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선거인 수 | 1,068,160명 (2023) | |||
상위 행정구역 | 동래부 | |||
관할 구역 | 부산시 일원 | |||
설치년도 | 1933년 | |||
국회의원 | 타카츠카사 미코 |
개요
역사
분석
부산시는 진보적 성향의 선상 노동자들과 청년층, 보수적인 중장년층의 인구가 서로 비슷하여 국민당과 사민당을 위시로 한 진보정당이 경합하는 지역이었다.
2008년 부산 서부 교외 김해시 해안지역에 부산신항이 들어서며 선상노동자 인구가 급감하기 시작하여 보수 우세 지역으로 변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었으나, 부산 출신 사민당 정치인 타카츠카사 미코가 등장하며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2015년 43대 총선 이후로 사회민주당이 압승하는 중이다. 오히려 타카츠카사 의원의 지역구민과의 소통 노력과 부산시 국민당에 내분이 일어난 것이 겹쳐 보수층까지 더이상 국민당에게 투표하지 않게 되었다.
역대 의원
선거 | 당선인 | 당적 | 임기 |
19대 | 안희제 | 1933년 8월 20일 ~ 1937년 8월 25일 | |
20대 | 1937년 8월 26일 ~ 1941년 8월 25일 | ||
21대 | 1941년 8월 26일 ~ 1945년 8월 23일 |
역대 선거결과
제42대 국민원의원 선거
부산시 동래부 부산시 일원 | |||
후보 | 후보 성명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민지환 | - | 1위 |
---|---|---|---|
48.72% | 당선 | ||
2 | 이재관 | 2위 | |
26.19% | 낙선 | ||
3 | 김경준 | 3위 | |
22.64% | 낙선 | ||
8 | 성용태 | 5위 | |
무소속 | 낙선 | ||
9 | 양재경 | 4위 | |
무소속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52,471 | 투표율 72.74% |
투표수 | |||
무효표 수 |
제43대 국민원의원 선거
부산시 동래부 부산시 일원 | |||
후보 | 후보 성명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임규환 | 286,937 | 2위 |
34.88% | 낙선 | ||
2 | 타카츠카사 미코 | 288,089 | 1위 |
---|---|---|---|
35.02% | 당선 | ||
3 | 김경준 | 4위 | |
13.24% | 낙선 | ||
8 | 박순영 | 5위 | |
무소속 | 0.55% | 낙선 | |
9 | 민지환 | 3위 | |
무소속 | 16.3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04,729 | 투표율 74.82% |
투표수 | 826,558 | ||
무효표 수 | 3,918 |
제44대 국민원의원 선거
부산시 동래부 부산시 일원 | |||
후보 | 후보 성명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일상 | 239,814 | 2위 |
31.75% | 낙선 | ||
2 | 타카츠카사 미코 | 502,137 | 1위 |
---|---|---|---|
66.48% | 당선 | ||
7 | 임성욱 | 12,491 | 3위 |
1.65% | 낙선 | ||
8 | 정태균 | 878 | 4위 |
무소속 | 0.1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72,662 | 투표율 70.65% |
투표수 | 757,836 | ||
무효표 수 | 2,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