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景王 | |
---|---|
지위 | |
남고구려의 제2대 태왕 | |
재위 | 719년~724년 |
대관식 | 경왕(景王) |
전임자 | 장왕(長王) |
후임자 | 애왕(哀王) |
부왕 | 고왕(高王) |
이름 | |
휘 | 고경열(高景劣) |
이칭 | 고경렬(高景列) |
별호 | 없음 |
연호 | 경희(慶喜) |
묘호 | 없음 |
시호 | 고국경태상왕(高國景太上王)[1][2][3] |
신상정보 | |
출생일 | ? |
출생지 | 고구려 평양성 안학궁(?)[4] |
사망일 | 738년(?) |
사망지 | ? |
매장지 | 평성 경왕릉 |
왕조 | 남고구려(南高句麗) |
가문 | 평성(平城) |
부친 | 고왕(高王) |
모친 | 강의태후(康義太后) |
배우자 | 왕후 연씨(王后 淵氏)[5] |
자녀 | 고연수(高聯秀) 고연무(高聯武)[6] |
종교 | 없음 |
고국경태상왕 경왕(高國景太上王 景王, ? ~ 738년, 재위 : 719년 ~ 724년)은 남고구려의 제2대 국왕이다. 국상왕(國上王)이라고도 하고 휘는 경열(景劣)이고 고왕의 차남이다.
각주
- ↑ 진왕이 올린 시호
- ↑ 본래 시호는 국경태상왕(國景太上王)으로 선왕의 위치로써 태상왕의 시호로 추승되었는데 이후 고(高)자를 더하였으며 양명왕이 공인하므로써 왕으로써의 시호로 인정을 받게 된다.
- ↑ 태상왕 칭호는 대왕과 태왕이 혼용되던 시기에 태왕 칭호가 정착 되는데에 영향을 주었다.
- ↑ 신빙성은 없다. 애초에 본인도 그렇고 부왕인 고왕도 고구려 관련 기록에도 나오지 않아서리...
- ↑ 연개소문의 아들인 연남건의 딸로 알려져 있다.
- ↑ 고연수와 고연무는 진왕이 즉위한 뒤 라란국으로 망명하였고 고연수와 고연무의 다툼끝에 고연수가 국씨성을 하사받아 개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