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스

Οικουμενικος Κοσμος | 전우주
[ 펼치기 · 접기 ]

개요

하이데스(Ἅιδης)는 헬라스 전우주의 저승으로, 망자의 세계이며 가이아의 지하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영역이다. 올륌포스 신족(Ολύμπιοι)의 일원이며 주신 제우스의 맏형인 명계와 재물의 신 하데스(ᾍδης)에 의해 다스려진다.

신화에서

헬라스 전우주의 저승 하이데스는 보통 가이아의 아래 즉, 지하 세계에 위치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기록에 따라 바다 가장자리에 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하이데스에는 빛이 거의 들지 않아 늘 어두운데 이것은 찬란하게 빛나는 올륌포스와 대조를 이룬다.

사람이 죽어 하이데스로 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순서가 따른다. 대개 죽음의 신 타나토스(Θάνατος), 그리고 이따금씩 전령의 신 헤르메스(Ἑρμῆς)가 망자의 영혼을 저승 입구로 데려가면 망자는 길고 긴 저승 계단을 내려간 다음 명계의 다섯 강을 건너야 한다.

망자가 가장 처음 건너는 강은 비통의 강 아케론(Ἀχέρων)이다. 망자는 자신의 죽음을 비통해 하며 에레보스와 뉙스의 아들 카론(Χάρων)이 모는 배를 타고 아케론 강을 건넌다.

카론은 뱃삯으로 동전 한 푼을 받아야지만 망자를 실어주기 때문에, 헬라스 영역권에서는 죽은 자를 장사 지낼 때 입에 동전 한 푼을 넣거나 두 눈 위에 동전 2개를 올려 주었다. 카론은 이 규칙에 매우 엄격하므로 산 이들이 뱃삯을 챙겨주지 않은 망자는 아케론 강 어귀에서 영원히 맴돌아야 한다.

카론은 결코 산 자를 태워주지 않으나 프쉬케(Ψυχή), 아이네이아스(Αἰνείας), 헤라클레스(Ἡρακλῆς), 오르페우스(Ὀρφεύς) 등 극히 일부의 산 자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카론의 배를 얻어 타고 하이데스에 발을 들이기도 했다.

아케론 다음으로 건너는 강은 탄식의 강 코퀴토스(Κωκυτός)이다. 망자는 얼음장처럼 차가운 코퀴토스 강을 건너며 강물에 비친 생전 자신의 모습을 보며 마치지 못한 일이나 후회들에 탄식한다.

세 번째 강은 퓌리플레게톤(Πυριφλεγεθων)이다. '불타는(Πυρα)'이라는 접두사가 붙은 것에서 알 수 있듯 타오르는 불의 강인 퓌리플레게톤 강은 그 불꽃으로 망자의 영혼을 태워 정화하는 정화의 강이기도 하다.

퓌리플레게톤 강을 지나며 정화된 망자의 영혼은 망각의 강 레테(Λήθη)를 건너는 동시에 레테 강의 강물을 들이마셔 생전의 기억을 모두 잊게 된다. 그러나 생전에 미련이 너무 강하거나 깊은 원한을 갖고 있는 망자는 레테 강물을 마시더라도 기억을 잃지 않는 경우가 있다.

네 강을 모두 건너면 마지막으로 나오는 것은 증오의 강 스튁스(Στύξ)이다. 스튁스 강은 하이데스에서 가장 큰 강으로 하이데스를 아홉 바퀴나 감싸고 흐른다. 스튁스 강의 성질은 단순히 망자가 건너야 하는 강 정도로 그치지 않는다.

스튁스 강물에 몸을 담근 필멸자는 몸이 강철과 같이 단단하게 되어 창이나 칼이나 화살 등 그 어떤 무기에도 상처를 입지 않는다. 가장 유명한 사례가 바로 아킬레우스로, 아킬레우스가 아직 아기였을 때 그의 어머니 테티스가 그의 발뒤꿈치를 잡고 스튁스 강물에 담갔다가 꺼냈다. 그 덕분에 아킬레우스는 무적이 되었으나 테티스가 잡고 있던 바로 그 발뒤꿈치에는 스튁스 강물이 닿지 않았고 그곳이 아킬레우스의 약점이 되었다.

스튁스 강은 헬라스 전우주의 가장 중요한 맹세의 대상이기도 하다. 스튁스 강에 대고 한 맹세는 제우스라 할지라도 반드시 지켜야만 하며 만일 이를 어길 경우 신들은 1년 간 숨을 쉴 수도, 소리를 낼 수도 없는 상태로 꼼짝없이 누워 시체나 다름없이 지내야 하며 그 후로도 9년 동안은 신들의 회의에 참석할 수 없게 된다. 필멸자의 경우에는 대부분 비극적인 죽음 혹은 죽음이 더 나으리라고 생각 되는 운명에 처하게 된다.

다섯 개의 강을 모두 건너게 되면 마침내 하데스가 다스리는 명계의 문이 나타난다. 이 문은 머리 세 개 달린 개 케르베로스(Κέρβερος)가 지키고 있는데, 케르베로스는 명계로 들어가는 망자는 가만히 보내주지만, 명계에서 지상으로 나가려는 망자나 살아있으면서 명계로 들어가려는 이는 세 개의 머리로 자비 없이 물어 뜯는다.

명계의 문 안으로 들어가면 망자는 그제서야 진짜 영혼의 안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다섯 개의 강과 명계의 문 밖은 저승이긴 하지만, 비유하자면 국경선 밖의 공간이기 때문에 하데스의 왕국 밖에 버려진 망자들은 기적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는 이상 영원히 방랑자 처럼 떠돌아다녀야만 한다.

하데스

'보이지 않는 자' 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하데스는 크로노스와 레아 사이의 적장자이며 포세이돈, 제우스, 헤스티아, 데메테르, 헤라의 형제이다. 막내동생 제우스에 의해 아버지의 뱃속에서 구출 된 하데스는 형제들과 함께 티탄 신족에 맞서 싸웠다.

티타노마키아가 종결된 후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는 각자 어느 곳을 다스릴지 서로 제비를 뽑았고, 제우스는 하늘과 지상을, 포세이돈은 바다를, 하데스는 명계를 다스리게 되었다.

어둡고 음산한 저승 세계의 왕이 된 하데스였으나 저승은 외부와 단절된 별도의 공간이기 때문에, 저승을 다스리는 왕인 하데스는 올륌포스의 왕인 제우스와 거의 동급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렇기에 저승에서 벌어지는 일이나 망자의 일에 대해서는 제우스조차 참견할 수 없다.

하데스는 '숨겨진 자' 라는 뜻의 아이도네우스(Ἀїδωνεύς), '넉넉하게 하는 자'라는 뜻의 플루톤(Πλούτων) 혹은 플루토스(Πλοῦτος)라고도 불리며 이는 하데스가 자신이 다스리는 왕국과 이름이 사실상 똑같기 때문이며, 또한 사람들이 명계의 왕인 하데스를 두렵게 여겨 그의 이름을 직접 부르는 것을 꺼려했기 때문이다.

하데스는 명계의 문 안쪽에 있는 자신의 궁전에서 자신의 아내이며 명계의 여왕이자 봄, 씨앗, 명계, 죽음, 재물의 여신인 페르세포네(Περσεφόνη)와 함께 살고 있으며 페르세포네와의 사이에서 호상의 여신인 마카리아(Μακαρία), 악몽과 광기의 여신인 멜리노에(Μελινόη), 지하 세계의 신인 자그레우스(Ζαγρεύς)를 보았다.

실제

하이데스가 현재 어떤 모습으로 실존하고 있는지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이는 380년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의 다신교 박해 이후부터 올륌포스 신앙이 절멸하다시피 하게 되며 향후 천 칠백 여 년 가까이 하이데스로 가는 망자가 거의 없게 된 탓과, 영웅의 시대 때처럼 산 몸으로 명계를 밟아본 영웅들이 더는 없게 된 탓이다. 본래 산 영웅들이 명계로 갈 때에 이용했던, 가이아와 하이데스를 물리적으로 이어주는 통로가 오늘날의 그리스 어딘가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나 그에 대한 정보도 소실 된지 오래다.

조금이나마 알려진 것은 '십 수 세기 전과 사실상 달라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으로, 17세기 중엽 헤르메스 신이 헤르메스 키클로포리아를 창립할 때에 후면 세계 기자들의 질문에 짧게 대답한 것이 전부이다.

헤르메스 신의 발언으로 미루어 보아 하이데스는 여전히 하데스와 페르세포네 부부에 의해 통치되고 있으며 망자는 여전히 다섯 개의 강을 건너고 케르베로스를 지나 명계로 들어가는 것으로 추정된다.


📜 저작권 안내

저작권 안내


이 문서에 서술된 배경세계, 설정, 용어, 명칭, 이미지 등은 모두 원저작자인 EBB_라쿤 또는 이스턴 벨버드 팀(특히 EBB_라돈 및 EBB_랏시)에 의해 창작되었으며, 저작권은 전적으로 해당 창작자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이 창작물의 구성에 참고되었거나 포함된 일부 외부 리소스는 각각의 출처에서 명시한 라이선스에 따라 사용되며, 해당 요소의 저작권은 각 원 저작자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서는 다음을 전제로 열람 및 공유가 가능합니다:
- 전체 설정의 2차 이용 및 가공은 원 창작자의 명시적 동의를 필요로 합니다.
- 외부 저작물이 포함된 경우, 그 요소는 해당 저작권자의 라이선스 조건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본 고지는 제이위키의 창작자 권리를 보호하는 정책에 기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