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정사역 Unjeongsa Station | 雲情寺驛 | |||
---|---|---|---|
(폐역) | |||
주소 | |||
경월북도 명주시 풍리읍 적령로1513번길 41-9 (선철리 195) | |||
관리역 등급 | |||
폐역 | |||
개업일 | |||
북월선 | 2022년 12월 13일 ~ 2040년 12월 13일 | ||
승강장 구조 | |||
1면 4선 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북한월 방면 ← 7.8km |
북월선 (폐역) |
월동 방면 풍 리 6.1km → |
개요
구름과 맞닿은 설백산자락의 간이역
운정사역은 2022년 12월 13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구름과 맞닿을 정도로 높게 치솟은 설백산을 병풍삼아 산자락에 자리한 이 작은 간이역의 이름은 인접한 운정사라는 절의 이름을 따와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하루 네 번 서는 열차의 시간표는 설백산을 등산하기 위한 이들을 위해 아침에 두 번, 오후에 두 번 머무르도록 되어 있었으나, 2040년 12월 북월선 복선전철 사업으로 폐역되었다.
철도건설공단의 공식 소개 문구
운정사역은 2022년 12월 13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면서 보통역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구름과 맞닿을 정도로 높게 치솟은 설백산을 병풍삼아 산자락에 자리한 이 작은 간이역의 이름은 인접한 운정사라는 절의 이름을 따와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하루 네 번 서는 열차의 시간표는 설백산을 등산하기 위한 이들을 위해 아침에 두 번, 오후에 두 번 머무르도록 되어 있었으나, 2040년 12월 북월선 복선전철 사업으로 폐역되었다.
철도건설공단의 공식 소개 문구
북월선의 철도역. 경월북도 명주시 풍리읍 적령로1513번길 41-9 (선철리 195) 소재.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하였다.
역 정보
인근에 운정사가 있다. 역세권이 꽤나 미약하긴 하지만 설백산 등산객 수요는 있었던편이다. 아예 열차 정차 시각표가 수도권 등산객 위주로 짜여 있었을 정도. 하행선은 오전에만 두 번 정차하고[1], 상행선은 오후에만 두 번[2] 정차했다.
2040년 12월 14일에 적령터널 구간 이설공사가 완료되면서 폐역되었다.
역 인근을 수시로 왔다갔다 하는 두 눈의 색이 다른 하얀 고양이가 살고 있다. 역을 방문하는 사람만 보이면 무작정 다가가서 비비려고 하니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조심해야 한다.
승강장
적령 ↑ | |||
ㅣ | ㅣ | ||
↓ 풍리 |
북월선 |
일평균 이용객
연도 | 무궁화호 | 비고 |
---|---|---|
2024년 | 11명 | |
2025년 | 12명 | |
2026년 | 14명 | |
2027년 | 11명 | |
2028년 | 15명 | |
2029년 | 17명 | |
2030년 | 25명 | |
2031년 | 22명 | |
2032년 | 18명 | |
2033년 | 21명 | |
2034년 | 19명 | |
2035년 | 19명 | |
2036년 | 15명 | |
2037년 | 18명 | |
2038년 | 12명 | |
2039년 | 12명 | |
2040년 | 11명 |
둘러보기
북월선의 철도역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