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
[ 펼치기 · 접기 ]
동아시아의 국가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부여 몽골[1] 몽강 투바[1] 동투르키스탄[1]
티베트 중국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2] 마카오 홍콩
  1. 1.0 1.1 1.2 중앙아시아의 일부로 분류되기도 함.
  2. 미승인국
부여황제국
扶餘皇帝國 | ᠪᡠᡥᡠ ᡥᡡᠸᠠᠩᡩᡳ ᡤᡠᡵᡠᠨ
Empire of Buyeo
황실 문장
국기 정부 문장
弘益人間 (1813~1917)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하라
六王國協華皇帝國 (1917~ )
여섯 왕국의 화합으로 빛나는 황제국
상징물
국가 임금님의 치세
국조 봉황
국수 백두산 호랑이
국화 국화
역사
건국 1813년 7월 20일
칭제건원 1870년 5월 17일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천경특별시 (天京特別市)
북위 39° 01′ 10″ 동경 125° 44′ 17″
최대도시 한성현급시 (漢城縣及市)
북위 37° 33′ 36″ 동경 126° 59′ 24″
면적 1,867,195km2 | 세계 15위
접경국 몽강국
중국
러시아
몽골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3억 1,043만 7,000명 | 세계 4위
인구 밀도 166.25명/km2
민족 구성 만주계 39.1%
일본계 25.0%
조선계 24.1%
한화계 6.6%
기타 5.2%
출산율 1.55명 (2021년)
기대수명 80세 (2021년)
공용어 조선어
국민어 조선어, 중국어, 만주어, 일본어
지역어 몽골어, 러시아어, 대만어, 아이누어, 제주어, 류큐어, 객가어, 여진어
공용문자 조선글, 한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사실상 제국신도)
분포 불교 36.2%
유교 15.6%
도교 11.4%
민간신앙 5.5%
기독교 2.1%
기타 1.6%
무종교 27.6%
군대 부여국 황제군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후국 대청국
대조선국
일본국
유구왕국
대만국
북이국
광역행정구역 특별시, 관구, 현, 현급시
기초행정구역 부, 시, 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신정적 전제군주제, 군사정부, 일당제, 봉건제, 전체주의, 제국주의, 군국주의
민주주의 지수 3.77점 | 권위주의
(135개국중 114위, 2021년)
국성 부여국 황실[1]
태황 (국가 원수) 융정제
태정령막군
(정부 수반)
박헌규
정부
수반
각료의장 공석 (박헌규 대행)
귀족원장 정섭진
평민원장 안경희
사법원장 김한철
입법부 부여국 귀족원 (상원)
부여국 평민원 (하원)
집권 여당 제정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국가사회주의혼합 경제
GDP
(PPP)
$25조 6,731억 3,990만 | 세계 1위
1인당 $82,700 | 세계 18위
GDP
(명목)
$20조 5,509만 2,940억 | 세계 2위
1인당 $66,200 | 세계 21위
수출
입액
$2조 1,016억 6,800만
1인당 $1조 9,500억 2,300만
외환보유액 $4조 3,600억 2,200만
신용 등급 무디스 A1
S&P A+
Fitch A+
통화 화폐 부여국 원
ISO 4217 BYW
단위
[ 펼치기 · 접기 ]
도량형 SI단위
통행 방향 우측통행
연호 융정(隆貞)
시간대 GMT+08:00~09:00 (BST)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52년
ccTLD
.by, .kr
국가 코드
392, BY, BYO, KOR
위치

개요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전제군주제 황제국이다.

상세

국가 원수인 황제는 융정제이다. 수도는 천경특별시(舊 평양)이다.

만주, 조선반도, 일본열도, 유구열도, 북해도, 살합린섬 그리고 대만섬을 주요한 영토로 두고 있다. 청나라, 조선, 일본, 대만, 유구, 북이라는 6개의 왕국이 연합하여 형성된 황제국으로, 6개국 제후왕 위에 부여 황제가 존재하는 봉건제 국가이다. 봉건제 국가로서 각 국가의 권한을 존중하나 도량형, 행정구역 단위, 언어 등 여러가지 요소들을 하나로 통일하였을뿐더러 헌법상 황제가 이들 국가의 권한보다 위에 있다고 사료되므로 사실상 단일국가라고 할 수 있다.

인구는 3억 1천만명 가량으로, 미국 다음으로 많으며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다. 경제 규모는 명목 GDP 20조 달러로 미국에 이은 세계 2위의 경제 강대국이다. 정치적으로는 신정적 전제군주제와 군사독재정을 표방하고 있으며, 일종의 샤머니즘적인 종교인 제국 신도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서 삼고 있다.

UN을 비롯한 각종 국가 기구에 가입되어있으며 그중 UN에서는 미국, 러시아, 영국과 함께 상임이사국의 지위에 있다.

상징

국호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 존재했다고 추정되는 고대의 만주 국가 부여(扶餘)에서 이름을 따왔지만 정치적으로는 별 상관이 없으며, 그보다는 민족적인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부여라는 국호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

  • 사슴을 뜻하는 만주어 '푸후(puhu)'와 어원상 관련이 있다는 설
  • 평야를 의미하는 한국어 '벌'의 고어형에서 왔다는 설
  • 쌀을 의미하는 만주어 ‘버러’에서 왔다는 설
  • '불'이 어원일 거라는 설. 여기에 왕족의 성씨가 해씨인 것과 연관지어 태양 숭배나 불 숭배와 관련된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부여가 멸망하면서 부여는 그 일대 지방을 의미하는 용어로밖에 사용되지 않았지만, 1813년 개국 이후 국명을 부여국으로 바꾸면서 부활하였다. 만주와 조선반도를 모두 포괄한다는 의미에서 상징적인 이름을 지은 것이다. 이후 1870년 칭제건원으로 이름이 부여황제국으로 바뀌었다.

줄여서는 여(餘)라고 한다. 해외에서는 Buyeo라고 조선어 이름을 읽은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국 제2의 언어인 만주어로는 ᠪᡠᡥᡠ ᡥᡡᠸᠠᠩᡩᡳ ᡤᡠᡵᡠᠨ(부후 황디 구룬)이라고 읽으며 일본어로는 扶餘皇帝國(후요고테고쿠), 중국어 및 대만어로는 扶餘皇帝國(푸유황디궈), 러시아어로는 Империя Пуё(엠페리야 푸요)라고 읽는다.

지리

구성국


부여의 구성국
[ 펼치기 · 접기 ]
대청국
(1917~ )
대조선국
(1813~ )
일본국
(1910~ )
유구왕국
(1878~ )
대만국
(1893~ )
북이국
(1900~ )

청나라, 조선, 일본, 대만, 유구, 북이로 이뤄져있다.

해외 식민지


부여의 식민지
[ 펼치기 · 접기 ]
구 식민지
필리핀 뉴기니 사할린[1] 팔라우[2]
현 식민지
피지 태평양 제도
1. 1949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하여 살합림현으로 내지에 편입.
2. 1970년 자치법 개정으로 부여령 태평양 제도에서 분리. 이후 1982년 주민투표를 통해 독립.

부여는 제국주의 열강중 늦게 경쟁에 뛰어들었으므로, 타국에 비하여 식민지가 많은 편은 아니었다. 1898년 스페인 왕국령인 필리핀 도독령전쟁을 선포하여 필리핀을 부여령 필리핀으로 삼았다. 인도차이나 반도 진출 역시 시도하였으나, 프랑스에 밀려 식민지 확보에는 실패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협상국 측에 서서 전쟁을 수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보상으로 베르사유 조약을 통하여 독일령 뉴기니를 식민지로 삼았다.

식민지 개념으로서 보기 애매하나 1905년, 만주 진출을 노렸던 러시아와 여노전쟁을 치뤄 사할린섬 남부에 대한 영유권을 획득하였다. 1917년 러시아 혁명 발발 이후, 연해주 진출을 시도하였으나 경비 부족으로 실패했다. 이후 사할린섬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 이후 내지(內地)의 일부인 삽할린현으로 개편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각 식민지들의 독립 여론이 높았기 때문에 부여 측에서는 주민투표를 실시하였으며, 부여령 필리핀이 60.3%의 동의, 부여령 뉴기니가 82.8%의 동의로 독립하였다. 그러나 부여는 독립을 잘 이뤄낼 수 있게한다는 명분으로 독립준비위원회 기구를 설치하였고 이 기구가 신생 정부에 흡수되면서 현재까지 필리핀과 뉴기니 지역까지 부여의 영향력이 지대히 미칠 수 있게 하였다.

현재 부여에게 남아있는 해외 식민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

광역 행정구역으로 특별시, 관구, 현, 현급시가 존재하며, 특별시는 수도인 천경특별시에 단 한개 설치되어있다. 봉건제 국가이지만 행정구역 구성은 중앙정부의 업무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44개의 현과 30개의 현급시가 설치되어져있다.

관구는 별다른 의미가 없는데, 구성국을 나타내는 단위를 행정구역상 관구라고 표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구의 경계는 구성국의 경계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정치

문장으로 된 헌법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 성문헌법 국가이다.

황제

파일:대한제국 용보.png
부여 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태조 태황제 광종 연황제 신종 융황제
제4대 제5대 제6대
영종 인황제 세종 선황제 인종 창황제
제7대 제8대
헌종 성황제 융정제
추존
시조 · 장조 · 고조 · 현조 · 세조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황태자 · 상황 · 제후왕

전제군주제 국가인만큼 부여 황제의 권한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정부 수반인 태정령막군을 임명한다는 점에 있어서, 황제의 의중이 곧 중앙 정치로 이어질 수 있기에 일반적인 군주제 국가에 비해 부여 황제는 전제군주적 정치 개입 권한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의회 해산권을 가지며, 국회 상정안과 헌법 재판 결과를 승인하거나 수정안을 의회 혹은 재판소로 돌려보낼 수 있다. 부여 황제군의 군통수권자이기도 하다.

제후왕


부여황제국의 제후왕
[ 펼치기 · 접기 ]
황족 皇族
파일:대한제국 용보.png
부여 황제
융정제
황족
현율왕 상건왕 진청왕
육왕족 六王族

청왕

조선왕

일왕
애신각라씨 왕조
현양왕
이씨 왕조
강왕
본화씨 왕조
덕인왕

유구왕

만왕

북이왕
소씨 왕조
위왕
정씨 왕조
기헌왕
가씨 왕조
유천왕

왕작-공작-후작-백작-자작-남작-준남작으로 이루어진 7등작 구조중에서 가장 위에 있는 작위로, 부여를 이루는 구성국들의 영주이거나 황족의 친왕만이 받을 수 있는 최고위 귀족 작위이다.

청왕(淸王), 조선왕(朝鮮王), 일왕(日王), 유구왕(琉球王), 만왕(灣王), 북이왕(北夷王)이 6대 제후왕작(諸侯王爵)으로, 각각 대청국, 대조선국, 일본국, 유구왕국, 대만국, 북이국을 다스리는 영주이다. 이들은 자신의 영지인 각 구성국에 대하여 일정부분의 권리를 보장받지만, 기본적으로 부여 황제의 신하로서 황명(皇命)에 절대충성해야한다.

6대 제후왕을 제외한다면 왕작을 받을 수 있는 것은 황제의 가까운 친인척들인 내친왕들로 한정된다. 황실전범상, 황제의 8촌 이상 촌수가 되는 황족은 내친왕에 봉해질 수 없다.

내각

틀:역대 부여 태정령막군

다른 군주제 국가와 달리 총리가 정부 수반이 아니다. 정부 수반은 황제가 직접 임명하는 황제의 호위 책임자 겸 제후 공작[4] 작위인 태정령막군(太政領幕君)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총리에 속하는 직위인 각료의장(閣僚議長)이 정부수반의 지위에 있지만, 각료의장직을 태정령막군이 역임하기에 태정령막군이 정부수반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태정령막군의 임기는 정해져있지 않으며 황제의 의지로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평판이 좋다면 얼마든지 정부수반의 위치에 있는 것이 가능하다. 태정령막군은 정부 내각을 조각할 권한을 가지지만, 임명권과 해임권은 황제에게 있고 황제는 일부 장관의 임명을 거부할 권리도 충분히 가진다.

태정령막군이 되기 위하여는 최소한 백작 이상의 귀족이어야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군에서 5년 이상 복무한 소장 이상 계급의 군인이어야한다. 태정령막군은 자동적으로 육해공군의 원수이다.

의회


부여황제국 국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1차 홍선규 태정령막군 내각
(2020.02.05 ~ )
황제 폐하의 여당

제정당
428석 · 419석
신임과 보완

제국협회[귀]
93석 · 0석

제정결사[귀]
66석 · 0석

부여국민당
13석 · 36석
황제 폐하의 야당

자유민주당
68석 · 121석
기타 야당

동아사회당
0석 · 44석

신진보협회[귀]
28석 · 0석

헌정정치회의[귀]
20석 · 0석

소수민족동맹
0석 · 8석

민주평등당
2석 · 3석
기타 귀족원 회파
14석 · 0석
무소속 10석 · 19석
재적 귀족원 742석 · 평민원 650석
귀. 귀족원 교섭 단체

부여 평민원부여 귀족원으로 나뉘어진 양원제 국가이다. 귀족원이 상원, 평민원이 하원의 역할을 맡으며 평민원 의원에는 신분 제한이 없지만 귀족원 의원은 남작 이상의 귀족만이 역임할 수 있다. 귀족원의 정원은 정해져있지 않으며 자신이 사임하기 이전에는 종신직이다. 한편 평민원은 임기가 4년이며, 2년에 한번씩 1/2를 나눠서 뽑는다. 평민원 정원은 630명이다.

630명의 평민원 의원중 민선 의원은 120여명정도밖에 안되는데다가, 황제가 직접 임명하는 의원이 전체 의석의 절반 이상이기 때문에 의회 선거에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 있다. 그 외에 관선 의원까지 다 합치면 전체 의석수의 80% 가량인 510명이 임명직 의원이다.

경제

명목 GDP 2위, PPP GDP 1위의 세계 최대 경제 대국중 하나로 동아시아 내에서 독보적인 위치의 경제적 주도권을 쥐고 있다.

국가사회주의적인 계획 경제를 표방하고 있으나 1950년대 이후 경제 정책에서 시장주의를 일부 수용하면서 현재는 혼합경제에 가깝게 변했다. 1960~80년대의 고도 성장기 이후로는 기업이 가지는 권한이 강력해져, 국영 기업이 아닌 사적 기업들이 대거 설립되었으며 일부 공기업의 민영화도 이뤄졌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민영 기업의 사업에도 국가가 관여하며 군수 산업, 전자 산업 등 대부분의 산업에 있어서 국가가 기업에게 아래로 명령을 강제 하달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민영 기업임에도 몇몇 국책 사업에 연관되는 일이 잦으며, 부여에서의 민영 기업이라는 것은 다른 나라에서의 반쯤 공기업이라는 농담도 있다.

이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유수의 대기업들이 부여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것은 매우 낮은 법인세율 때문인데, 부여 정부는 국책 사업에 기업이 무상적인 봉사를 하도록 강제하는 대신 법인세율을 낮추고 보조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부여의 법인세율은 1.5%로 거의 조세회피처 수준이며, 아일랜드와 더불어 세계에서 가장 낮은 국가로 분류된다.

낮은 법인세율로 여러 기업들이 본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 국민소득에 비해 국민소득이 높게 책정된다는 지적이 있다. 부여의 명목 국민소득은 6만 6천달러 수준으로, 동아시아 최대 수준이지만 실제 국민소득은 이의 2/3정도인 4만 1천~4천불 정도로 추정된다.

사회

전제군주제 사회의 특성상 어느정도 경직되어져있는 편이며, 유교 성리학적인 사상이 바탕이 되고 있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보수적이다. 여성 인권을 비롯하여 서구적인 기준으로 인권이 잘 지켜지지 않는 나라중 하나이지만, 21세기 이후 선진국화라는 명목 하에 일부 악습을 퇴치하였기에 이슬람 국가들과는 달리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히 이뤄지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인 시선 때문에 다른 선진국들에 비하여 여성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는 일이란 어려우며, 고위 공직자들중에서 여성의 비율도 10%에 미치지 못한다.

전세계에서 사형을 가장 활발히 집행하는 국가중 하나로, 매년 500여명[5]의 마약사범, 살인사범, 정치사범들이 처형당한다. 대체로 약물 사형이 많지만 일부 흉악범들은 전통적인 교수형이나 총살형으로 사형을 집행한다. 당연히 국제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유럽연합으로부터는 일정한 경제 제재를 당하고 있다.

신분제

7등작으로 나뉘어져있는데, 왕작, 공작, 남작, 백작, 자작, 남작 그리고 귀족은 아니지만 귀족급으로 여겨지는 준남작이 그것이다. 이들은 세습 귀족과, 세습이 아니라 당사자만 귀족 대우를 받는 일대 귀족으로 나뉘어져있는데 일대귀족이 되는것도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세습 귀족의 수가 더 많다.

3억명의 인구중 약 2%에 달하는 621만 7,430명이 남작 이상의 귀족으로 분류되어있으며, 그중 세습 귀족은 572만 7,104명이다. 준남작까지 포함할 시 그 인구는 800만 이상으로 늘어난다.

사회 최고위층에 있는 인사들로, 차등적인 투표권을 가질 뿐더러 고위 공직자과 기업인의 대부분이 귀족들이기 때문에 선진국중에서는 드물게 혈통적인 특권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형사법이 적용되지 않는 계층이며 독자적인 법률로 죄를 심판받는다.

외교

여미관계

적대적 관계에 있다.

여중관계

마찬가지로 적대적인 관계에 있으나 양국민간의 사이가 괜찮고 문화적인 교류도 활발하기 때문에 미국과는 달리 중국은 부여의 잠재적인 파트너 국가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여와 중국의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 것은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장장 50여년에 걸친 중국 내전을 부여가 조장, 이간질하면서 질질 끌어, 중국의 잠재적인 성장 가능성을 없애버린데다가 지금도 종종 부여의 주요 대기업들이 문어발식 사업으로 아직 경제적인 기반이 탄탄하지 못한 중국의 경제 근간을 뒤흔들기 때문이다.

정치적인 문제 역시 큰데, 일단은 민주공화정을 지향하는 중국과 달리 부여는 종교적인 전제군주제 국가이기 때문에 양국은 사상적인 이유로 양국을 불신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내륙에서 활동하는 게릴라 레지스탕스 조직인 중국 공산당은 부여의 공산화를 지원하는 입장에 있으며, 부여와 중국 정부 모두에게 있어서 위협이 되고 있기 때문에 양국은 중국 공산당 진압을 위해 군사적으로 연합하고 있다.

여러관계

부여의 최대 친선 국가중 하나로, 군사, 경제, 정치적으로 협력하고 있는 파트너 국가이다.

여영관계

영국이 1997년 홍콩을 반환할때 어느 나라에 반환할 것인지에 대해 외교적인 분쟁이 일어난 적이 있다. 영국은 청나라로부터 99년간 홍콩 신계 지역의 영유권을 임대받았는데, 청나라가 붕괴되면서 중국이라는 나라의 정체성은 중화민국 정부가, 청나라 황실은 부여황제국 정부가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조약적인 해석에 있어서 문제가 많았고 국제사법재판소까지 갔는데 결과적으로는 양국 정부가 공동통치하는 특수행정구역으로 남게 되었다.

그 외의 관계에 있어서 영국은 군주제 국가이지만 자유민주주의 진영에 있는 관계로 부여를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과 부여의 지리적인 거리가 먼만큼 상호간의 견제는 많지 않다.

여몽관계

애초에 몽골이 건국된 배경부터 부여의 속국, 위성국 성격이었으며 현재도 부여의 황제가 몽골 카간을 동군연합하여 재위하기 때문에 두 나라의 관계는 주종관계에 가깝다.

몽골 인민당 등 일부 정당은 독립과 자주화를 주장하지만 몽골인들에게 있어서는 부여와 동맹을 맺어야한다는 여론이 우세하다. 부여가 과거 보르지긴 왕조를 적극적으로 보호해준데다가 1970년대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였기 때문이다. 또 몽골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중화민국이라는 거대 국가가 있는 점도 몽골인들이 자주화를 바라지 않는 이유이다.

각주

  1. 부여국의 태황은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성을 가지지 않는다.
  2. 나우루, 마셜 제도, 캐롤라인 제도, 마리아나 제도를 합쳐 태평양 자치령을 구성하고 있다. 팔라우는 1982년 주민투표로 독립.
  3. 2차 세계 대전 이후 획득한 유일한 식민지로, 1962년 영국 정부가 부여 정부에게 양도하였다. 이후 1975년 독립 투표가 실시되었으나 정부 측에서 주민 여론이 신경을 썼기 때문에 50.7% 대 49.3%라는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어 현재에 이른다. 현재는 피지 자치령이라는 이름으로 구성되어있다.
  4. 일반적으로 천경특별시의 제후로 여겨진다.
  5. 인구 규모가 비슷한 미국은 11명에 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