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의 불란서 세계관

틀:대한국의 대외전쟁

인도네시아 전쟁
Indonesian War
기간
1961년 12월 15일 ~ 1962년 8월 5일
장소
인도네시아 전역
원인
인도네시아의 서파푸아 침공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외교적 갈등
결과
한국의 승리
영향
인도네시아의 말라야 연방 독립 인정
인도네시아 정부의 지방 장악력 약화와 분리독립 가속화
교전국
대한국
말라야 연방
영국
서파푸아 공화국
남말루쿠 공화국
폰티아낙 술탄국
인도네시아
지원국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병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피해 규모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개요

인도네시아 전쟁은 1961년 12월 15일부터 1962년 8월 5일까지 한국과 영국-말라야 연방 연합군과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벌인 전쟁이다. 연합군은 서파푸아를 침공한 인도네시아군을 몰아내는 동시에 인도네시아 내에서 분리독립을 원하는 지역을 해방하였다.

한국에서의 정식 명칭은 인도네시아 전쟁이며 약칭으로는 인니전이라고 부른다.

배경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갈등

아시아 태평양 전쟁 말엽 한국은 이위종-수카르노 회담을 통해 전후 인도네시아 임시정부를 인정하고 그들의 독립을 보장하였다. 그러나 네덜란드와 영국은 임시정부를 인정하지 않으며 인니를 침공했고 한국은 인니를 지원하겠다고 선언함과 동시에 서방국의 철수를 요구했다. 이미 인니 민병대와의 전투에 당황해 전쟁 지속을 망설이던 영국은 곧바로 철군하였고 1946년 네덜란드도 마지못해 인도네시아 임시정부를 인정하였다. 이에 따라 이듬해인 1947년 1월 인도네시아 공화국이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는 명목상의 출범이었다. 여전히 많은 친란 번왕국들이 인니 내에 남아있었고 이들은 공화국으로의 통합을 거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심지어는 네덜란드에 밀려 쫓겨났던 술탄 가문이 자기 영지에 돌아와 술탄국의 재성립을 선언하기도 했다. 한국은 서방국의 식민지 재획득을 막기위해 하나의 단결된 정부를 원하기는 했지만 말라카 해협 입구 부분에 있어 대단히 중요했던 리아우링가 제도와 칼라만탄, 술라웨시, 말루쿠등에 위치한 유전지대 또한 원했기에 인니 중앙정부와 번왕국들을 중재하며 최대한의 이득을 얻고자 했다. 그러나 이는 수카르노와 우익 군부 및 인니 민족주의자들에게 대단히 못마땅한 것이었다. 결국 1950년대 중반부터 인니 정부군은 각 번왕국을 무력으로 공략하며 완전히 합병하기 시작했고 번왕국들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던 한국과의 충돌은 불가피하게 되었다.

결국 한국과 인니의 갈등은 1957년 동티모르 봉기와 1959년 리아우링가 조차 문제, 1960년 서파푸아 문제로 극에 달했다. 인도네시아 측은 네덜란드령 동인도 전역이 자신들에게 속해야 한다며 동티모르 봉기를 무력으로 진압하고 서파푸아 합병을 공공연하게 주장하였다. 게다가 한국이 리아우링가 자치정부와 따로 협상해 얻어낸 조차권도 59년 인니 정부군이 리아우링가 제도를 침공하면서 종료되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한국 정부는 인니를 공격하기로 완전히 결정하였다.

말라야 인도네시아 갈등

1952년 영국령 말라야가 독립하며 말라야 연방이 성립되었다. 하지만 수카르노가 말라야를 영국 신제국주의의 발판이라고 발언하며 두 나라는 완전히 적대하기 시작했다. 물론 그런 이유만 있던 것은 아니었다. 인니가 말라야계 인종이 많은 리아우링가를 차지하고 보르네오 북부 지역까지 노리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더욱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서파푸아 침공

1961년 8월 20일, 인도네시아군이 네덜란드령 파푸아를 침공했다.

  1. 국방대신
  2. 해군통령
  3. 육군통령
  4. 해병대사령관
  5. 야전군사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