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진
카모이 모시르, 푸하이 구룬
河震
Хациен, カムイモシ, 契丹/女直
Бохай улс, ᡦᡠᡥᠠᡳ ᡤᡠᡵᡠᠨ, , Hadin(Kasandres Bohainae)
표어 “一個極東"
하나의 극동
수도 카무이 코탄カムイコタン
최대 도시 천경용천부川京龍泉府
 

하진(중국어: 河震)은 북해도(北海道), 사할린 섬(庫頁島), 쿠릴 열도(千島列島) 등을 영토로 하는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를 위시한 다민족 영토 복합체이며, 이러한 영토 복합체는 수많은 영방정치체(領邦政治體)로 구성된다. 수도는 카무이 코탄(カムイコタン)이다.[1] 수많은 봉읍국가(封邑國家)들이 발해-송전(渤海-松前) 계통의 황제를 상위 군주로 삼는 동군연합(同君聯合)의 형태로 결집해 있으며, 또 황제는 형식상으로 이들 국가의 지도자에게 각각의 영토를 분봉하기에 봉건제적 정치 성격도 강하게 남아있는 곳이기도 하다.

역사

북방 문명의 성립

북해도(北海道) 북부 예문도(禮文島)에 있는 향심정(香深井) 유적에서 수많은 개 뼈가 발견되었던 점, 아피시리시(ア・パ・シリ市)[2]의 모요로 패총(貝塚)에서도 300여 개가 넘는 뼈를 비롯해 오호츠크 해(オホーツク海) 연안에서도 가축의 뼈가 발견되었던 점은 사할린 섬북해도 전역에서 개와 돼지 등이 사육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었다. 허나, 이러한 가축 사육의 흔적들은 오직 오호츠크 해 연안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학계에서는 내륙과 연안간의 문화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이러한 연안 지대에서 발전했던 수렵적 형태의 원시 문명을 오호츠크해 문화(オホーツク海文化)로 명명하게 되었다. 사할린 연안에서 4세기부터 5세기까지, 북해도에서는 10세기까지 지속되었던 이 문화는 유빙(流氷)이 흘러나오는 지역에서 널리 퍼져있었다. 오호츠크해 문화의 영향을 받은 고대 유적에서는 이른바 '오호츠크식 토기'로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원통식 토기를 비롯하여 바다짐승과 어류들의 뼈, 이들을 잡기 위한 창의 촉과 낚시바늘이 발견되었고 이것은 오호츠크해 문화가 어로(漁撈) 활동과 가축 사육 및 수렵 활동을 병행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주 1]

오호츠크해 문화를 열었다고 추측되는 고대 니브흐인(ニヴフ)들은 사할린에 주로 거주했다고 알려져 있었으며, 말갈(靺鞨)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독자적인 문화를 융성시켰다고 한다. 이들은 점차 북해도 북부와 동부에 정착하여 그 문화를 아이누인(アイヌ)들에게 전달했다고 한다. 허나 사할린은 동부여(東夫餘)에서 유입된 예맥인(濊貊人)들의 정주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빠르게 자취를 감추었고, 북해도에서도 일본 북부와 유귀국(流鬼國)간의 교류를 통해 중세 즈음에 그 흔적을 찾기 어려워졌다고 한다.

북해도 북부와 동부, 그리고 사할린 일대에 오호츠크해 문화가 널리 퍼져갈 무렵, 북해도 중부와 남부에 걸친 내륙 지역에서는 찰문 문화(擦文文化)가 전파되어 발전하였다. 이러한 명칭은 솔로 쓸어내는 듯한 무늬를 가진 '찰문 토기'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이전에 북해도 전역에 존재했던 속승문 문화(續縄文文化)가 혼슈(本州) 지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찰문 토기는 북해도는 물론이며, 일본(日本) 동북 지방에서도 발견되고 있기에 찰문 문화가 쓰가루 해협(津輕海峽)을 넘어 광범위하게 전파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찰문 문화의 사람들은 하천의 하구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하여 연어(鰱魚)와 송어(松魚)를 중심으로 한 어로 활동을 비롯하여 수렵, 채집, 농경을 생업으로 삼았으리라고 학계에서 밝히고 있다. 이러한 찰문 문화의 사람들이 중근세의 아이누인들의 후손이 아닌가하는 학설도 연구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 한편으로, 찰문 문화오호츠크해 문화 사이에서의 사람들간의 접촉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아이누인들의 구비서사시인 「유카라(ユ-カテ)」에서 '내륙인'과 '해양인' 갈등을 고조시키는 내용이 있는데, 이것이 양측 문화의 사람들의 싸움을 표현한 것이라고 밝혀진 바 있다.[주 2]

이들 상반되는 문화의 사람들은 점차 민족공동체로서의 의식을 자각하여 '아이누'로 불리는 촌락연합체를 형성해가게 되었다고 한다. 찰문 문화가 몰락하고 북발해(北渤海)를 건립하는 유민들과의 융화 과정이 시작되는 10세기 무렵에 '수혈식주거'(竪穴住居)에서 주춧돌을 사용하지 않으며 벽 외부에 흙을 쌓아 열 손실을 줄이고 실내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복토식주거'가 자리를 잡는 등 주거 양식의 변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이전의 토기들을 대신하여 철제품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예맥인들의 도래

본래 동부여(東夫餘)는 해부루(解夫婁)가 건국하여 두만강 유역에 존속했던 예맥계의 나라였다. 고구려(高句麗) 시조인 추모왕(鄒牟王)의 속국(屬國)이었으나 도중에 반(叛)했기에 광개토대왕의 정벌을 받게 되었으며, 410년에 동부여의 수도였던 여성(餘城)이 함락되자 말례왕(末禮王)[3]은 수만 명의 유민들을 이끌고 북쪽으로 향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고구려군의 추격을 피해 해협을 건너 섬으로 건너간 후 그 곳에 정착했다고 한다.[주 3]

사할린 섬(庫頁島)의 토착민족들은 점차 예맥계 유민들의 정주 문화로 흡수되었으며, 서단산 문화(西團山文化)와 같은 선진 문물을 적극 수용하면서 부여 사회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예맥계 유민들은 점차 지배층으로 확고한 자리를 잡게되었으며, 영고(迎鼓)의 제천행사가 정기적으로 개최되며 부여 법률의 영향을 받은 책법을 통한 처벌의 기록이 남아있다고 한다.

고구려를 비롯한 한반도계는 이들의 나라를 '유귀국(流鬼國)'이라고 부르며 존재를 인식했으며, 특히 고구려문자명왕(文咨明王)은 만주 지방에 남아있던 잔왕(孱王)의 북부여 세력을 멸망시킨 후, 부여의 실질적인 후신이 된 유귀국을 정벌하려고도 했다.[주 4]

북발해의 수립

정치

하진의 중앙 정부는 황제를 국가 원수로 삼는 의원내각제(단원제) 국가의 형태를 띠고 있다. 의회의 의원은 각 소속국에서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하며, 주로 다수당의 당수가 의회에서 행정 수반으로 선출된다. 이 행정 수반은 내각대내상(内閣大内相)이라고 부른다.

행정

경제

사회

국방

각주

  1. 아이누어(アィヌイタㇰ)로 '신이 사는 곳'을 의미한다. 예맥계에서는 이곳을 '흥안부'(興安部)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아이누어(アイヌ・イタㇰ)로 '우리가 찾은 땅'을 의미한다.
  3. '말례'(末禮)는 시호가 아닌 이름이다. 시호에 대해서는 학설이 분분하여 이름으로 기재한다.

주해


인용 오류: "주"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주"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