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明帝國
後明帝國, 東寧國
후명 정권
대명제국, 동녕국

1661년1683년
국기
표어 반청복명反淸復明
수도 타이징(臺京)
정치
공용어 근세 중국어, 대만 민남어
정부 형태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
황제(皇帝) 영력제(永曆帝, 1661-1670)
정무제(定武帝, 1670-1682)
융광제(隆光帝, 1682-1683)
동녕왕(東寧王) 정성공(鄭成功, 1655-1670)
정경(鄭經, 1670-1681)
정극장(鄭克臧, 1681-1683)
역사
 • 타이징 공방전 1661년 4월 29일
 • 삼번의 난 1673년 - 1681년
 • 천창선위 선언 1683년 7월 12일
지리
면적 35,980 km²
내수면 비율 2.8%

후명(중국어: 後明) 혹은 동녕국(중국어: 東寧國)은 1661년부터 1683년까지,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유지되던 남명 정권(南明政權)이 몰락한 이후, 영력제(永曆帝)와 정성공(鄭成功)을 위시한 명나라 부흥 세력이 타이완 섬(臺灣島)으로 도피한 이후의 통치 정권을 일컫는다.

정성공융무제(隆武帝)가 중심이 된 부흥 세력은 절강성(浙江省)에 기반을 둔 주이해(朱以海)와 황위를 두고 마찰을 겪는 등 부흥 세력간의 혼선을 겪은 뒤에 1646년에 복건성(福建省)으로 진격한 청나라(淸國) 군대에게 패배함에 따라 대륙에서의 힘을 잃게 되었고, 포로로 끌려간 융무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주유랑(朱由榔)이 광서성(廣西省)과 주산군도(舟山群島)를 지나 정성공의 근거지인 하문(廈門)에서 합류함에따라 이해관계로 얽혀있던 부흥 세력은 단일화될 수 있었다. 이후 금문도(金門縣)까지 밀려난 명 부흥 세력은 1661년에 타이완 섬에 위치한 타이징(臺北)을 공격하여 네덜란드령 포르모사(臺灣荷蘭統治時期)를 몰아내고 새로운 근거지를 확보하게 되었다.

황제를 대신하여 부흥 세력의 통제력을 행사하기 시작한 정씨 가문은 동녕왕(東寧王)이라는 세습 직함을 내세워 실질적인 통치를 시도했고, 정성공의 뒤를 이은 정경(鄭經)은 강희제(康熙帝)와의 협상을 통해 흥명멸청(興明滅靑) 기치의 포기 및 변발과 신하의 예를 다할 것을 대가로, 대만에 기초된 독립 세력임을 묵인받음으로서 국체를 보존할 수 있게 되었고, 삼번의 난(三藩之亂) 당시에는 경정충(耿精忠)의 회유에도 불구하고 가담하지 않았으며, 도리어 청나라와 함께 삼번 세력의 해상 패권을 위협함으로서 확고한 독립국가 체제를 확립할 수 있게 되었다.

1683년, 정경의 뒤를 이어 왕위를 차지한 정극장(鄭克藏)은 망명 황실을 유지하던 정무제(定武帝)가 사망하자, 허울뿐인 황제로서 융광제(隆光帝)를 옹립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융광제에게 황위를 선양받음으로서 간신히 유지되던 명 망명 황실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으며, 대만 사회는 정씨 가문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역사

성립 배경

1644년, 청나라의 공격과 이자성(李自成)의 농민 반란으로 명이 몰락하자 정지룡(鄭芝龍)[1]정성공은 함께 당왕(唐王) 주율건(朱聿鍵)을 남명의 융무제로 옹립하여 청에 대항하였고, 1647년에 청나라의 지속된 공격으로 세력이 약화된 남명 정권하문(廈門) 인근으로 본거지를 옮기게 된다. 그 뒤 남명은 무역을 통하여 군비를 충당하는 한편, 청나라에 맹공을 퍼부어 1659년에는 장강(長江)을 거슬러 올라가서 진강(晋江)을 비롯한 강남 여러 거점을 점령한 다음에 과거 명나라의 수도였던 남경(南京)[2]까지 진격하였다.

허나 지속적인 북벌 과정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둔 정성공은 남경 공략 과정에서 섣부른 판단[3]을 함으로서 청나라 군대에게 대패를 겪게 되었으며, 이후 남명 정권은 복건성 해안 지역에 위치한 금문도(金門島)까지 밀려나게 되었다.

이후 광서성(廣西省) 인근에서 청군에게 항쟁하던 영력제(永曆帝)는 명 부흥 세력을 이끌고 주산군도(舟山群島)를 거쳐 금문도에서 정성공 세력과 합류하였으며, 청나라의 해안 봉쇄에 극심한 식량 부족에 시달리던 이들은 새로운 반청 운동의 근거지를 마련하기 위해 대만을 공략하려는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다.

대만 정벌

네덜란드령 포르모사(荷蘭福爾摩沙)에서는 남명 정권과의 교역을 이어가고 있었으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ereenigde Oost-Indische Compagnie)의 입장에서는 점차 근거지를 잃게된 정성공의 세력이 대만을 공격해오지 않을까 하는 위기심도 공존하고 있었다. 1652년에는 동인도회사의 가혹한 통치에 반발한 곽회일(郭懷一) 등이 일으킨 한인 반란을 계기로 1653년에는 프로방시아 요새(Fort Provintia)가 건설하고 이미 이전에 세워진 질란디아 요새(Fort Zeelandia)는 보수하였으며, 당시 새롭게 부임한 프리데리크 코예트(Frederik Coyett) 총독은 동인도회사 상부의 질책에도 불구하고 병력과 물자를 모으는 등 전란을 대비하기 시작했다.

한편, 동인도회사에서 통역으로 일하던 한인 출신의 하빈(何斌)이 정성공에게 대만을 공략할 것을 제안한 계기로 남명 정권이 노골적으로 대만 진출을 시도하려하자, 프리데리크 코예트는 동인도회사의 구원을 요청하여 얀 판 데르 란(Jan van der Laan)이 이끄는 12척의 배와 600여 명에 병력을 확보하는데 성공했다. 허나 얀 판 데르 란 사령관과 코예트간의 불화가 지속되었고, 결국 얀 판 데르 란 사령관이 구원 병력을 이끌고 바타비아(Batavia)로 돌아감과 동시에 정성공의 대만 경략이 시작되었다.

정성공이 중심이 된 남명 함대는 1661년 3월 23일 금문도(金門島) 항구에서 출항하였는데, 수백 척으로 구성된 정성공의 함대는 약 25,000명의 병사들과 선원들이 탑승하고 있었다. 그들은 출항한 다음날 팽호군도(澎湖群島)에 도착하고, 이곳에 소규모의 수비병을 남겨둔 채 3월 30일에 항해를 재개했고, 4월 2일에 대원(大員)에 도착하였으며, 얕은 물길을 통해 록이문(鹿耳門)에 상륙할 수 있었다. 이후 정성공의 병력은 즉각적으로 프로방시아 요새를 공격했으며, 당시 이를 수비하던 부관, 야콥 발렌틴(Jacob Valentun)은 엄청난 수의 적군에 압도됨으로서 4월 4일 요새를 넘겨준다. 이후 정성공의 군대는 3일의 시간을 거쳐 질란디아 요새를 공격하였으며, 코예트는 동인도 회사의 지역 거점인 바타비아에 다시 구원병을 요청하였으나, 요청을 듣고 찾아온 동인도 회사의 해상 병력들이 정성공 함대와의 전투에서 상당수 침몰 및 나포됨으로서 퇴각하였다.

전쟁이 지속되면서 네덜란드 병력이 보유하고 있던 보급 물자는 점차 감소했으며, 대만 본토를 도울 구원 병력의 소식조차 요원해지자, 프리데리크 코예트는 결국 백기를 걸라는 명령을 내리고 항복 교섭을 시작했고, 2월 1일부터 시작된 항복 과정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사람들이 2월 17일 퇴거하는 시점까지 진행되었다. 이후 18개조에 달하는 항복 문서를 체결한 코예트 총독을 비롯하여 900여 명에 달하는 네덜란드 인들은 남은 2척을 타고 바타비아로 귀국하였으며, 전쟁 중 남명 정권에 일찍히 항복했던 이들은 대만 생활에 합류하는 것으로 다민족 공생 공동체를 이룩하기 시작했다.

정성공의 사후 대만 통치

각주

  1. 명말청초(明末淸初)에 활약한 상인 및 세력가로서 당시 동중국해의 해상 무역을 이끌던 이단(李旦)에 밑에서 지내면서 독자적인 해상 세력을 키웠으며, 이후 반청 운동을 전개했으나 투항했다.
  2. 1356년,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朱元璋)이 이곳을 점령하여 응천부(應天府)라고 하였으며, 1376년에는 정식 수도가 되어 경사(京師)로 불렸으나, 1402년에는 영락제(永樂帝)가 북경(北京)으로 천도함으로서 일개 도시로 전락했다.
  3. 정성공은 자신이 가장 신뢰하는 장수인 감휘(甘輝)의 조언에도 불구하고, 내륙 깊숙히 병력을 진출시켰으며 남경 함락 과정에서 당시 남경 도독으로 부임하던 낭정좌(郞廷佐)의 거짓 항복에 속아 병력 통솔을 게을리 함으로서 청군의 습격에 우왕좌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