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다를

개요

소와 말의 거죽은 다르다는 말로 한 쪽이 다른 쪽을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풍영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 속금세절요(續今世節要)[1] '휼무거왕기'(鷸武炬王記)에서 유래되었다.

(휼무거) 왕이 말했다. "독지(獨池)[2]를 정벌하는데 쓸 말이 부족하니 소를 쓰는것이 어떠한가." 이에 이좌지(伊佐支)[3] 역솔발련(易率發練)이 간하길, "소와 말의 거죽은 달라 대신할 수 없습니다. 말은 달리고자 쓰이며, 소는 밭을 갈고자 쓰입니다. 소를 전쟁에 쓰려 한다면 백성의 고통이 헤아릴 수 없을 것입니다." 왕은 그 말이 옳다 여겨 전쟁을 금하고 농사에 힘쓰라 명하였다.
《속금세절요》 권 제6 휼무거왕기 中

각주

  1. 신대(神代)부터 비미천 시대까지 취급한 역사서로 흠고천존(欽高天尊)의 명으로 소가법사(昭伽法師) 등이 편찬하였다.
  2. 고산도(高山道)에 위치했다고 전해지는 나라로 휼무거왕 시기 이전부터 비미천의 변경을 약탈하였다. 휼무거왕 사후 즉위한 읍차려왕(邑此麗王)이 489년에 병사를 이끌고 독지 추장, 타사간우능(打司干羽陵)을 사로잡은 뒤 멸망시켰다.
  3. 비미천의 관등 중 하나. 비상설 최고 관직인 구조부리한말(具朝富利旱末) 다음으로 높았으며 사실상 재상의 지위에 맞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