녀사냥 등의 사건에서 주로 여성이 사악한 마법사로 지목됐던 탓에, 사악한 여성 마법사를 가리킬 때 사용되는 등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기기도 한다.

다만 현대에 와선 그런 부정적 어감이 많이 줄어들었다. 사실상 마법사와 동일 단어가 될 정도로 마법사의 성비가 여성, 즉 마녀 쪽으로 쏠려버렸기 때문. 비율은 최소 99.9% 이상으로 이는 후천적으로 각성한 마법사까지 포함한 비율이다. 이렇게 된 것은 마녀사냥 때문이다. 마녀사냥에서 인류가 마법사로 몰아간 대상은 대부분이 여성이었고, 그로 인해 '마법사는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이 생기며 그에 영향을 받은 지구의 마력이 마법사의 성비를 편향되게 만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