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립 깁슨

미합중국 제95-115대 연방 상원의원
필립 깁슨
Philip Gibson
본명 코리아어: 필립 미카엘 깁슨 주니어[1]
영어: Philip Michael Gibson Jr.
출생 1926년 1월 7일
일본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반교리
사망 2018년 6월 23일 (92세)
미국 사우스코리아 주 리버포드 카운티
서명
[ 펼치기 · 접기 ]
부모 부 필립 깁슨 시니어
모 도로시 깁슨
배우자 베티 깁슨
자녀 아들 필립 깁슨 3세
딸 린다 깁슨
학력 미국 육군사관학교 (B.S.)
종교 개신교 (감리회)
최종 당적 공화당
의원 선수 7 (상원)
약력 미합중국 육군 (1948 ~ 1966)
제6대 사우스코리아 부지사 (1967 ~ 1975)
사우스코리아 연방 상원의원 (1977 ~ 2018)
군사 경력
임관 미국 육군사관학교(1948년)
복무 미합중국 육군
1948년 - 1966년
최종 계급 중령 (미합중국 육군)
상훈 동성무공훈장
베트남참전메달
주요 참전 베트남 전쟁

개요

필립 깁슨(Philip Michael Gibson Jr.)은 1977년부터 2018년 사망할 때까지 사우스코리아 주 상원의원을 지낸 미국 정치인이자 육군 장교이다.

깁슨은 1948년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미 육군에 임관했다. 깁슨은 포병 장교가 되어 사우스코리아에 머물다가, 케네디의 베트남 정책이 변하면서 군기강확립국이 설치되자 제임스 파월과 함께 남베트남 파병 임무를 맡았다. 케네디가 암살당한 후 베트남 전쟁 일선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1966년 군복을 벗고 파월과 함께 주지사 선거에 출마해 부지사로 당선되었다.

1966년 깁슨은 부지사로 선출되어 두 번의 임기를 지냈다. 10년 후, 그는 미국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어 7선을 지냈다. 깁슨은 대체로 보수적 원칙을 고수하는 한편, 총기 규제, 베트남 재개입 등 특정 이슈에 대해서는 당을 떠나 투표를 실시해 당내 지지층보다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깁슨은 1996년 공화당 프라이머리에 뛰어들었지만 일찌감치 캠페인에서 철수했다. 그는 2016년 대통령 선거 당시 공화당 대통령 후보였던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지지를 거부했고, 2016년부터 이어진 트럼피스트-크루지안 운동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깁슨은 오바마 정부의 건강보험개혁법에 반대표를 던졌지만, 건강보험개혁법을 폐지하는 2017년 건강보험법에 대해서는 반대표를 던졌다. 2018년 4월 급작스럽게 건강이 악화된 후, 6월 23일 노환으로 사망했다.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66 미국 부지사 선거 사우스코리아 공화당 6,566,543 (56.83%) 당선 (1위) 초선
1970 미국 부지사 선거 6,920,848 (59.75%) 재선
1974 미국 주지사 선거 5,909,277 (49.87%) 낙선 (2위)
1976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당선 (1위) 초선
1982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재선
1988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3선
1994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4선
2000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5선
2006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6선
2012 미국 연방상원의원 선거 7선[2]

둘러보기

미합중국 연방 상원의원 (사우스 코리아 클래스 1)
제93-94대
존 휴즈
제95-115대
필립 깁슨
제116-118대
데이비드 킴벨

각주

  1. 개명 전 김종필
  2. 2018.6.23. 임기 중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