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카피톨리아 과학고등학교

이 문서는 현재 공사 중입니다.

이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본문에 다소 난잡하거나 생략된 부분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르세도스
Arsedoth
[ 펼치기 · 접기 ]
카피톨리아 수도시립고등학교
카피톨리아 과학고등학교
Capitolia Arcavic'eithal
소재 및 상세
[ 펼치기 · 접기 ]
주소 카피톨리아 광역권, 클레니에스시, 팔레고르구, 밀레키신로 3번길 19 (아르케닐동)
관할 카피톨리아 광역권 교육청
유형 남녀공학 특수목적 국립과학고등학교
중점분야 수 · 과학
행정실 연락처 021-1800-0101
입학주무관 연락처 021-1800-0102
역사 및 상징
[ 펼치기 · 접기 ]
개교 4582년 9월 30일[1] (869주년[2])
교훈 삼라만상의 질서를 알리려는 자여, 이곳에 모이거라[3]
교목 왕버들[4]
교화 시르겔리레[5]
교조 물총새
재적
[ 펼치기 · 접기 ]
학생 수 372명[6]
교직원 수 121명
인터넷 주소
acdl://capitolia.arcavis.kx.cl/thal[7]

개요

카피톨리아 과학고등학교는 4582년에 개교한 클레니에스시 팔레고르구 소재 국립 특수목적고등학교이다. 매우 높은 수준의 수과학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명하며, 두말하면 입 아픈 클레도리아 최고 명문 고등학교 중 하나이다.

상세

매우 치열한 입시가 펼쳐지는 공립학교로, 최고의 명문 국립고등학교이다. 자주 "카피아르케이(Capiarc'ei)"라고 줄여 불린다. 전신이었던 "정도성과학교 아당"은 개교를 예전 4582년에 한 것으로, 벌써 869년의 역사를 지닌 학교가 되었다. 그때는 귀족 자제들만 입학 가능했으나, 제2제국 때 명목상 평민도 입학이 가능해졌고[8] 제3제국으로 전환되며 교육비 지원이 빵빵해지면서부터 학교의 수준이 매우 올라갔다.

덕분에, 카피아르케이는 과학 한정 클레도리아에서도 가장 수준이 높은 곳 중 중 하나가 되었다.

아무튼, 이 학교에 올 수 있는 것은 무려 세 단계의 입시를 통과한 영재들뿐이다. 과학과 수학에 엄청난 관심과 재능을 가져서 엘리트 교육을 받고 학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학생들을 찾는 학교.

국립과학고등학교는 주마다 하나씩 있으며, '어디가 수준이 낮다' 할 것 없이 각자 강한 부분이 두드러진다. 이런 학교들은 선생 자신이 천재이거나, 학문에 엄청난 열정을 쏟는 사람이기 때문에 학문에 매우 엄격하고 철저하며, 기본과 기초를 틀리는 것을 엄청 예민하게 받아들인다.

학교는 전체 기숙사 생활, 캠퍼스는 은근히 넓다. 예산은 실습활동을 아낌없이 지원하기에 엄청 넉넉하며, 교육과정은 이미 일반 학교와 천지차이로 벌어져 특화되어 있다. 학생은 소수정예에 가깝다. 3000만이 거뜬히 넘는 카피톨리아 광역권에 위치해 있지만, 한 학년에 120명만 뽑는다. 이러한 과학고등학교에 오는 아이들은 그들이 쏟은 엄청난 노력, 혹은 그 학생들이 가진 엄청난 잠재력이 이미 인정받았다는 소리다. 그러니 명문대 진학률이 매우 높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사실일 것이다.

또, 입시 과정이 치열한 것에서 모자라, 학교 자체가 매우 영리하다. 그들이 출제하는 문제나 면접에는 모두 숨겨진 의도가 있으며, 그들이 짜둔 문제는 딱히 공개는 하지 않는다지만 매우 품질이 높고 그야말로 아이의 실력을 "무의식중에서 거르기"에 이보다 적합한 게 없다는 말이 바로 나올 정도이다.

최고의 명문고답게 학사도 예쁘고 고풍스러우며[9], 해외의 수많은 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교복은 여전히 중요하다. 살짝 정장에 가까운 것으로, 남색 계열이다. 명문고답게 예쁜 편에 속한다고. 야구점퍼도 있다.

상징

생활과 행사

대중교통

기타

  1. 전신인 정도성과학교 아당(兒堂)에서 분리된 것은 한참 후인 5029년.
  2. 5451년 기준.
  3. 클라르미르셀에서.
  4. 보호수로 지정된 게 학교 앞마당에 있다.
  5. 마스카르주 쪽 식물을 '수입'한 것이다.
  6. 전국구 입시를 통해 받는다. 다만, 학교 사이 수준 차는 그렇게 크진 않은 데다가 지역색이 강해지고 있어서 대다수는 근방 출신이다.
  7. 실제로는 없는 링크니까 들어가려 하지 맙시다. 그리고, 번데기 발음인 th는 x로 줄여 글자수를 맞추었습니다.
  8. 하지만, 누구나 알듯 교육의 기회가 불평등했으니 그림의 떡에 가까웠었다
  9. 옛 학사, 중세의 학사는 시내에 조금 더 가까이 있는, 지금은 안 쓰이는 사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