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전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야에야마 타이틀}} '''어전회의'''({{llang|ja|御前會議<small>고젠카이기</small>}})는 근대 야에야마(八重山)에서 덴테(天帝<small>천제</sma...)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야에야마 타이틀}}
{{야에야마 타이틀}}


'''어전회의'''({{llang|ja|御前會議<small>고젠카이기</small>}})는 근대 [[야에야마]](八重山)에서 [[덴테]](天帝<small>천제</small>), [[원로]](元老), 고위 각료들과 지방 번주 및 군 수뇌부들이 참석하여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던, 국정최고기구로서 기능했으나 1870년대에 근대적 입헌제와 [[내각의원제|내각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운용되었던, 임시기구에 가까웠다. 어전회의는 [[덴테]]의 대권 아래 [[내무참의]](內務參議)가 주도했으며, 과반수에 입각한 거수투표를 주로 활용했다.
'''어전회의'''({{llang|ja|御前會議<small>고젠카이기</small>}})는 근대 [[야에야마]](八重山)에서 [[덴테]](天帝<small>천제</small>), [[원로]](元老), 고위 각료들과 지방 번주 및 군 수뇌부들이 참석하여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던, 국정최고기구로서 기능했으나 실상은 근대적 [[입헌군주제]]와 [[내각의원제|내각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운용되었던 임시기구에 가까웠다. 어전회의는 [[덴테]]의 대권 아래 [[내무참의]](內務參議)가 주도했으며, 과반수에 입각한 거수투표를 주로 활용했다.
 
==개요==
1855년, [[하세나가 막부]](支長幕府)가 [[덴케이 혁명]](天慶革命)으로 멸망한 뒤, [[덴테]]를 주축으로 한 [[조정파]](公波), [[다케토미 이치로]]를 중심으로 한 [[덴케이 혁명|혁명 세력]]은 과거 막부와 조정간의 이원화된 통치에 대한 반감과 낮은 효율성을 이유로 하여 중앙정치의 일원적 운영을 위해 막부의 유력 인사들과 조정의 유력 인사들간의 국정 운영을 위한 통합 회의 기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것이 '''어전회의'''였다.
 
어전회의는 [[조정파]]와 [[신막파]]로 하는 [[양당제]]의 성격을 띈 모습이 강했으나, 지방 번주들과 군 수뇌부들의 참석이 있었기에 이 둘 세력만으로 독단적인 정책 추진에 대해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나 중앙집권제를 확립하고 천제정(天帝政)을 공고히 할 것을 주장한 [[조정파]]와 군 수뇌부<ref>군 수뇌부의 목적은 천제에 대한 국군 통솔권을 인정하는 것을 통해 [[다케토미 막부|신막부]]와 [[조정]]의 통제에서 벗어나 군부의 세력화를 계획하려 했기에 일시적으로나마 조정파의 외견적 입헌군주정(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정)을 지지하였다.</ref><ref>천제에게 군 통수권이 인정될 시에 민간 정부의 군부 통제 및 개입이 사실상 어려워지기 때문인데, 이는 정부가 군부에 대한 개입을 시도할 시 '천제의 군 통수권'을 들먹이며 '천제의 고유 권한을 침해한 조적(公狄)'으로 여론을 몰아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ref>, [[영국]]과 [[네덜란드]] 등의 유럽의 입헌군주정을 채택하려던 [[막부파]]와 지방 번주간의 입장 대립은 자칫 양측간 세력 충돌로 빙자될 수 있었다.


[[분류:야에야마]]
[[분류:야에야마]]

2018년 6월 29일 (금) 21:50 판

어전회의(일본어: 御前會議고젠카이기)는 근대 야에야마(八重山)에서 덴테(天帝천제), 원로(元老), 고위 각료들과 지방 번주 및 군 수뇌부들이 참석하여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던, 국정최고기구로서 기능했으나 실상은 근대적 입헌군주제내각제도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운용되었던 임시기구에 가까웠다. 어전회의는 덴테의 대권 아래 내무참의(內務參議)가 주도했으며, 과반수에 입각한 거수투표를 주로 활용했다.

개요

1855년, 하세나가 막부(支長幕府)가 덴케이 혁명(天慶革命)으로 멸망한 뒤, 덴테를 주축으로 한 조정파(公波), 다케토미 이치로를 중심으로 한 혁명 세력은 과거 막부와 조정간의 이원화된 통치에 대한 반감과 낮은 효율성을 이유로 하여 중앙정치의 일원적 운영을 위해 막부의 유력 인사들과 조정의 유력 인사들간의 국정 운영을 위한 통합 회의 기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것이 어전회의였다.

어전회의는 조정파신막파로 하는 양당제의 성격을 띈 모습이 강했으나, 지방 번주들과 군 수뇌부들의 참석이 있었기에 이 둘 세력만으로 독단적인 정책 추진에 대해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특히나 중앙집권제를 확립하고 천제정(天帝政)을 공고히 할 것을 주장한 조정파와 군 수뇌부[1][2], 영국네덜란드 등의 유럽의 입헌군주정을 채택하려던 막부파와 지방 번주간의 입장 대립은 자칫 양측간 세력 충돌로 빙자될 수 있었다.

  1. 군 수뇌부의 목적은 천제에 대한 국군 통솔권을 인정하는 것을 통해 신막부조정의 통제에서 벗어나 군부의 세력화를 계획하려 했기에 일시적으로나마 조정파의 외견적 입헌군주정(프로이센식 입헌군주정)을 지지하였다.
  2. 천제에게 군 통수권이 인정될 시에 민간 정부의 군부 통제 및 개입이 사실상 어려워지기 때문인데, 이는 정부가 군부에 대한 개입을 시도할 시 '천제의 군 통수권'을 들먹이며 '천제의 고유 권한을 침해한 조적(公狄)'으로 여론을 몰아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