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조약 (1918)(승리의 왕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15번째 줄:
| 번호 =  
| 번호 =  
| 언어 = [[독일어|도이치어]]/[[영어|잉글랜드어]]
| 언어 = [[독일어|도이치어]]/[[영어|잉글랜드어]]
| 내용 = [[제1차 세계 대전(승리의 왕관)|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 제3공화국(승리의 왕관)|프랑]]의 처리
| 내용 = [[제1차 세계 대전(승리의 왕관)|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라이히 제3공화국(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처리
| 관련 =  
| 관련 =  
| 위키 =  
| 위키 =  
21번째 줄: 21번째 줄:
}}
}}


'''베를린 조약'''(<small>[[독일어|도이치어]]:</small>Vertrag von Berlin, <small>[[영어|잉글랜드어]]:</small>Treat of Berlin)은 1918년 2월 16일에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과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 사이에 체결된 [[제1차 세계 대전(승리의 왕관)|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조약이다. 1916년의 [[제2차 베르시에그 조약(승리의 왕관)|제2차 베르시에그 조약]]으로 틀이 잡혔으며, [[베를린 평화회담(승리의 왕관)|베를린 평화 회의]]를 통해 서명되었다. 협정은 1918년 2월 16일 2시 16분에 [[베를린 성(승리의 왕관)|베를린 성]]에서 체결되었으며, 1919년 1월 1일에 공표했다. 조약은 [[프랑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 제재에 관한 규정을 포함한다.
'''베를린 조약'''(<small>[[독일어|도이치어]]:</small>Vertrag von Berlin, <small>[[영어|잉글랜드어]]:</small>Treat of Berlin)은 1918년 2월 16일에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과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 사이에 체결된 [[제1차 세계 대전(승리의 왕관)|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조약이다. 1916년의 [[제2차 베르시에그 조약(승리의 왕관)|제2차 베르시에그 조약]]으로 틀이 잡혔으며, [[베를린 평화회담(승리의 왕관)|베를린 평화 회의]]를 통해 서명되었다. 협정은 1918년 2월 16일 2시 16분에 [[베를린 성(승리의 왕관)|베를린 성]]에서 체결되었으며, 1919년 1월 1일에 공표했다. 조약은 [[프랑라이히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 제재에 관한 규정을 포함한다.


==조약 서명 당시 상황==
==조약 서명 당시 상황==
모든 나라들의 지도자들을 평화 조약 체결에 초대했지만 패전국에는 지도자가 없었다. 몇몇 인사들은 대단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는데, 4개 승전국의 지도자들이 그들에 해당된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황태자, [[빌헬름 3세(승리의 왕관)|프리드리히 빌헬름]],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의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승리의 왕관)|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불가리아(승리의 왕관)|불가리아 차르국]]의 수상, [[바실 라도슬라보프(승리의 왕관)|바실 라도슬라보프]],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의 [[데라우치 마사타케(승리의 왕관)|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바로 그들이다.
모든 나라들의 지도자들을 평화 조약 체결에 초대했지만 패전국에는 지도자가 없었다. 몇몇 인사들은 대단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는데, 4개 승전국의 지도자들이 그들에 해당된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황태자, [[빌헬름 3세(승리의 왕관)|프리드리히 빌헬름]],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의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승리의 왕관)|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불가리아(승리의 왕관)|불가리아 차르국]]의 수상, [[바실 라도슬라보프(승리의 왕관)|바실 라도슬라보프]],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의 [[데라우치 마사타케(승리의 왕관)|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바로 그들이다.


지도자들은 서약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였고, 각각의 주장은 다양하였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빌헬름 3세(승리의 왕관)|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을 분열시키고 왕정을 수립하기를 원했다. 또한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대공국]]와 [[외스터라이히(승리의 왕관)|외스터라이히]]를 합병하기를 원했으며, 동유럽을 군주주의 국가로 만들기를 원했다. 그에 반해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에 왕정을 세우되, 입헌군주국이 되기를 원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도 그러기를 원했다. 또한 [[불가리아(승리의 왕관)|불가리아]]의 [[바실 라도슬라보프(승리의 왕관)|바실 라도슬라보프]]는 [[오스만 제국(승리의 왕관)|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니예(승리의 왕관)|콘스탄티니예]]를 점령하기를 원했으며, [[발칸 반도(승리의 왕관)|발칸 반도]]에 대한 주도권을 원했다. 동아시아의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태평양(승리의 왕관)|태평양]]과 [[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원했다.
지도자들은 서약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였고, 각각의 주장은 다양하였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빌헬름 3세(승리의 왕관)|프리드리히 빌헬름]]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을 분열시키고 왕정을 수립하기를 원했다. 또한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대공국]]와 [[외스터라이히(승리의 왕관)|외스터라이히]]를 합병하기를 원했으며, 동유럽을 군주주의 국가로 만들기를 원했다. 그에 반해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에 왕정을 세우되, 입헌군주국이 되기를 원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도 그러기를 원했다. 또한 [[불가리아(승리의 왕관)|불가리아]]의 [[바실 라도슬라보프(승리의 왕관)|바실 라도슬라보프]]는 [[오스만 제국(승리의 왕관)|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니예(승리의 왕관)|콘스탄티니예]]를 점령하기를 원했으며, [[발칸 반도(승리의 왕관)|발칸 반도]]에 대한 주도권을 원했다. 동아시아의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태평양(승리의 왕관)|태평양]]과 [[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원했다.


==조약의 내용==
==조약의 내용==
조약은 총 300여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이 [[프랑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과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에 관한 내용이다.
조약은 총 300여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이 [[프랑라이히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과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에 관한 내용이다.
===영토 관련===
===영토 관련===
영토 관련 조약은 1조부터 5조까지 해당된다.
영토 관련 조약은 1조부터 5조까지 해당된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프랑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의 [[서 알자스-로트링겐(승리의 왕관)|서 알자스-로트링겐]] 할양 (1조)
*[[프랑라이히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서 알자스-로트링겐(승리의 왕관)|서 알자스-로트링겐]] 할양 (1조)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에게 [[노르주(승리의 왕관)|노르주]]를 할양한다 (2조)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에게 [[노르주(승리의 왕관)|노르주]]를 할양한다 (2조)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합병 (3조)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의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합병 (3조)
40번째 줄: 40번째 줄:
*[[북이탈리아 도이치 점령지(승리의 왕관)|북이탈리아]]에게 [[알프마리팀주(승리의 왕관)|알프마리팀주]]와 [[코르시카 섬(승리의 왕관)|코르시카 섬]] 할양 (5조)
*[[북이탈리아 도이치 점령지(승리의 왕관)|북이탈리아]]에게 [[알프마리팀주(승리의 왕관)|알프마리팀주]]와 [[코르시카 섬(승리의 왕관)|코르시카 섬]] 할양 (5조)
===정책/정치 및 외교 관련===
===정책/정치 및 외교 관련===
[[프랑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 및 [[유럽]]에 대한 조항은 6조부터 63조까지 해당된다. 조약의 두번째 내용에 해당되며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내부 정책과 [[유럽]]의 외교 정책들을 관리하는 조항이다.
[[프랑라이히 제4왕국(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 및 [[유럽]]에 대한 조항은 6조부터 63조까지 해당된다. 조약의 두번째 내용에 해당되며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내부 정책과 [[유럽]]의 외교 정책들을 관리하는 조항이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색션1
*색션1
**6조~12조: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6조~12조: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2
*색션2
**13조~15조: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13조~15조: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3
*색션3
**16조~20조: [[스페인(승리의 왕관)|스페인]]과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16조~20조: [[스페인(승리의 왕관)|스페인]]과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4
*색션4
**21조~27조: [[이탈리아 임시 정부(승리의 왕관)|이탈리아]]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21조~27조: [[이탈리아 임시 정부(승리의 왕관)|이탈리아]]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5
*색션5
**28조~36조: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28조~36조: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6
*색션6
**37조~40조: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 국경에 대한 비무장화
**37조~40조: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 국경에 대한 비무장화
58번째 줄: 58번째 줄:
**41조~54조: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와의 외교 정책 및 주권
**41조~54조: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와의 외교 정책 및 주권
*색션8
*색션8
**55조~59조: [[안도라(승리의 왕관)|안도라]]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55조~59조: [[안도라(승리의 왕관)|안도라]]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9
*색션9
**60조~61조: [[모나코(승리의 왕관)|모나코]]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60조~61조: [[모나코(승리의 왕관)|모나코]]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색션10
*색션10
**62조~63조: [[스위스(승리의 왕관)|스위스]]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외교
**62조~63조: [[스위스(승리의 왕관)|스위스]]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외교


===군 관련===
===군 관련===
많은 규정들이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군사력을 제한하고 유럽에서의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세력 확보를 제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군과 관련된 조향은 5번째 부분을 이룬다.
많은 규정들이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군사력을 제한하고 유럽에서의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세력 확보를 제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군과 관련된 조향은 5번째 부분을 이룬다.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은 대포 5,000문과 비행기 25,000대, 4분의 3의 장갑차와 모든 함선을 양도해야 한다.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은 대포 5,000문과 비행기 25,000대, 4분의 3의 장갑차와 모든 함선을 양도해야 한다.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군대는 육해군을 합쳐 10만 명으로 제한하며, 항공 전력은 금지한다.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군대는 육해군을 합쳐 10만 명으로 제한하며, 항공 전력은 금지한다.
*새로운 전차의 개발 및 배치를 금지한다.
*새로운 전차의 개발 및 배치를 금지한다.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의 국경의 비무장화
*[[도이치(승리의 왕관)|도이치]], [[브레타뉴(승리의 왕관)|브레타뉴]],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의 국경의 비무장화
===경제 관련===
===경제 관련===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은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알자스-로트링겐(승리의 왕관)|알자스-로트링겐]]에 생긴 모든 피해 및 다른 국가들에게 할양한 지역의 피해에 대한 보상을 모두 해줘야했다. 또한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군]]에게 입힌 피해에 대한 보상도 지불해야 했다.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이 지불해야하는 금액은 해당되는 국가들의 마음대로였으며, 1923년에 결정되었다. 결정된 금액은 310억 [[프랑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이었다.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은 [[벨기엔(승리의 왕관)|벨기엔]]과 [[룩셈부르크(승리의 왕관)|룩셈부르크]], [[알자스-로트링겐(승리의 왕관)|알자스-로트링겐]]에 생긴 모든 피해 및 다른 국가들에게 할양한 지역의 피해에 대한 보상을 모두 해줘야했다. 또한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군]]에게 입힌 피해에 대한 보상도 지불해야 했다.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이 지불해야하는 금액은 해당되는 국가들의 마음대로였으며, 1923년에 결정되었다. 결정된 금액은 310억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이었다.
*여러 가지 경제 제재와 현물 배달들이 이 경제 제재를 완성시켰다. 이에 따라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은 모든 특허권을 잃었고, [[센 강(승리의 왕관)|센 강]], [[마른 강(승리의 왕관)|마른 강]], [[론 강(승리의 왕관)|론 강]], [[루아르 강(승리의 왕관)|루아르 강]]은 국제 감독하에 놓이게 되었다.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은 [[노르 지역(승리의 왕관)|노르 지역]]과 [[알자스-로트링겐 지역(승리의 왕관)|알자스-로트링겐 지역]], [[브레타뉴 지역(승리의 왕관)|브레타뉴 지역]]에서 오는 상인들에게 관세를 요구하지 못했다. 게다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은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에게 자재와 농산물을 공급해야 했다.
*여러 가지 경제 제재와 현물 배달들이 이 경제 제재를 완성시켰다. 이에 따라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은 모든 특허권을 잃었고, [[센 강(승리의 왕관)|센 강]], [[마른 강(승리의 왕관)|마른 강]], [[론 강(승리의 왕관)|론 강]], [[루아르 강(승리의 왕관)|루아르 강]]은 국제 감독하에 놓이게 되었다.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은 [[노르 지역(승리의 왕관)|노르 지역]]과 [[알자스-로트링겐 지역(승리의 왕관)|알자스-로트링겐 지역]], [[브레타뉴 지역(승리의 왕관)|브레타뉴 지역]]에서 오는 상인들에게 관세를 요구하지 못했다. 게다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은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에게 자재와 농산물을 공급해야 했다.
===식민지 관련===
===식민지 관련===
조약의 세번째 부분은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식민지 포기를 명령했다.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 내에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있는 [[프랑(승리의 왕관)|프랑]]의 식민지를 나눠가졌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은 [[프랑령 북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령 북아프리카]]와 [[프랑령 서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령 서아프리카]]를 차지했다.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은 [[프랑령 에콰도 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령 에콰도 아프리카]]와 [[프랑령 마다가스카르(승리의 왕관)|프랑령 마다가스카르]], [[프랑령 인도(승리의 왕관)|프랑령 인도]], [[프랑령 지부티(승리의 왕관)|프랑령 지부티]], [[프랑령 서인도제도(승리의 왕관)|프랑령 서인도제도]], [[에콰도프랑(승리의 왕관)|에콰도프랑]]을 차지한다.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프랑령 인도차이나(승리의 왕관)|프랑령 인도차이나]] 대부분과 [[태평양(승리의 왕관)|태평양]]의 식민지를 차지했다.
조약의 세번째 부분은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식민지 포기를 명령했다. [[동맹국(승리의 왕관)|동맹국]] 내에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있는 [[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의 식민지를 나눠가졌다. [[도이치 제국(승리의 왕관)|도이치 제국]]은 [[프랑라이히령 북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북아프리카]]와 [[프랑라이히령 서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서아프리카]]를 차지했다.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승리의 왕관)|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은 [[프랑라이히령 에콰도 아프리카(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에콰도 아프리카]]와 [[프랑라이히령 마다가스카르(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마다가스카르]], [[프랑라이히령 인도(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인도]], [[프랑라이히령 지부티(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지부티]], [[프랑라이히령 서인도제도(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서인도제도]], [[에콰도프랑라이히(승리의 왕관)|에콰도프랑라이히]]을 차지한다. [[일본 제국(승리의 왕관)|일본 제국]]은 [[프랑라이히령 인도차이나(승리의 왕관)|프랑라이히령 인도차이나]] 대부분과 [[태평양(승리의 왕관)|태평양]]의 식민지를 차지했다.


==다른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의 조약==
==다른 [[협상국(승리의 왕관)|협상국]]의 조약==

2019년 11월 18일 (월) 16:20 판

베를린 조약
유형 조약
서명일 1918년 2월 16일
서명장소 도이치 제국 베를린
발효일 1919년 1월 1일
언어 도이치어/잉글랜드어
주요내용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라이히의 처리

베를린 조약(도이치어:Vertrag von Berlin, 잉글랜드어:Treat of Berlin)은 1918년 2월 16일에 동맹국협상국 사이에 체결된 제1차 세계 대전의 평화조약이다. 1916년의 제2차 베르시에그 조약으로 틀이 잡혔으며, 베를린 평화 회의를 통해 서명되었다. 협정은 1918년 2월 16일 2시 16분에 베를린 성에서 체결되었으며, 1919년 1월 1일에 공표했다. 조약은 프랑라이히 제재에 관한 규정을 포함한다.

조약 서명 당시 상황

모든 나라들의 지도자들을 평화 조약 체결에 초대했지만 패전국에는 지도자가 없었다. 몇몇 인사들은 대단한 영향력을 갖고 있었는데, 4개 승전국의 지도자들이 그들에 해당된다. 도이치 제국의 황태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의 수상,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불가리아 차르국의 수상, 바실 라도슬라보프, 일본 제국데라우치 마사타케가 바로 그들이다.

지도자들은 서약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였고, 각각의 주장은 다양하였다. 도이치 제국프리드리히 빌헬름프랑라이히을 분열시키고 왕정을 수립하기를 원했다. 또한 룩셈부르크 대공국외스터라이히를 합병하기를 원했으며, 동유럽을 군주주의 국가로 만들기를 원했다. 그에 반해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프랑라이히에 왕정을 세우되, 입헌군주국이 되기를 원했으며, 다른 유럽 국가도 그러기를 원했다. 또한 불가리아바실 라도슬라보프오스만 제국콘스탄티니예를 점령하기를 원했으며, 발칸 반도에 대한 주도권을 원했다. 동아시아의 일본 제국태평양동남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원했다.

조약의 내용

조약은 총 300여개의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부분이 프랑라이히협상국에 관한 내용이다.

영토 관련

영토 관련 조약은 1조부터 5조까지 해당된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정책/정치 및 외교 관련

프랑라이히유럽에 대한 조항은 6조부터 63조까지 해당된다. 조약의 두번째 내용에 해당되며 프랑라이히의 내부 정책과 유럽의 외교 정책들을 관리하는 조항이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군 관련

많은 규정들이 프랑라이히의 군사력을 제한하고 유럽에서의 프랑라이히의 세력 확보를 제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군과 관련된 조향은 5번째 부분을 이룬다.

  • 프랑라이히은 대포 5,000문과 비행기 25,000대, 4분의 3의 장갑차와 모든 함선을 양도해야 한다.
  • 프랑라이히의 군대는 육해군을 합쳐 10만 명으로 제한하며, 항공 전력은 금지한다.
  • 새로운 전차의 개발 및 배치를 금지한다.
  • 도이치, 브레타뉴, 벨기엔과의 국경의 비무장화

경제 관련

식민지 관련

조약의 세번째 부분은 프랑라이히의 식민지 포기를 명령했다. 동맹국 내에서 식민지를 가지고 있던 도이치 제국,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 일본 제국은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있는 프랑라이히의 식민지를 나눠가졌다. 도이치 제국프랑라이히령 북아프리카프랑라이히령 서아프리카를 차지했다. 그로스브리튼 일랜드 연합 왕국프랑라이히령 에콰도 아프리카프랑라이히령 마다가스카르, 프랑라이히령 인도, 프랑라이히령 지부티, 프랑라이히령 서인도제도, 에콰도프랑라이히을 차지한다. 일본 제국프랑라이히령 인도차이나 대부분과 태평양의 식민지를 차지했다.

다른 협상국의 조약

협상국과의 조약은 패전국 별로 나눠서 서명되었다. 베를린 조약 이후의 외스터라이히-운가르 제국뮌헨 조약부다페스트 조약, 불가리아와 관련된 제2차 발칸 동맹국들은 런던 조약, 알바니아와 관련된 티라나 조약, 오스만 제국콘스탄티니예 조약, 이탈리아와 관련된 로마 조약은 유럽을 다음과 같이 변화시켰다.

1920년의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