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펼치기 · 접기 ]
|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
Tooltip text

| ||||||||||||||||||||||||||||||||||||||||||||||||||||||||||||||
---|---|---|---|---|---|---|---|---|---|---|---|---|---|---|---|---|---|---|---|---|---|---|---|---|---|---|---|---|---|---|---|---|---|---|---|---|---|---|---|---|---|---|---|---|---|---|---|---|---|---|---|---|---|---|---|---|---|---|---|---|---|---|
[ 펼치기 · 접기 ]
|
|
개요
역사
1976년 8월 15일, 한-중-만 인정과 수교 및 보호조약
1982년 5월 19일, 한-소 보호조약
1982년 11월 26일, 제3차 세계대전 개전
1982년 12월, 군산 대규모 화재로 인한 식량 공급 부족과 기근 발생
1983년 1월 1일, 외근사령부 창설
1983년 1월 7일, 외근사령부 제1 포국을 소비에트 정합국 동부 전선에 파병
1984년 9월 5일, 인천 조약(인천항 개방 및 중화협정연합의 쌀 2만톤 원조)
1985년 10월, 핵겨울의 여파로 인한 전국 동사자 약 5만 명 발생
1985년 12월, 남부 대기근 발생
1990년 10월 19일, 한-중-만 저관세무역협약
1991년 6월 28일, 코메콘 가입
1991년 8월 17일, 제3차 세계대전 종전
2005년 1월 4일, 소비에트 정합국의 감자 3만톤 원조
2005년 3월 10일, 대일본제국이 소비에트 정합국에 대한 배상금 중 일부를 대한국에 대한 쌀 30만톤 지급으로 상환함
2005년 3월 15일, 중화협정연합의 석탄 30만톤에 대한 대금 상환 유예 및 선지급 결정
2014년 12월 10일, 중화협정연합 총합군의 한반도 철수
2014년 12월 12일, 대만주제국군의 한반도 철수
2015년 1월, 전국 동사자 약 40만 명 발생
2015년 1월 23일, 중화협정연합의 석탄 30만톤에 대한 채무를 무상원조로 전환
2015년 2월, 대일본제국이 소비에트 정합국에 대한 배상금 중 일부를 대한국에 대한 충분한 에너지 자원 및 기술 제공으로 상환함
2015년 2월 25일, 극동 집단안보조약
2028년 1월 1일, 유라시아 경제안보기구 가입
2035년 10월 3일, 한-일 수교 및 불가침조약
2035년 10월 31일, 환태평양 이사회 가입
2036년 7월 19일, 한-러-일 극동해 조약(한-일은 영토 외 100해리의 수역을 인정받고 극동해 전체는 러시아 태평양 함대 극동 관구로 편입된다)
정치
건국 이후 중화협정연합의 무당제(无党治)를 차용해 왕가 지지세력을 비롯한 좌·우익 정치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이뤄졌다. 표면적 집권당으로 여겨지는 대한정무협작회는 중화협정정무협작회의 자매 정치조직으로, 국가 수반인 국가정무원장을 보좌하는 국가정무원에 속해 있는 정부 기관이다.
국가 수반과 정부 수반을 비롯한 수뇌급 공무원의 인사, 신상 정보는 공개되지 않는다. 국가정무원장과 국무총감은 대한정무협작회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선발되며 신변에 문제와 큰 변동이 없는한 종신 수행이 일반적이다.
참고
비고(Obsidian)
표어인 살적보국, 충골불후는 국민혁명군 북방사령부에서 채택되어 이후 조선남의사에서도 쓰이기 시작한 표어로 중화협정연합과 대한국의 수립 후 양측 모두 그대로 국가 표어로 보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