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연방 (The Eternal Empire)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국기 국가문장
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상징물
국가 소비에트 연방 찬가
국조
국화 해바라기
역사
연방 수립 1922년
대조국 전쟁 1939년~1945년
개혁,개방 1985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모스크바
최대도시
주요도시
하위 행정구역 1개 SFSR,16개 SSR
면적 25,709,548km2
접경국 노르웨이
핀란드
폴란드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튀르키예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가니스탄
티베트
후이
몽골
대한제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326,730,819명세계 3위
인구 밀도 12.708명/km2
민족 구성
출산율 1.75명 (2030년)
기대수명 80세 (2030년)
공용어 없음사실상 러시아어
공용문자 키릴문자
종교 국교 국가 무신론
분포 무종교 60%, 정교회 20%, 이슬람 10%등 (2030년)
군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공화제, 양원제, 다당제사실상 일당제,민주집중제, 연방제
민주주의 지수 2.54점 | 권위주의
서기장 (국가 원수)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
(정부 수반)
드미트리 메드메데프
정부
요인
입법부 소련 최고회의
집권 여당 소련 공산당
연립 여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부분적 시장경제,시장사회주의
GDP
(PPP)
1인당
GDP
(명목)
1인당
국부
수출
입액
수출
수입
외환보유액
신용 등급 무디스
S&P
Fitch
통화 화폐 소련 루블(₽)
ISO 4217 SUR
국가
예산
1년 세입
1년 세출
단위
[ 펼치기 · 접기 ]
도량형 SI단위
통행 방향 우측통행
연호 서력 기원
시간대 GMT+02:00~+12:00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48년
수교국
ccTLD
.su
국가 코드
SU, SUN, 810
국제 전화 코드
+7
위치

개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약칭 소련은 동유럽에서부터 중앙아시아,북아시아에 걸친 사회주의 국가이다.
GDP 세계 4위,제2세계의 맹주이자,미국,한국,인도와 함께 냉전을 이끄는 초강대국중 하나이다.

역사

1922년 연방 성립이래 스탈린의 공업화정책으로 소련은 대공황마저 지나치고 성장을 이루어냈다.
대조국전쟁은 상처입었으나 소련은 무너지지않았고,소련은 동유럽으로 그리고 중동으로 패권을 확장하였다.
스탈린 사후에 흐루쇼프가 집권하였으나,농업정책 실패와 지도부내 불만으로 실각하고 브레즈네프가 집권하였다.
브레즈네프 집권기에 소련은 다시 성장하는 동시에 집권 중반부부터의 데탕트로 냉전또한 완화하였으나 이란-이라크전쟁에 개입하며 그 데탕트는 끝맺었다.
그의 사후에 유리 안드로포프,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짧은 집권기끝에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집권하였다.
그의 집권기에 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개혁·개방)정책으로 경제체제를 시장사회주의 체제로 전환하여 소련은 지속가능하게 되었다.[1]
또한 집단지도체제또한 공고화되었고,그 체제는 후의 리시코프,즈다노프의 집권기에도 이어지게되었다.
허나 즈다노프 집권기부터 집단지도체제가 무너지기 시작했고,2020년 푸틴집권기부터 아예 무너지고 다시 1인독재체제로 돌아섰고,2022년 튀르키예침공이 성공하며 이는 공고화되었다.

하위 행정구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구성국
[ 펼치기 · 접기 ]
  1. 이시기에 개혁·개방이 없었다면 2000년 이전에 소련을 포함한 제2세계 국가들의 체제자체가 붕괴하였을것이란 전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