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나리 이데아포비아




문서 열람 시 세계관 특성 상 극도록 혐오스럽거나 잔혹하고 민감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저작자는 등장하는 특정 집단, 개인, 사상을 지지하거나 찬양하지 않습니다.
[ 트리거 목록 열기 ]
동물 살해, 살인, 자살 및 자해, 약물사용, 음주 및 흡연, 욕설, 폭행, 고문, 신체훼손, 시체훼손, 식인, 납치, 병리학적 정신증상
가정폭력, 존속살해, 오컬트, 공포, 고어 및 그로테스크, 가스라이팅, 왕따, 광과민성 요소, 멀미를 유발하는 요소, 흉기 및 총기
전쟁범죄, 차별, 신체변형, 교통사고, 강제화된 사상 및 행동









히나리국
日鳴国






“ 極楽浄土彼岸国
극락정토피안국 ”


히나리는 세상에서 가장 우울한 국가이자, 동시에 세상에서 가장 화려한 국가이기도 한 이중적인 모습의 불야성의 극락정토국이다. 한 때 람의 야성까지 위협했을 만큼 동방의 최강대국으로 발돋움할 가능성을 보였던 국가였으나, 전쟁에서 대패하고 페트리카의 사실상 경제 속국으로 전락하였고, 이후 페트리카의 후원 하에 재개하였으나 다시금 환율과 함께 거품이 주저앉으며 벗어나지 못할 침체기에 도달했다.



RECORD#01
정치



RECORD#01-01
태정관백
太政関白


태정관백은 히나리의 정권을 장악하고 있는 사실상의 전제권을 휘두르는 독재적 지도자이다. 원칙상 태정관백은 히나리 국회에서 선출되며 타국 내각총리와 거의 동일한 선출방식을 가진다. 그러나 히나리 국회는 역사 대대로 민정회가 장악하고 있으며, 태정관백직은 사실상 도노마에 가문이 대대로 물려받고 있는 등 사실상의 전제군주나 다를바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임 도노마에 타케치요 태정관백조차도 의회가 5번 회기를 하는 동안 한번도 바뀐 적 없는 것을 보면 알 수 있고, 전임 태정관백이자 현임 도노마에 타케치요의 아버지였던 도노마에 히로타다(殿前広忠)조차도 민정회 소속이었고 친형 도노마에 나가사토시(殿前呂智)에게서 태정관백직을 물려받았다는 것을 보면 얼마나 정치세습이 심한지 알 수 있다.

명목상 태정관벡은 어천의 임명 없이는 인정되지 않는다. 민선으로 선출되었다고 해도 어천이 거부하면 선거 자체가 무효화된다는 것이다. 명목상으로는 민선의 결과는 어천의 ‘참고지표’ 정도로 여겨질 뿐, 어천의 태정관백 지명에 있어서 민선 결과가 포함될 의무는 없다. 그러나, 군부가 붕괴하고 전후 문민 정부가 들어선 이후 시점부터 단 한번도 민선의 결과가 어천의 의사와 불일치한 적 없었다.

RECORD#03-01-01
내각전
内閣殿

내각전은 태정관백을 최고 우두머리로 하는 히나리의 행정조직으로, 행정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히나리의 내각전에는 태정관백을 보좌하며 내각전을 운영하는 경영자가 있는데, 사실상 태정관백이 군주나 다름 없는 권력을 쥐는 구조 상 전제군주제 하의 수상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직으로 관방대로(官房大老)이라 부른다. 내각전 산하에는 관(官)과 성(省)에 해당하는 조직이 있으며 이들이 행정각부에 해당한다.

내각전의 산하 중앙성청은 다음과 같다.


히나리 내각전 중앙성청

태정관
太政官
태정관은 히나리의 중앙 행정조직 중 하나로 태정관백을 보좌하는 내각의 역할을 수행한다. 태정관이 태정관백의 직속 기관인 것은 맞지만, 태정관의 장은 태정관백 본인이 아니며, 태정관장관(太政官長官)이 태정관의 장이다.
  • 소납언국(少納言局)[설명]태정관의 행정잡무를 담당하는 비서기관이다.

중무성
中務省
중무성은 내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소방, 우정, 행정, 인사 등의 업무도 담당한다.
식부성
式部省

식부성은 언령과 폐현치뇌 이후 전뇌영역을 관리하는 조직이로, 과학기술부의 역할을 겸한다.

치부성
治部省

치부성은 문화와 교육, 외교를 담당하는 조직이다.

민부성
民部省

민부성은 후생복지, 1차 산업, 국토개발과 교통 관련 사무를 담당하는 조직이다.

병부성
兵部省

병부성은 국방을 담당한다. 하지만 실상은 각 영지마다의 묘슈가 사실상의 사병을 거느리고 있어서 권한이 강하진 않다. 이는 중앙집권적 군대가 어떤 결과를 보였는지 쇼군 체제를 통해 증명했기 때문이다. 병부성은 그렇기에 묘슈간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역할을 겸한다.

형부성
刑部省

형부성은 법무와 안보, 치안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대장성
大蔵省

대장성은 재무 및 조세, 경제산업을 담당하는 조직이다.

궁내성
宮内省

궁내성은 어천과 관련된 사무를 보거나 조달 및 내각전의 조직행정을 담당한다.




RECORD#01-02
어천
御天


어천은 히나리의 군주이다. 명목상 히나리의 상징인 존재이자 현인신(現人神)이다. 히나리의 전제권을 소유하고 있으나 실질 행사는 태정관백이 전면 대행하며, 대신 상징으로서 절대 권위를 인정받아 예우와 종교의 대상이 된다. 신법습합의 예에 따라서 어천은 동시에 법교, 그중에서도 히나리에서 주로 신앙되는 밀언종에서 지극히 모셔지는 대일세존(大日世尊)의 화신체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



RECORD#02
사회



RECORD#02-01
폐현치뇌
廃現置脳


폐현치뇌는 히나리에서 이루어진 가장 거대한 국가 사업이었다. 전후 정이대장군 중심의 군정이 붕괴하고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난에 시달리던 히나리는 우울하고 피폐한 현실을 숨기기 위해 문민 내각전을 중심으로 국가 전역에 홀로그램 장비를 설치했고, 그 결과 국가 전체가 일종의 전뇌 영역이 되었다. 이때 이드 역시 사용되어, 사이버 공간이 현실과 붙어버렸고, 사이버 공간이 현실에 물리적 형상을 가지고 구현되었다.

이 탓에 히나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비현상도가 높은 국가이기도 하며, 물리 법칙 또한 가볍게 무시되는 경향이 강하다. 히나리를 처음 방문하는 이들에게 가이드가 반드시 필요한 이유이다.






Copyright 2025. 금태자. All rights reserved.
이곳을 클릭해 라이선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이데아포비아 라이선스



이데아포비아의 이름으로 창작된 모든 형태의 지적재산(이하 "본 저작물")은 금태자(이하 "저작자")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자는 본 세계관과 관련된 모든 저작권, 사용권, 편집권을 포함한 일체의 권리를 소유합니다. 본 저작물에 대한 어떠한 제3자의 권리 주장도 인정되지 않으며, 저작자의 허가 없이 복제, 배포, 전송, 전시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본 저작물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설정, 역사, 문화, 종교, 철학, 지리, 정치 체계 등 세계관 전반.
  • 고유 용어, 개념, 명칭 및 독창적인 표현.
  • 캐릭터, 사건, 조직 등 본 저작물에 기반한 모든 서사적 요소.
  • 고유한 특징을 가진 이미지, 음악, 영상 등.

위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저작물에 대한 절대적 권리는 저작자에게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 및 비공유 목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자의 명시적 허가 없이 본 저작물의 요소를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없으며, 본 저작물을 기반으로 한 2차적 저작권, 상표권, 기타 지식재산권의 등록 또한 금지됩니다.

비상업적 2차 창작(팬아트, 팬픽션 등)은 저작자의 원칙을 준수하는 한에서 허용될 수 있으나,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이를 수익화하는 행위(예: 후원, 광고 게재)는 원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한다고 판단될 경우, 저작자는 경고 후 민·형사상 법적 대응을 취할 권리를 가집니다. 또한, 본 저작물에 기반한 설정, 문서, 창작물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재배포하거나 수정·배포할 수 없습니다. 출판, 영상화, 게임화 등 본 저작물을 활용한 프로젝트 또한 저작자의 사전 승인 없이 진행할 수 없습니다.

저작자가 직접 발표한 설정만이 공식 설정으로 인정되며, 제3자가 창작한 콘텐츠는 비공식 설정으로 간주됩니다. 공식 설정과 충돌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저작자는 해당 창작물이 비공식적 성격임을 명확히 밝힐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저작권법 및 국제 저작권 협약(베른 협약 등)에 의해 보호됩니다. 무단 사용이 적발될 경우, 저작자는 사전 경고 없이도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피해 금액 산정을 포함한 민·형사상 대응을 진행할 권리를 가집니다. 저작자의 동의 없이 본 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창작물의 삭제 및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저작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 저작자가 허가한 영역에 한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저작물을 제작할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에 사용된 위키미디어 및 CSS 문법, 제이위키에 작성된 문서 자체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제이위키의 CC-BY-SA 3.0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