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의. 이 문서는 해루 세계관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People's Party / 人民黨 | |
인민, PP | |
하나의 국가, 하나의 민족, 하나의 지도자 | |
2024년 3월 3일 | |
적경특별도 함주시 강동구 용문동 | |
신세대 해루식 사회주의 박단아주의(급진박단아주의) 해루민족주의 반다문화주의 반이민주의 | |
극좌 - 좌익 | |
박단아 | |
곽도철 | |
김현, 이병호, 윤건도, 박춘호 | |
정경태 | |
위성재 | |
김순호 | |
7석 / 125석 (5.6%) | |
16석 / 500석 (3.2%) | |
0석 / 10석 (0%) | |
5석 / 64석 (7.8%) | |
253[1]석 / 1000석 (25.3%) | |
민트 (#00D2C3) | |
폐허에서 부활하여 | |
무소속 | |
청년 사회주의 인민전선 | |
인민에게 고한다 |
개요
해루 공산당 청성자치시당위원회 곽도철 위원장이 "공산당의 기존 체제로는 위대한 각하(박단아)를 모실 수 없다."라며 청성자치시 지역당 간부들과 해루 공산당을 1월 4일 탈당하여 창당하였다.
3월 6일 중급자치구역 행정수반인 적경특별도 함주시 수지원구의 김현 행정수반, 청성자치시 광래구의 박춘호 행정수반이 공산당을 탈당하여 인민당에 입당하였다.
3월 8일 해루 공산당 소속 민족회의와 공화국회의의 원내 중진 23명이 공산당을 탈당해 인민당에 입당하면서 원내정당이 되었다. 원래 공화국회의에서는 해루 공산당 당적자만이 피선거권을 가지지만 당적을 가진 상태에서 당선되고 탈당하면 의원 신분 자체는 유지되기에 공화국회의에서 공산당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의석을 가진 정당이 되었다.
2024년 9월 2일 적경특별도 담주시 행정수반 양도균, 운봉자치시 옥구군 행정수반 김순현(金洵玄/Kim Soonhyoun), 안남자치시 남해구 행정수반 이정호(李汀好/Lee Jungho)이 해루 공산당을 탈당하여 인민당으로 합류하였으며 지방의회 의원 51명이 동시에 인민당으로 합류하였다. 이로써 인민당은 기존 2명의 중급자치단체장, 202명의 지방의원에서 5명의 중급자치단체장과 253명의 지방의원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 ↑ 지역구 253석, 비례대표 0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