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보일제목:컨퀘스트 프로젝트 세계관}}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0px solid #FFFFFF; width:100%; font-size:9pt; background:#FFF; color:#000;"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border: 0px solid #FFFFFF; width:100%; font-size:9pt; background:#FFF; color:#000;" | | ||
|- | |- | ||
6번째 줄: | 7번째 줄: | ||
{{프로젝트틀}} | {{프로젝트틀}} | ||
[[분류:프로젝트]] | [[분류:프로젝트]] | ||
[[파일:Wseriod.png|가운데]] | |||
[[파일:aperne0202.png|가운데]] | |||
== '''소개''' == | == '''소개''' == | ||
:[[컨퀘스트 프로젝트]]<sup>(임시명칭)</sup>는 익명의 3인이 만드는 판타지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는 2022년 3월 8일 기준으로 시작되었다. 공통된 장르 · 분위기를 지향하며 프로젝트의 목적은 공통 세계관 및 소설 등의 작품 활동에 있다. 즉 판타지 합작이다. 따라서 참가자 3인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키고, 그에 맞도록 이야기를 진행하려고 노력한다. 2022년 4월 현재 진행 중이다. | :[[컨퀘스트 프로젝트]]<sup>(임시명칭)</sup>는 익명의 3인이 만드는 판타지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는 2022년 3월 8일 기준으로 시작되었다. 공통된 장르 · 분위기를 지향하며 프로젝트의 목적은 공통 세계관 및 소설 등의 작품 활동에 있다. 즉 판타지 합작이다. 따라서 참가자 3인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키고, 그에 맞도록 이야기를 진행하려고 노력한다. 2022년 4월 현재 진행 중이다. 설명했듯 '''글'''을 쓰는 것이 메인이기 때문에 작품을 직접 만드는 것에 더 중점을 둔다. | ||
*컨퀘스트 프로젝트는 분위기(미정)를 지향하여 '''일관된 세계관'''을 유지한다. | *컨퀘스트 프로젝트는 분위기(미정)를 지향하여 '''일관된 세계관'''을 유지한다. | ||
17번째 줄: | 20번째 줄: | ||
:컨퀘스트 프로젝트에 이야기 배경이 되는 장소는 '''[[오륀]], [[세토]], [[로베라]]'''다. 초기 설정에는 세 곳 모두 대륙(반도)와 떨어진 독립적인 지역이었으나 초기 구상인 만큼 설정이 바뀔 수도 있다. | :컨퀘스트 프로젝트에 이야기 배경이 되는 장소는 '''[[오륀]], [[세토]], [[로베라]]'''다. 초기 설정에는 세 곳 모두 대륙(반도)와 떨어진 독립적인 지역이었으나 초기 구상인 만큼 설정이 바뀔 수도 있다. | ||
---- | ---- | ||
== '''<big>계획</big>''' == | == '''<big>계획</big>''' == | ||
:참가자 3인에게는 저마다 중심적으로 다룰 '''인물'''을 내세우고, 서로 독립적인 지역에서 인물과 그 배경에 대한 줄거리 · 소설을 다룬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설정들을 다시 연결하고, 외부세계의 틀을 만든다. 초반에는 거시적인 설정들을 위주로 하고, 설정들이 통일성이 생기고 체계적이면 점증적으로 구체적인 설정들을 만든다. | :참가자 3인에게는 저마다 중심적으로 다룰 '''인물'''을 내세우고, 서로 독립적인 지역에서 인물과 그 배경에 대한 줄거리 · 소설을 다룬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설정들을 다시 연결하고, 외부세계의 틀을 만든다. 초반에는 거시적인 설정들을 위주로 하고, 설정들이 통일성이 생기고 체계적이면 점증적으로 구체적인 설정들을 만든다. | ||
41번째 줄: | 45번째 줄: | ||
*[[로베라]]는 신의 비호 아래에 신을 연구하였으나, 오히려 그로 인해 신이 죽게 된다. | *[[로베라]]는 신의 비호 아래에 신을 연구하였으나, 오히려 그로 인해 신이 죽게 된다. | ||
*크툴루스러운 아이디어를 차용한다. | *크툴루스러운 아이디어를 차용한다. | ||
*초월적인 신의 힘이 닿는 영역은 그 여타 영역과 다른 세상일 가능성이 크다. | |||
|- | |- | ||
|} | |} | ||
106번째 줄: | 111번째 줄: | ||
---- | ---- | ||
<div class="blockquote">[[오륀]]의 이야기</div> | <div class="blockquote">'''[[오륀]]의 이야기'''</div> | ||
: | :오륀은 섬이자 섬에 정착한 민족의 이름으로, 대홍수 이후 섬에 정착한 오륀족은 부족연맹왕국을 건설하였으며, 그들의 독자적인 [[오륀 신화|종교관]]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오륀족은 춥고 삭막한 환경에도 굴하지 않고 그들이 숭배하는 신의 대리인 [[오에번|까마귀 오에번]]의 인도 아래 그들의 문명을 발전시켜나갔다. 여러 부족들은 험난한 섬의 환경을 이겨내고 살아남기 위해 그들을 대표할 아홉 부족을 뽑았고, 그들 대부족은 거대한 석판에 둘러앉아 매년 신의 축복을 기리기 위한 제물을 바치는 [[하지 축제(오륀)|축제]]를 벌였다. 백야의 태양 아래서, 신에 필적할 괴물들의 사체를 불태우며, 오륀족은 신들에게 영원한 축복을 약속받았다. | ||
:그러나 그들의 문명 아래 깔려있는 [[오륀 신화#진실|거짓말]]은 더이상 덮어놓을 수 없게 되었다. 그 고름이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한 희생양이 골라졌다. 아홉 부족의 생존을 위해, 이면에 은폐된 신의 복수를 위해, 거짓말을 지키기 위한 자의 야욕을 위해, 혼혈의 아이는 검을 빼들어야만 한다. | |||
---- | ---- | ||
<div class="blockquote">[[세토]]의 이야기</div> | <div class="blockquote">[[세토]]의 이야기</div> |
2023년 4월 27일 (목) 16:17 기준 최신판
컨퀘스트 프로젝트(임시)는 2022 판타지 프로젝트이며 해당 문서는 프로젝트 회의에서 공식으로 인정된 자료들만 업로드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은 본 제이위키 저작권 원칙을 따릅니다. 타인의 수정을 거부합니다. |
![]() | ||||
관련문서 | ||||
세계관 | 캐릭터 | 줄거리 | 지리 | 여담 |
문화권 | ||||
대륙 | 오륀 | 로베라 | 세토 | 미정 |


소개
- 컨퀘스트 프로젝트(임시명칭)는 익명의 3인이 만드는 판타지 프로젝트다. 프로젝트는 2022년 3월 8일 기준으로 시작되었다. 공통된 장르 · 분위기를 지향하며 프로젝트의 목적은 공통 세계관 및 소설 등의 작품 활동에 있다. 즉 판타지 합작이다. 따라서 참가자 3인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키고, 그에 맞도록 이야기를 진행하려고 노력한다. 2022년 4월 현재 진행 중이다. 설명했듯 글을 쓰는 것이 메인이기 때문에 작품을 직접 만드는 것에 더 중점을 둔다.
- 컨퀘스트 프로젝트는 분위기(미정)를 지향하여 일관된 세계관을 유지한다.
- 이 세계관에서는 동북아시아만한 면적 이상의 세계를 다루지 않는다.[1]
- 동시간대를 다루기 때문에 기술적인 오류는 없는지, 시대적인 개념을 통일시켜야 한다.
- 지속적으로 회의에 참가하고 의견을 내야한다.
- 마법에 대한 설정은 통일되어야 한다.
- 컨퀘스트 프로젝트에 이야기 배경이 되는 장소는 오륀, 세토, 로베라다. 초기 설정에는 세 곳 모두 대륙(반도)와 떨어진 독립적인 지역이었으나 초기 구상인 만큼 설정이 바뀔 수도 있다.
계획
- 참가자 3인에게는 저마다 중심적으로 다룰 인물을 내세우고, 서로 독립적인 지역에서 인물과 그 배경에 대한 줄거리 · 소설을 다룬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설정들을 다시 연결하고, 외부세계의 틀을 만든다. 초반에는 거시적인 설정들을 위주로 하고, 설정들이 통일성이 생기고 체계적이면 점증적으로 구체적인 설정들을 만든다.
- 분위기에 대한 기준은 논의 중이다.
- 직장인/대학생/군인의 3박자여서 계획 진척이 더디다.
Ⅲ. 아이디어 구상
|
Ⅳ. 세계관의 신들
|
Ⅴ. 통일되어있는 대륙
|
Ⅵ. 마법:소유자의 은혜 |
Ⅶ. 세계관의 메인스트림로베라의 이야기
오륀의 이야기
세토의 이야기
|
|
- ↑ 무분별한 세계관의 확장을 미연에 차단
- ↑ 신의 권역이라고 표현 함
- ↑ 서울 면적 600, 제주도 1,000, 영국 200,000)
- ↑ 권역이 큰 의미는 없긴하다. 결국 신이 중심이기 때문
- ↑ 적도 부근의 얼어붙은 땅
- ↑ 상위 차원, 물리적인 위치도 존재함. 영적인 차원과 물리적인 차원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을 것임.
- ↑ 물리적인 위치가 존재한다고 보아야하며 그것을 기점으로 볼 수 있음. 즉 신도 추상적인 형태이면서도 좌표를 가질 수 있음
- ↑ 형태도 여러가지일 수 있고
- ↑ 믿음이 멀어졌다
- ↑ 신은 한 차원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꼭 인간의 물리적인 영역으로만 이해할 필요는 없음
- ↑ 믿음이 있다면 다른 권역, 지역에 있더라도 약한 마법을 사용할 수 있음
- ↑ 가령 깎인 십자가나 교회가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 ↑ 힘에 영향을 줄 것
- ↑ 낮은 수준의 믿음에는 물리적인 영향으로 공격하고, 높은 수준의 믿음에는 정신적인 공격이 될 수 있음
- ↑ 환영, 환각, 환청, 환희, 정신장애 등의 정신적인 공격
- ↑ 다른 권역에 다른 신의 힘을 가진 존재가 나타나면 신의 입장에선 불쾌한 벌레가 붙은 듯한 느낌이라고 보아야함
- ↑ 나와 다른 것에 대한 거부감
- ↑ 본래 신들만이 가지는 자신만의 영역 역시, 대륙에서는 어떠한 약속에 의해서 조율되어 있다.
- ↑ 성별이 의미는 없으나 그 성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