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사건

[ 펼치기 · 접기 ]
  프로젝트 디스코드 •  • 유튜브 • 트위터
툴팁
 Tooltip text

전간기
Interwar period
사건명 비고 기간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제2차 중일전쟁
1937년 7월 7일 ~ 1946년 9월 12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제1차 스페인 내전
1936년 7월 17일 ~ 1939년 4월 1일
작은 전쟁
1939년 3월 23일 ~ 1939년 4월 4일
제1차 대전기
First Great War period
사건명 비고 기간
제2차 세계대전
1939년 9월 1일 ~ 1949년 2월 2일
영국령 온두라스 침공
1941년 11월 6일, 대영제국이 독일에 항복하자 과테말라 공화국은 영국령 온두라스 침공을 결정한다. 1942년 1월 16일 ~ 1942년 3월 19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1944년 8월 29일 ~ 1944년 10월 28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아레스 작전
1944년 9월 19일 ~ 1949년 1월 24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제1차 말라가시 봉기
1946년 1월 9일 ~
타이 대중 학생 운동
1946년 9월 30일 ~ 1946년 10월 5일
청해사변
서북 지역에서 일본의 과도한 간섭에 찬반 의견이 극적으로 갈리고, 당시 서북정무위원회 주석이 간섭 반대파에 의해 축줄되나, 이들은 곧 신삼군 파벌에 의해 몰살 당하며 서북부 지역에는 일시적으로 무정부상태에 처한다. 1946년 11월 30일 ~ 1946년 12월 5일
서북상황
1946년 12월 8일 ~ 1962년 12월 23일
루마니아 철위대 쿠데타
1947년 7월 22일 ~ 1947년 7월 23일
제1차 코스타리카 내전
1948년 3월 12일 ~ 1948년 4월 24일
아테네 협정
이탈리아 제국의 보호국으로서 헬라스국의 독립을 승인하며, 테오도로스 팡갈로스를 총리로 하는 위성 정부에 정권을 이양한다는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 자체는 1948년 7월 25일에 조인되었으나, 헬라스 정부의 출범은 빨라도 1948년 8월 이후에 이뤄지도록 하는 유예기간이 설정되었다. 1948년 7월 25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튜멘 선언
스탈린으로부터 정권을 찬탈한 시베리아 정부가 이반 이크라모프 주석을 내세워 독일과 추축국에 대해 무조건 항복을 선언한다. 이를 마지막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공식적으로 종료된다. 1949년 2월 2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모스카우 국제군사재판
모스코비엔 국가판무관부의 모스카우에서 시행된 종전 후 전후 전범 재판, 연합국에 연관된 지도자, 정치인, 각료, 군관계자, 현장 사령관 등 연합군 도합 800명 정도의 인사에게 즉결적인 사형선고가 내려졌다. 대표적으로 미국의 체스터 니미츠, 더글러스 맥아더, 조지 패튼 등에게 형이 집행되었고, 개중 일본의 강력한 요구로 태평양 방면에서 참전한 더글러스 맥아더가 모스카우에 소환되어 재판이 진행되었다. 1949년 3월 4일 ~ 1949년 11월 20일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샌프란시스코 & 뉴욕 조약
1949년 8월 13일
냉전기
Cold War period
사건명 비고 기간
크로아티아 대분열
우스타샤 내부에서 정부로 대표되는 안테 파벨리치와 군부로 대표되는 슬라브코 크바테르니크의 갈등은 크로아티아 독립국의 건국 초기로부터 서로 간의 불신으로 증가해갔고, 모든 것을 통제하고 싶어하는 파벨리치가 군부를 장악하고 1인 독재체제를 굳히려는 야망을 보이자, 크바테르니크는 토미슬라프 2세를 구심점으로 내세워, 对파벨리치 반군을 조직해 대항한다. 1952년 8월 2일 ~ 1952년 11월 5일
대한민족정풍
서북상황 중 북방사령부를 이탈한 이정택 파벌 조선 남의사가 일본령 조선에 진입해 총독인 니가키 다이키에 대한 암살을 시도하나 실패하게 되면서 일본의 집중 통치 기구인 조선민정총감이 세워진다. 남의사는 조선인들을 향해 이들에 대한 불복종과 폭동을 종용하나, 지하에서 활동하던 각종 반군들이 무장 게릴라를 전개하며 합세하자 난전이 벌어진다. 1953년 8월 22일 ~ 1965년 3월 17일
삼두선언
트라움비라투스 성립 1954년 5월 15일
과테말라 쿠데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나이티드 프루트 컴퍼니의 모든 자산들은 독일 국내 경쟁에서 약세를 보이던 크루프 아그에 무상 인수되며 일종의 지수 회사로 돋움했는데, 1951년 대통령으로 선출된 호아신 아르벤스가 농지 개혁과 토지 재분배를 비롯한 사회 개혁 사업에 크루프 아그 소유의 토지를 국유화 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독일은 카를로스 카스티요 아르마스 군부를 지원하고 국방군을 직접적으로 파견하며 쿠데타를 일으킨다. 1954년 6월 18일 ~ 1954년, 6월 27일
베이루트 중동 방위서명
트라움비라투스 회원국간 체결된 중동 지역에서의 군사를 대동한 무력 행동의 자제를 서로 약속하는 충돌 완충성 의미를 띄는 회담. 1954년 8월 1월
제2차 대조국전쟁
대전의 책임은 스탈린에게 전가되었고, 당과 군의 괴뢰로 선출된 이반 이크라모프가 작전명: 이르티시를 공개하며 총력전을 위한 총동원령을 선포했을때 모두가 충격에 빠졌다. 광범위한 동원령에 남여노소 모두가 전시산업과 군사훈련에 징집되었고, 시베리아로 내쫓긴 이들의 목적은 독일을 응징하는 것으로 좁혀졌다. 1955년 2월 2일 ~ 1956년 6월 7일
7·14 혁명
1958년 7월 14일 ~ 1958년 9월 14일
이라크 침공
1958년 8월 7일 ~ 1958년 10월 3일
10월 혁명
베트남 내전 1959년 10월 14일 ~ 1965년 7월 26일
59년 온두라스 쿠데타
1959년 11월 2일 ~ 1959년 11월 3일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59년 12월 19일 ~ 1965년 8월 1일
투게가라오 봉기
1960년 9월 30일 ~ 1960년 11월 19일
60년 엘살바도르 쿠데타
1960년 10월 26일
제1차 과테말라 내전
이전 아르마스 군부의 쿠데타로 일련의 모든 개혁 정책이 철회되고, 군부 독재에 의한 정치적 억압, 토지 문제, 인종차별이 심화되고 농민들에 대한 불리한 토지 정책까지 재정되자, 과테말라 노동당(PGT)과 과테말라 민족혁명단체연합(URNG)이 최초로 무장 항쟁을 개시했다. 1960년 11월 13일 ~ 1991년 12월 29일
발린타왁 전격전
1961년 5월 24일 ~
62년 2·26 사건
인도차이나 전쟁과 발란타왁 전투에서의 졸전으로 일본은 인도차이나 반도와 필리핀에 대한 통제를 완전 상실했고, 공영권의 구성원들은 일본의 통치력에 의심을 보냈다. 국내에서는 희생된 병사들에 대한 추모와 현 군부의 무능에 대한 분노가 들끓기 시작했고 이내 반구패신민회로 대표되는 신임 사관도와 하위 장교, 사병들의 연합 사조직이 1962년 2월 26일 자정, 군수뇌부를 제압하고 의회를 점령한다. 1962년 2월 26일
제1차 황도수호령사태
1962년 6월 17일 ~
열전기
Conventional War period
사건명 비고 기간
제2차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
1962년 7월 8일 ~ 1962년 9월 23일
서트라키아 국경분쟁
이탈리아-튀르키예 전쟁 중 헬라스는 트라키아 탈환을 시도한다. 1962년 7월 17일 ~ 1962년 7월 20일
제3차 중일전쟁
1962년 12월 23일 ~ 1988년 2월 19일
푸에르토플라타 침공
1963년 1월 27일 ~ 1963년 6월 1일
63년 아이티 쿠데타
1963년 7월 11일
레바논 아랍 혁명
1964년 3월 24일 ~ 1965년 10월 4일
64년 아이티 쿠데타
1964년 6월 19일
제1차 아이티 내전
1964년 7월 30일 ~ 1965년 6월 17일
64년 온두라스 쿠데타
1964년 9월 5일
인도네시아 국방비상사태
1965년 3월 8일 ~ 미정
아이티 전격전
1965년 12월 31일 ~ 1966년 4월 25일
제1차 동아프리카 전쟁
1966년 10월 16일 ~
키시팀 사고
1967년 9월 29일
프라호프쉬나
1969년 3월 8일 ~ 1975년 12월 22일
축구전쟁
1969년 7월 14일 ~ 1969년 7월 18일
제1차 엘살바도르 내전
1970년 11월 11일 ~ 1972년 1월 11일
대동방전쟁
독일의 구모스코비엔 지역 재정복 1975년 3월 4일 ~ 1976년 8월 29일
니더란데 평정
1976년 5월 16일 ~ 1976년 7월 9일
제1차 이탈리아 내전
1978년 8월 7일 ~ 1982년 4월 14일
제2차 대전기
Second Great War period
사건명 비고 기간
(제3차 세계대전의 일부)
제3차 대조국전쟁
1982년 5월 21일 ~
(제3차 세계대전의 일부)
엘자스-로트링겐 분쟁
1982년 8월 15일 ~
(제3차 세계대전의 일부)
제2차 미국 독립 혁명
1982년 11월 26일 ~
(제3차 세계대전의 일부)
스바로그 계획
1982년 11월 26일
제3차 세계대전
1982년 11월 26일 ~ 1991년 8월 17일
전후기(제2차 신질서)
Post-war period(Second New Order)
사건명 비고 기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2011년 3월 9일 |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2011년 3월 12일
도쿄 연합운동
2011년 11월 9월 ~

1970년


전후기(제2차 신질서)
Post-war period(Second New Order)

198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