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 기사단장


제국 기사단장
[ 펼치기 · 접기 ]
★★★
초대

가네사 아이펠루스
제2대
정보없음
제3대
정보없음
제4대
정보없음
제5대
정보없음
제6대
정보없음
제7대
정보없음
제8대
정보없음
제9대
정보없음
제10대
정보없음
제11대
정보없음
제12대

필리아 디나루스
제13대
정보없음
제14대
정보없음
제15대
정보없음
제16대
정보없음
제17대
정보없음
제18대
정보없음
제19대
정보없음
제20대
정보없음
제20대
정보없음
제21대
정보없음
제22대
정보없음
제23대

웨스 몽고메리
제24대
정보없음
제26대
정보없음
제27대
정보없음
제28대
정보없음
제29대
정보없음
제30대
정보없음
제31대
정보없음
제32대

테오필로스 칼라키아
제33대
정보없음
제34대
정보없음
제35대
정보없음
제36대
정보없음
제37대
정보없음
제38대
정보없음
제39대

게오르크 몽고메리
제40대
정보없음
제41대
정보없음
제42대
정보없음
제43대
정보없음
제44대
정보없음
제45대
정보없음
제46대

지기스문트 첼시
제47대
정보없음
제48대
정보없음
제49대

샤론 아렌시아
제50대
정보없음
제51대
정보없음
제52대
정보없음
제53대
정보없음
제54대
정보없음
제55대
정보없음
제56대
정보없음
제57대
정보없음
제58대
정보없음
제59대
정보없음
제60대
정보없음
제61대
정보없음
제62대
정보없음
제63대
정보없음
제64대
카이샤 크루엘라
제65대

세이넬 아르젠베르크
※ 초대, 제12대, 제23대, 제32대, 제39대, 제46대, 제49대, 제65대 : 에퀴테스
※ 둘러보기: 에퀴테스 · 인퀴지터 · 성기사단장
아이펠루스 제국의 국가 요인(要人)
[ 펼치기 · 접기 ]
✯✯
✯✯

제국 기사단장
帝國 騎士團長
The Commander of Imperial Knights
에퀴테스 세이넬 아르젠베르크 (제65대)
취임 제국력 5521년 9월 23일
임관 기사육성학교 상급반[1] (6234기)
경칭 각하 (Your Excellency)
관사 제국 기사단 본부

개요

제국 기사단장은 아이펠루스 제국의 정규 군대인 제국 기사단을 총괄하는 군령권자·군정권자이며 아이펠루스에서 기사로서 오를 수 있는 가장 최고위의 보직이다. 휘하의 모든 기사와 군력을 적절히 지휘하고 통솔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기사단 내 모든 보직 중에도 가장 취임 절차 및 자격이 까다로우며, 하이 엘더 또는 에퀴테스급의 기사만이 임명된다.[2]

상세

제국 기사단장은 기사단에서 기사총사령관을, 제국에서 군부총장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사실 세 직책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제국 기사단장은 상징적으로 제국 기사단의 수장이라는 데 의미가 있고, 기사총사령관은 제국 기사단의 군령·정권자라는 데 의미가 있으며, 군부총장은 군을 지휘하는 제국의 국가 요인이라는 데 의미가 있는 편이다.

임명 계급은 하이 엘더지만 같은 하이 엘더 중에도 격이 다르게 취급된다. 그야 다른 하이 엘더들은 사령관이긴 해도 지휘하는 부대가 어디까지나 제국 기사단 전체의 하위 편제 중 하나이기 때문.

대우

아이펠루스 제국의 황(皇)·귀(貴)·군(軍)·민(民) 4요소 중 하나를 총괄하는 네 명의 국가 요인의 일원인 만큼 제국에서도 최상급의 대우를 받는다. 의전서열 상으로는 교황, 추기경, 총대주교의 성직자와 황족, 귀족 오등작(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바로 아래인 13위에 속한다. 그럼에도 적어도 귀족들은 기사단장에게 하오체 정도로 존칭한다.[3]

최고장성회의를 소집할 권한이 있다. 하이 엘더급 기사들은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이 소집에 반드시 응해야 한다.

  1. 장교반이라고도 불리며 졸업하면 로우 시니어로 임관한다.
  2. 보통은 하이 엘더인 채로 제국 기사단장에 올랐다가 그 후에 에퀴테스로 진급한다. 에퀴테스로 먼저 진급하고 제국 기사단장에 오르는 일은 적어도 지금까지는 없었다. 반대로 말하자면 제국 기사단장이 아닌 에퀴테스는 한 명도 없었다.
  3. 세이넬도 마찬가지로 귀족들에게 하오체를 사용하지만 보통 기사단장은 귀족들에게 하십시오체를 쓴다. 세이넬만이 특이한 것인데 귀족들은 이에 아무도 불만을 갖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