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대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대표대리 루돌프 헤스 Rudolf Heß | ||||||||||||||||||||||||||||||||||||
본명 | 루돌프 발터 리하르트 헤스 Rudolf Walter Richard Heß | |||||||||||||||||||||||||||||||||||
출생 | 1894년 4월 26일 | |||||||||||||||||||||||||||||||||||
이집트 케디브국 알렉산드리아시 | ||||||||||||||||||||||||||||||||||||
사망 | 1943년 10월 16일 (향년 49세) | |||||||||||||||||||||||||||||||||||
대독일국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 다하우군 다하우 강제수용소 | ||||||||||||||||||||||||||||||||||||
임기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대표대리[1] | |||||||||||||||||||||||||||||||||||
1933년 4월 21일 ~ 1941년 5월 12일 |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정치위원회 위원장[2] | ||||||||||||||||||||||||||||||||||||
1932년 ~ 1941년 5월 12일 | ||||||||||||||||||||||||||||||||||||
국가지휘자[3] | ||||||||||||||||||||||||||||||||||||
1933년 6월 2일 ~ 1933년 9월 20일 | ||||||||||||||||||||||||||||||||||||
무임소 장관[4] | ||||||||||||||||||||||||||||||||||||
1933년 12월 1일 ~ 1941년 5월 12일 | ||||||||||||||||||||||||||||||||||||
독일국 의회 의원[5] | ||||||||||||||||||||||||||||||||||||
1933년 3월 5일 ~ 1941년 5월 12일 | ||||||||||||||||||||||||||||||||||||
서명 |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독일의 정치인.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초기부터 아돌프 히틀러에게 광적으로 충성하며 함깨했으며 그의 출세에 힘입어 자신도 출세한 인물이다.
뮌헨 폭동 때 참가했다가 체포, 감옥에서 히틀러의 저서 '나의 투쟁'을 받아 적었으며 독일의 각종 정책과 인종 탄압에 열렬히 참여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단적으로 영국으로 비행기를 몰고 가서 강화 협상을 벌이려고 하였으나 영국에 의해 억류 되었고 이후 독일이 영국을 점령하자 체포되어 다하우 강제수용소에서 총살형으로 생을 마감했다.
생애
영국으로의 비행
메인디프 병원에서 1942년 6월 26일부터 생활을 시작했다.
재판

베를린 국제군사재판에 전쟁범죄자로 기소되었고 또한 국가보안본부에서 따로 국가반역죄 및 간첩죄로 기소되었으며 독일 국방군 검찰단에서 항명죄로 기소되었다.
처형
1943년 10월 16일, 다하우 강제수용소에서 총살형으로 최후를 맞이했다.
![]() "There would never again be silence for People of Germania" "앞으로 다시는 게르마니아의 사람들에게 고요란 없을 것이다" 가장 현실적인 추축국 승리 시나리오... 그리고 그후... | ||||||
대문 | 설정 | 국가 | 인물 |
- ↑ 출당·제명으로 인한 직책 상실
- ↑ 출당·제명으로 인한 직책 상실
- ↑ 직급에 비해 계급이 너무 낮아보인다는 이유로 국가지휘자에서 해임, 그러나 이후의 사건으로 인해 어쨌든 직책이 삭제되었다.
- ↑ 제명으로 인한 직책 상실
- ↑ 출당·제명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출당·제명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직급에 비해 계급이 너무 낮아보인다는 이유로 상급집단지도자에서 해임, 그러나 이후의 사건으로 인해 어쨌든 군적이 삭제되었다.
- ↑ 직급에 비해 계급이 너무 낮아보인다는 이유로 상급집단지도자에서 해임, 그러나 이후의 사건으로 인해 어쨌든 군적이 삭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