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연방 이 문서는 공식 설정이므로 무단 수정은 반달 행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단, 단순 오류 및 오타의 교정은 반달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 ||||||||||||||||
[ 정치 ] [ 소개 ] [ 문서 목록 ] | ||||||||||||||||
|
![]() | |||||||||||||||||||||||||||||||||||||||||
---|---|---|---|---|---|---|---|---|---|---|---|---|---|---|---|---|---|---|---|---|---|---|---|---|---|---|---|---|---|---|---|---|---|---|---|---|---|---|---|---|---|
[ 펼치기 · 접기 ]
|
4261년 연방 하원의원 선거 | |||||||||||||||||||||||||||||||||||||||||||||||||||||||||||||||||||||||||||||||||||||||||
---|---|---|---|---|---|---|---|---|---|---|---|---|---|---|---|---|---|---|---|---|---|---|---|---|---|---|---|---|---|---|---|---|---|---|---|---|---|---|---|---|---|---|---|---|---|---|---|---|---|---|---|---|---|---|---|---|---|---|---|---|---|---|---|---|---|---|---|---|---|---|---|---|---|---|---|---|---|---|---|---|---|---|---|---|---|---|---|---|---|
4256년 1월 6일 4256년 총선 |
→ | 4261년 1월 6일 4261년 총선 |
→ | 4266년 1월 6일 4266년 총선 | |||||||||||||||||||||||||||||||||||||||||||||||||||||||||||||||||||||||||||||||||||||
투표율: 65.5% ▼ 0.8%p | |||||||||||||||||||||||||||||||||||||||||||||||||||||||||||||||||||||||||||||||||||||||||
|
개요
4261년 1월 6일 치뤄진 지구연방의 제60대 연방 하원 의원을 뽑았던 선거.
선거 6개월 전까지의 예상으로는 민주당과 자유당의 경합이 예상되었으나 마르시 돕슨 대표의 급진적인 공약 발표와 토론회로 지지율이 다시 벌어져 민주당의 낙승으로 끝나게 되었다. 현재 시점으로 마지막으로 민주당이 이긴 총선이자 연방 단위 선거이다.
선거 전 상황
4256년 총선에서 승리해 알론 정의 후임으로 새 총리가 된 제임스 코르바니는 초반 지지율과 지방선거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가져가며 대략 2년간의 허니문 기간을 보냈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이 총선에서도 민주당이 또 한 번 압승을 가져갈 것으로 보였고 이에 더해 야당인 자유당의 새 대표 마르시 돕슨은 상당한 좌익 성향의 발언으로 당내 중도파 (사회민주주의자)까지 경악시키며 언론의 수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4258년 3월경부터 제임스 코르바니 내각에 여러 세레크 대참사의 수습과 같은 여러 실책과 강경우파 성향을 가진 내각 장관들을 통제하지 못하는 코르바니 총리의 모습이 비쳐져 내각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이 틈을 타 리즈 하프너 의원의 일던베르 질의와 같은 일침 등으로 자유당이 지지율을 끌어올려 4230년 2월 이후 최초로 자유당의 지지율 평균이 민주당을 상회했다. 다만 자유당 내부의 논란으로 이 분위기는 오래 가지 못했고 마르시 돕슨 대표의 지나친 강경좌파 사상에 불만을 가진 유권자들이 여당에 다시 한 번 투표하며 자유당은 4259년 중간선거에서 패한다.
그러나 중간선거 승리 후 민주당이 또 한 번 당내 계파 갈등으로 분란과 혼란에 휩싸이면서 자유당이 그 반사이익으로 또 한 번 여론조사 수치에서 박빙을 이루기 시작했고 사건사고가 터질때마다 여론조사 1위가 바뀌며 치열한 경합이 전개되기 시작한다. 그러다 세레크 대참사와 관련된 정부의 내부 은폐 시도 문건이 유츨되며 제임스 코르바니 내각은 결국 장관 3명을 교체해야 했으며, 이러한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자유당이 4260년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두며 코르바니 총리는 사퇴 위기에 몰린다.
결국 제임스 코르바니는 11월에 있을 예정이었던 전당대회를 8월에 미리 개최하는 승부수를 띄우고, 여기서 서렌 존슨 등 구 알론 정 계열 인사와 중도 성향 의원들의 지지를 받아내는데 성공하면서 의원 투표에서 이기고 아서 클라슨 등의 당내 우파 성향 의원들 상당수를 장관으로 기용하겠다는 약속도 하면서 의원 투표에서 과반의 지지를 얻어내 대표직 유임에 성공한다.
대표직 유임에 성공한 제임스 코르바니는 경합인 지지율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마르시 돕슨 자유당 대표와 토론을 성사시키고 여기서 돕슨의 지나친 좌파적 의제를 지적하며 판정승을 거둔다. 이후 리즈 하프너가 그림자 내각에서 사퇴하는 등 자유당은 단일대오를 이루는데 실패했고, 지지율 격차가 다시 벌려지며 패색이 짙어졌다.
다만 지역구 대상 여론조사에서는 자유당이 2500석 ~ 2600석 사이의 의석을 얻어낼 것이라는 전망을 얻어내어 양당 모두 여론조사상 경합지 유세에 주력하였다. 마지막가지 민주당의 과반 확보는 불투명한 상태였고 양당 사이의 지지율 격차는 대략 4~5%p 정도로 아주 크지는 않았지만 민주당의 1당 수성은 확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출구조사
![]() | |||||||||||||||||||
---|---|---|---|---|---|---|---|---|---|---|---|---|---|---|---|---|---|---|---|
정당 | 예측 의석수 | 의석 오차범위 | 예측 득표율 | ||||||||||||||||
민주당 | 3467 | 3448 ~ 3491 | 41.0% | ||||||||||||||||
자유당 | 2321 | 31.8% | |||||||||||||||||
시민당 | 321 | ||||||||||||||||||
크리모데르 국민당 | 50 | ||||||||||||||||||
정의당 | 47 | ||||||||||||||||||
신보수당 | 25 | ||||||||||||||||||
신진보연합 | 22 | ||||||||||||||||||
무소속·기타 | 47 | ||||||||||||||||||
조사기관: 갤럽, 은하리서치 / 대상 지역구: 전 지역구 / 조사인원: 174,824,210명 오차범위: 95% 신뢰수준, 전체 득표율 ±1.5%p, 지역구별 득표율 ±2.7~5.9%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