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 |||
---|---|---|---|
별칭 | La Albirroja ("하양과 빨강") | ||
연맹 | 파라과이 축구 협회 | ||
대륙 | 남미 축구 연맹 | ||
감독 |
![]() | ||
주장 | 구스타보 고메스 | ||
최다 출전자 | 파울로 다 실바 (148) | ||
최다 득점자 | 로케 산타 크루스 (32) |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틀:나라자료 PAR 틀:나라자료 PAR 1 - 5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아순시온; 1919년 3월 11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틀:나라자료 PAR 틀:나라자료 PAR 7 - 0 틀:나라자료 BOL 틀:나라자료 BOL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1949년 4월 30일, 1949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칠레 산티아고; 1926년 10월 20일, 1926년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
월드컵 | |||
출전 횟수 | 8회 (1930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8강 (2010년) | ||
코파 아메리카 | |||
출전 횟수 | 34회 (1921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우승 (1953년, 1979년) |
메달 기록 | |||
---|---|---|---|
남자 축구 | |||
올림픽 | |||
은 | 2004 아테네 | 축구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어: Selección de fútbol de Paraguay)은 파라과이를 대표하는 남자 축구 국가 대표팀이며, 파라과이 축구 협회의 관리하에 있다. 남미 축구 연맹 회원국이다.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모두 8번(1930, 1950, 1958, 1986, 1998, 2002, 2006, 2010)에 참가했으며, 최고 성적은 8강에 오른 2010년 대회이다.'하양과 빨강'이라는 별칭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19년 3월 11일 아순시온에서 열린 아르헨티나와의 홈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고 이 경기에서 1-5로 패했다.
국제 대회 경력
IFA 월드컵
월드컵 본선에는 8번 출전하여 4번의 대회(1986년, 1998년, 2002년, 2010년)에서 16강 이상의 성적을 거두었고 이 중 2010년 대회에서 8강에 오르며 파라과이 축구 역사상 월드컵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나 이후 2번의 대회(2014년, 2018년)에서는 모두 지역 예선에서 탈락하면서 본선에 오르지 못했는데 특히 2014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초반부터 지독한 부진에 시달린 끝에 3승 3무 10패로 10팀 중 9위라는 역대 최악의 성적을 받아들였고 2018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에서는 베네수엘라와의 최종전에서 반드시 승리를 거두어야 5위로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이 가능한 상황이었음에도 결국 0-1 패배로 7위에 그쳐 아깝게 플레이오프에도 오르지 못한 채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코파 아메리카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이 대회에는 36번 출전하여 이 중 2번의 대회(1953년, 1979년)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렸고 6번의 대회(1922년, 1929년, 1947년, 1949년, 1963년, 2011년)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특히 2011년 대회에서 5무 1패의 성적으로 준우승을 차지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이후 2015년 대회에서는 4강에 진출했고 2016년 대회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며 2019년 대회에서는 8강에 머물렀다.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2번 출전했고 이 중 2004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9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본선에는 U-23 대표팀까지 포함해 2번 출전했고 이 중 2004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1992년 대회에서는 8강에 이름을 올렸다.
국제대회 기록
IFA 월드컵
FIFA 월드컵 본선 기록 | FIFA 월드컵 예선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
조별리그 | 9위 | 2 | 1 | 0 | 1 | 1 | 3 | 3 | 자동참가[1] | ||||||||
![]() |
불참 | 불참 | ||||||||||||||||
![]() | ||||||||||||||||||
![]() |
조별리그 | 11위 | 2 | 0 | 1 | 1 | 2 | 4 | 1 | 자동진출(페루, 에콰도르 기권) | ||||||||
![]() |
예선 탈락 | 2위[2] | 4 | 2 | 0 | 2 | 8 | 6 | 6 | |||||||||
![]() |
조별리그 | 12위 | 3 | 1 | 1 | 1 | 9 | 12 | 4 | 3조 1위[3] | 4 | 3 | 0 | 1 | 11 | 4 | 9 | |
![]() |
예선 탈락 | 플레이오프 패[4] | 2 | 0 | 1 | 1 | 0 | 1 | 1 | |||||||||
![]() |
3조 2위[5] | 4 | 1 | 1 | 2 | 3 | 5 | 4 | ||||||||||
![]() |
2조 2위[6] | 6 | 4 | 0 | 2 | 6 | 5 | 12 | ||||||||||
![]() |
2조 2위[7] | 4 | 2 | 1 | 1 | 8 | 5 | 7 | ||||||||||
![]() |
1조 2위[8] | 4 | 1 | 2 | 1 | 3 | 3 | 5 | ||||||||||
![]() |
3조 3위[9] | 4 | 1 | 0 | 3 | 3 | 6 | 3 | ||||||||||
![]() |
16강 | 13위 | 4 | 1 | 2 | 1 | 4 | 6 | 5 | 3조 2위[10] | 8 | 3 | 3 | 2 | 14 | 8 | 12 | |
![]() |
예선 탈락 | 2조 2위[11] | 4 | 2 | 0 | 2 | 6 | 7 | 6 | |||||||||
![]() |
1조 3위[12] | 6 | 1 | 4 | 1 | 6 | 7 | 7 | ||||||||||
![]() |
16강 | 14위 | 4 | 1 | 2 | 1 | 3 | 2 | 5 | 2위[13] | 16 | 9 | 2 | 5 | 21 | 14 | 29 | |
![]() |
16강 | 16위 | 4 | 1 | 1 | 2 | 6 | 7 | 4 | 4위[14] | 18 | 9 | 3 | 6 | 29 | 23 | 30 | |
![]() |
조별리그 | 18위 | 3 | 1 | 0 | 2 | 2 | 2 | 3 | 4위[15] | 18 | 8 | 4 | 6 | 23 | 23 | 28 | |
![]() |
8강 | 8위 | 5 | 1 | 3 | 1 | 3 | 2 | 6 | 3위[16] | 18 | 10 | 3 | 5 | 24 | 16 | 33 | |
![]() |
예선 탈락 | 9위[17] | 16 | 3 | 3 | 10 | 17 | 31 | 12 | |||||||||
![]() |
7위[18] | 18 | 7 | 3 | 8 | 19 | 25 | 24 | ||||||||||
합계 | 8회 진출(8/21) | 8강(1회) | 27 | 7 | 10 | 10 | 30 | 38 | 31 | 합계 | 154 | 66 | 30 | 58 | 201 | 189 | 228 | |
순위 |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24위 | 월드컵 예선 승점 순위 : 24위 (남미 4위)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 |||||||||
![]() |
비회원국 | ||||||||
![]() | |||||||||
![]() | |||||||||
![]() | |||||||||
![]() |
결선리그 | 4위 | 3 | 1 | 0 | 2 | 2 | 7 | 3 |
![]() |
결선리그 | 2위 | 5 | 2 | 1 | 2 | 5 | 6 | 7 |
![]() |
결선리그 | 3위 | 3 | 1 | 0 | 2 | 4 | 6 | 3 |
![]() |
결선리그 | 3위 | 3 | 1 | 1 | 1 | 4 | 4 | 4 |
![]() |
결선리그 | 3위 | 4 | 0 | 0 | 4 | 4 | 13 | 0 |
![]() |
결선리그 | 4위 | 4 | 1 | 0 | 3 | 8 | 20 | 3 |
![]() |
기권 | ||||||||
![]() |
결선리그 | 2위 | 3 | 2 | 0 | 1 | 9 | 4 | 6 |
![]() |
기권 | ||||||||
![]() |
결선리그 | 4위 | 5 | 2 | 0 | 3 | 8 | 16 | 6 |
![]() |
결선리그 | 3위 | 4 | 2 | 0 | 2 | 9 | 8 | 6 |
![]() |
기권 | ||||||||
![]() |
결선리그 | 4위 | 6 | 2 | 2 | 2 | 11 | 10 | 8 |
![]() |
기권 | ||||||||
![]() |
결선리그 | 3위 | 5 | 2 | 1 | 2 | 8 | 8 | 7 |
![]() |
결선리그 | 준우승 | 7 | 5 | 1 | 1 | 16 | 11 | 16 |
![]() |
결선리그 | 준우승 | 8 | 6 | 0 | 2 | 21 | 13 | 18 |
![]() |
결선리그 | 우승 | 7 | 4 | 2 | 1 | 14 | 8 | 14 |
![]() |
결선리그 | 5위 | 5 | 1 | 1 | 3 | 7 | 14 | 4 |
![]() |
결선리그 | 5위 | 5 | 0 | 2 | 3 | 3 | 8 | 2 |
![]() |
기권 | ||||||||
![]() |
결선리그 | 3위 | 6 | 3 | 0 | 3 | 12 | 12 | 9 |
![]() |
결선리그 | 5위 | 4 | 0 | 1 | 3 | 6 | 11 | 1 |
![]() |
결선리그 | 준우승 | 6 | 4 | 1 | 1 | 13 | 7 | 13 |
![]() |
결선리그 | 4위 | 5 | 2 | 0 | 3 | 9 | 13 | 6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 |||||||||
1975년[28] | 예선탈락 | 7위 | 4 | 1 | 1 | 2 | 5 | 5 | 4 |
1979년[29] | 우승 | 1위 | 9 | 4 | 4 | 1 | 13 | 7 | 16 |
1983년[30] | 4강 | 3위 | 2 | 0 | 2 | 0 | 1 | 1 | 2 |
![]() |
예선탈락 | 9위 | 2 | 0 | 1 | 1 | 0 | 3 | 1 |
![]() |
4강 | 4위 | 7 | 3 | 1 | 3 | 9 | 10 | 10 |
![]() |
예선탈락 | 6위 | 4 | 2 | 0 | 2 | 7 | 8 | 6 |
![]() |
8강 | 8위 | 4 | 1 | 1 | 2 | 2 | 7 | 4 |
![]() |
8강 | 6위 | 4 | 2 | 1 | 1 | 6 | 5 | 7 |
![]() |
8강 | 7위 | 4 | 1 | 1 | 2 | 2 | 5 | 4 |
[[그림:{{{국기그림-1990}}}|22x20px|border |파라과이|링크=파라과이]] 1999년[33] | 8강 | 6위 | 4 | 2 | 2 | 0 | 6 | 1 | 8 |
![]() |
예선탈락 | 10위 | 3 | 0 | 2 | 1 | 4 | 6 | 2 |
![]() |
8강 | 5위 | 4 | 2 | 1 | 1 | 5 | 5 | 7 |
![]() |
8강 | 5위 | 4 | 2 | 0 | 2 | 8 | 8 | 6 |
![]() |
준우승 | 2위 | 6 | 0 | 5 | 1 | 5 | 8 | 5 |
![]() |
4강 | 4위 | 6 | 1 | 3 | 2 | 6 | 12 | 6 |
![]() |
예선탈락 | 13위 | 3 | 0 | 1 | 2 | 1 | 3 | 1 |
![]() |
8강 | 8위 | 4 | 0 | 3 | 1 | 3 | 4 | 3 |
합계 | 36회 진출(36/45) | 우승(2회) | 172 | 62 | 42 | 68 | 256 | 297 | 228 |
순위 | CONMEBOL 코파 아메리카 순위 : 4위 |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불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진출 실패 | ||||||||
![]() | |||||||||
![]() | |||||||||
![]() | |||||||||
![]() | |||||||||
![]() | |||||||||
![]() |
불참[35] | ||||||||
![]() |
진출 실패 | ||||||||
틀:나라자료 에스파냐 1992년[36] | 8강 | 6위 | 4 | 1 | 2 | 1 | 5 | 5 | 5 |
![]() |
진출 실패 | ||||||||
![]() | |||||||||
은메달 | 준우승 | 6 | 4 | 0 | 2 | 12 | 9 | 12 | |
![]() |
진출 실패 | ||||||||
![]() | |||||||||
![]() | |||||||||
합계 | 2회 진출(2/26) | 은메달(1회) | 10 | 5 | 2 | 3 | 17 | 14 | 17 |
팬아메리칸 게임
팬아메리칸 게임 기록 | |||||||||
---|---|---|---|---|---|---|---|---|---|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결선리그 | 4위 | 4 | 1 | 0 | 3 | 5 | 14 | 3 |
[[그림:{{{국기그림-1934}}}|22x20px|border |멕시코 (동음이의)|링크=멕시코 (동음이의)]] 1955년 | 불참 | ||||||||
미국 1959년 | |||||||||
![]() | |||||||||
![]() | |||||||||
![]() | |||||||||
![]() | |||||||||
틀:나라자료 푸에르토리코 1979년 | |||||||||
![]() | |||||||||
![]() |
조별리그 | 9위 | 3 | 0 | 2 | 1 | 1 | 8 | 2 |
![]() |
불참 | ||||||||
![]() |
8강 | 7위 | 4 | 2 | 0 | 2 | 4 | 3 | 6 |
![]() |
진출 실패 |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3 | 4 | 3 |
![]() |
진출 실패 | ||||||||
![]() | |||||||||
![]() |
조별리그 | 5위 | 3 | 1 | 1 | 1 | 6 | 3 | 4 |
합계 | 5회 진출(5/17) | 8강(1회) | 17 | 5 | 3 | 9 | 19 | 32 | 18 |
선수단
최근 선수 명단
일자: 2014년 10월 10일, 14일 종류: 중국, 대한민국과의 친선전
|
최다 출전 선수
선수 | 활동 기간 | 경기 수 (골 수) |
---|---|---|
카를로스 가마라 | 1993-2006 | 110 (12) |
로베르토 아쿠냐 | 1993-2006 | 97 (5) |
데니스 카니사 | 1996-현재 | 90 (1) |
셀소 아얄라 | 1993-2003 | 85 (6) |
호세 카르도소 | 1991-2006 | 82 (25) |
로베르토 페르난데스 | 1976-1989 | 78 (0) |
후안 바우티스타 토랄레스 | 1979-1989 | 77 (1) |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 | 1989-2003 | 74 (8) |
에스타니슬라오 스트루와이 | 1991-2002 | 74 (4) |
카를로스 움베르토 파레데스 | 1998-현재 | 74 (10) |
훌리오 세사르 엔시소 | 1995-2004 | 70 (2) |
최다 득점 선수
선수 | 활동 기간 | 골 수 (경기 수) |
---|---|---|
로케 산타 크루스 | 1999-현재 | 28 (97) |
호세 카르도소 | 1991-2006 | 25 (82) |
사투르니노 아루아 | 1969-1980 | 13 (26) |
훌리오 세사르 로메로 | 1979-1986 | 13 (32) |
헤라르도 리바스 | 1921-1926 | 12 (32) |
카를로스 가마라 | 1993-2006 | 12 (110) |
미겔 앙헬 베니테스 | 1996-1999 | 11 (29) |
후안 바우티스타 비얄바 | 1945-1947 | 10 (22) |
아우렐리오 곤살레스 | 1924-1937 | 10 (23) |
카를로스 움베르토 파레데스 | 1998-현재 | 10 (72) |
외부 링크
국제 축구 | ||
---|---|---|
남미 | ||
북중미카리브 | ||
아시아 | ||
아프리카 | ||
오세아니아 | ||
유럽 | ||
종합 대회 |
- ↑ 첫 월드컵이어서 예선전을 따로 치르지 않았고 신청하는 모든 팀이 본선에서 뛰었다.
- ↑ 신청국가가 적어서 풀리그로 예선을 치렀다. 4개국 중 페루마저 기권하고 브라질, 칠레와의 승부에서 2승 2패로 브라질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3조에서 우루과이, 콜롬비아를 제치고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특히 남미 TOP3로 불리던, 우승-4강의 성적을 낸 우루과이를 제친 것은 상당한 충격이자 이변이었다.
- ↑ 남미 국가들과 예선을 치르지 않고 곧바로 북중미와의 플레이오프로 갔다. 플레이오프에서 멕시코에게 1무 1패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3조에서 아르헨티나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2조에서 2위(4승 2패)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당대 최강이었던 브라질을 만났던 것이 원인이었다.
- ↑ 남미 2조에서 아르헨티나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1조에서 브라질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남미 3조에서 칠레, 에콰도르에 밀려 최하위로 탈락했다.
- ↑ 남미 3조에서 브라질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선 1승 1패에 골득실로 앞서 최종라운드에 진출했고 칠레에 1승 1무 5:2로 앞서며 28년만의 본선에 올랐다.
- ↑ 남미 2조에 속해 콜롬비아에 이어 2위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자신들이 전 대회에서 28년만의 월드컵에 올랐는데 공교롭게도 이번엔 콜롬비아에게 28년만의 진출권을 내줬다.
- ↑ 남미 1조에서 콜롬비아, 아르헨티나에 밀려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 이 대회부터 남미 예선이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승점 29점으로 아르헨티나에 1점차로 뒤진 2위를 하며 가볍게 본선에 진출하였다.
- ↑ 승점 30점을 쌓아 4위로 본선에 직행했는데, 2위 에콰도르와 6위 콜롬비아 승점 차이가 4점밖에 나지 않을 정도로 혼돈의 예선이었다.
- ↑ 승점 28점으로 전 대회에 이어 2연속 4위로 본선에 올라갔다.
- ↑ 승점 33점으로 파라과이 지역예선 사상 최고의 성적을 거두며 최종 3위로 본선에 올라갔다. 1위 브라질과는 겨우 승점 1점차이였다.
- ↑ 초반부터 지독한 부진에 시달리며 승점 12점에 그치며 최하위로 탈락했다. 1994년 이후 20년만의 지역예선 탈락이자 최악의 성적이었다. 2011 코파 아메리카 준우승을 달성했기에 그만큼 기대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부진했다.
- ↑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에서 베네수엘라한테 반드시 승리를 거두면 경우의수로 5위로 플레이오프진출이 가능했다. 하지만 베네수엘라한테 1대0으로 패배했고 최종예선 7위로 한끝차이로 탈락하였다.
- ↑ 4위를 기록했지만 참가국이 4개였고 대회 꼴찌였으므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 ↑ 당대 남미 투톱이었던 우루과이, 아르헨티나를 모두 제쳤다. 심지어 브라질과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까지 가면서 최종 2위에 오르는 이변을 일으켰다.
- ↑ 최종 3위를 차지했지만 참가국 3개 중 꼴찌였으므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실제 성적도 4전 전패였다.
- ↑ 다섯 개 국가 중 최종 4위를 기록했다.
- ↑ 우루과이를 3위로 밀어내고 아르헨티나에 이어 최종 2위를 차지했다.
- ↑ 브라질과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0:7로 대패하고 사상 최초 2연속 준우승을 달성했다.
- ↑ 페루와의 경기에서 파라과이 선수의 비신사적인 행동으로 인해 패배 처리(실제스코어 2:2)의 굴욕을 당했으나, 3년 전 월드컵의 우승, 준우승국인 브라질, 우루과이를 모두 누르고 사상 처음으로 우승했다. 특히 브라질을 2:1로 잡은데 이어 승점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했을 때도 3:2로 이기며 브라질 킬러로 올라섰다.
- ↑ 볼리비아에 이어 2위를 차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를 모두 제치고 준우승을 했다.
- ↑ 코파아메리카 역사상 유일하게 지역예선을 치뤘던 대회였고, 에콰도르를 1승 1무(총합 5:3)로 누르고 본선에 올라서 최종 4위를 기록했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으며, 이 대회부터 풀리그가 아닌 조별리그+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결승전까지 올라 칠레와 1승 1패(3득점 1실점)로 재경기를 했지만 여기서도 0:0으로 비겨, 결국 득실에 앞서는 파라과이가 두 번째 우승컵을 차지했다.
- ↑ 개최국 없이 각 국가에 분산되어 경기가 열렸다.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4강에 자동진출, 브라질과 2무를 했지만 원정 다득점에 밀려 탈락했다. 그러나 준결승에서 1무 1패를 기록한 페루에 앞서 최종 3위에 랭크되었다.
- ↑ 20년만에 개최국을 다시 선정하기 시작했으며, 아르헨티나가 그 주인공이 되었다.
- ↑ 참가국을 12개로 확대해 타 대륙팀을 초청하기 시작했고, 첫 초청국은 멕시코와 미국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토너먼트를 8강까지 확대하면서 지금과 같은 대회가 완성되었다.
- ↑ 코파아메리카 참가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에 이어 5번째로 빨랐지만 개최는 처음이었다. 첫 참가 이후 78년만의 개최로, 국가 수가 적은 남미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었다. 그나마도 개최국의 이점을 살리지 못하고 8강전에서 우루과이에 승부차기 패배를 당했다.
- ↑ 예선에서 3무, 8강과 4강 모두 승부차기로 올라가면서 5무로 결승까지 진출한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결승에서까지 승부차기로 이기면 무승 우승이라는 기록을 달성할 뻔 했으나, 우루과이에 0:3으로 대패하면서 결국 무승 준우승에 머물렀다.
- ↑ 적성국인 소련에서 경기가 열려 파라과이를 비롯한 자유 진영 대다수 국가들이 불참했다.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