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부 (아침의 나라)

주의. 이 문서는 아침의 나라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주의. 문서를 동의없이 함부로 수정할 경우 반달 사용자로 지목되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정할 것이 있으시다면 문서 작성자의 동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中京(중경)
行政區域(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

大城府(한성부)

本城府(밋골부)

獐項府(노루목부)

暾出府(돋할부)

軍浦府(군포부)

城南府(성남부)

大山府(한메부)

城川府(골내부)

黑浦府(검포부)
()

廣州郡(광주군)
()

甲串縣(갑곶현)
大城府(한성부)
行政區域(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
中區(중구) 白岳區(흰메구) 城東區(성동구) 龍山區(미르메구) 麻浦府(삼개구)
城北區(성북구) 廣津區(널나루구) 大川區(한내구) 恩平區(은평구) 馬城區(말골구)
阿旦區(아단구) 慰禮區(위례구) 江南區(강남구) 江東區(강동구) 箱草區(서리풀구)
搪浦區(벋개구) 露梁津區(노들나루구) 冠岳區(간메구) 九老區(구로구) 光明區(광명구)
浦洙巖區(갯가바위구) 長堤區(줄보뚝구)
中京(중경)()
大城府(한성부)
Seoul City

지도를 불러오는 중...

下位(하위)
行政區域(행정구역)
22()
地方(지방) 京畿(경기)
人口(인구) 12,177,173名
府尹(부윤)
吳建隱(오세운)

槪要(개요)

한성부는 아사달국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이다. 또한 아사달국 5대 도시인 한성부, 한벌부(군산-김제), 벌내부(평양), 심주부(선양), 비사부(다롄) 중에서도 압도적으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명실상부한 아사달국의 종주도시다.

기원전 18년 백제가 현 위례구·강동구 지역에 도읍을 정한 후 492년간 한성백제 시대가 이어졌다. 이후 475년 고구려가 한성을 함락했는데, 북쪽에 기반을 둔 국가인 고구려는 기존 백제의 한성에서 북쪽으로 한강을 건너 현 널나루구·성동구·아단구 일대를 거점으로 삼아 고구려의 북한산군 남평양으로 지정했고, 이후 한성부는 강북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고구려의 영토인 적도 있었으나 이후 백제가 고구려로부터 한성을 다시 되찾았다. 허나 자체적인 사정으로 얼마 못 가 한성을 포함한 한강 유역을 스스로 포기했고 553년에 신라가 차지해 이후부터 신라의 한산주 한양군이 되었다. 이후 왕씨정권 당시에는 그럭저럭 번성하다가 이씨정권에 들어서면서 실질적인 수도가 되었으며 광덕제가 천도하면서 아사달제국의 공식적인 수도가 되었다. 이어 150여년간 아사달의 수도 역할을 맡아왔다.

外國語表記(외국어표기)

아사달어 大城 / 서울[1]
영어 Seoul
프랑스어 Séoul
스페인어 Seúl
러시아어 Сеул
중국어 (hàn)(chéng)[2]
아랍어 سول
마인어 Seoul
일본어 (おお)()[3]
베트남어 Hán Thành (漢城)[4]
태국어 โซล
페르시아어 سئول
히브리어 סיאול
힌디어 सियोल / सोल
그리스어 Σεούλ
네덜란드어 Seoel
도이칠란트어 Seoul
스웨덴어 Seoul
이탈리아어 Seul
튀르키예어 Seul
포르투갈어 Seul
폴란드어 Seul
라틴어 Seulum
에스페란토 Seulo

한성의 외국어 표기는 크게 한자 문화권과 기타 문화권으로 나눌 수 있다. 한자 문화권에서는 주로 한성이라는 이름에 기반하여 표기하며 기타 외국에서는 서울이라는 이름에 기반하여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자 문화권의 대표 국가, 중국에서는 '한'을 '漢'으로 음차하여 표기한 '漢城'을 사용하며 'Hànchéng'이라고 읽는다.

일본에서는 '大城'을 훈독하여 '오오키(おおき)라고 읽는다. 혹은 음독하여 '다이죠(だいじょう)'라고 읽기도 하나 흔한 표현은 아니다.

베트남에서는 중국에서 유래한 '漢城'이라는 단어를 'Hán Thành'로 음독하여 읽는다.

  1. 백제의 수도였던 새벌(사비)에서 유래하였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거의 사장된 표현이다. 또, 신라의 수도였던 쇠벌(사비)과 과거 음운론적 유사성을 보였다.
  2. '한'을 '漢'으로 음차하여 사용한다. 고대 및 중세의 아사달에서도 漢자를 사용한 기록이 나타나기도 한다.
  3. 한성을 '오오키'로 훈독하여 읽는게 일반적이다.
  4. 중국의 영향을 받아 漢城을 음독하여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