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정까지의 과정 | ||
|- | |- | ||
|} |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선포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프로이센 헌법과 프랑스 헌법의 영향을 짙게 받아 제작된 대한국 헌법은 광무 | 프로이센 헌법과 프랑스 헌법의 영향을 짙게 받아 제작된 대한국 헌법은 광무 9년(1886년) 종묘가 아닌 새로 건축한 석조전에서 선포되었다. 헌법에 의거하여 정부 조직도가 개편되었고, 법률을 조직하는 의회가 꾸려지게 되었으며, 대한에서도 주먹구구식이지만 선거라는 것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흠정 대한국 헌법 제정 이후 외교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서양 국가들이 비로소 대한을 '문명화' 된 국가라고 여기기 시작한 것이다. | ||
광무 | 광무 22년(1899년)에는 대한국 헌법에 일부 수정을 가하였으며 광무 23년(1900년)에는 20세기에 맞춰 투표에 관한 조항을 개정하였다. 이후 대한국 헌법은 [[순종 효황제 이택|융희제]] 시절 크게 번창하여 입헌군주정의 기틀을 닦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 ||
[[이강]]과 신한청년당의 대전쟁 이후 헌법은 크게 수정되어 [[대한국 헌법]]으로 개편되었다. | [[이강]]과 신한청년당의 대전쟁 이후 헌법은 크게 수정되어 [[대한국 헌법]]으로 개편되었다.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1장 대황제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71번째 줄: | 71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2장 신민의 권리와 의무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108번째 줄: | 108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3장 의회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165번째 줄: | 165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4장 국무대신 및 추밀고문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178번째 줄: | 178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5장 사법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197번째 줄: | 197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6장 회계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228번째 줄: | 228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margin-right:auto; " | ||
|- | |-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 | | width="100%" style="line-height:20px;font-size:17.5px;border:none;color:#06041A;" |제 7장 보칙 | ||
|- | |- | ||
|} | |} | ||
{{구분선}} | {{구분선}}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1.5px solid #f2f2f2;width:100%" | | ||
|- | |-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color:#000;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right:60px;font-size:10pt;" | |
2023년 5월 18일 (목) 15:26 기준 최신판
![]() |

개요 |
흠정대한국헌법은 대한 고조 태황제 이환의 지시로 시작되어 고종 광황제 이천의 대에서 완성이 된 대한 최초의 헌법이자 아시아 최초의 헌법이다. 이것이 만들어진 이후 대한국 황실전범 또한 명을 내려 제작되었다.
제정까지의 과정 |
고조가 제국을 연 후 많은 시간이 흐르자, 서양 물을 먹은 지식인들의 수는 늘어나고 기존까지 대한에 확립되지 않은 법 체계를 한번에 통합하자는 이야기가 서서히 나오기 시작하였다. 고조 또한 통치에 원활한 규정이 필요하겠다 생각하여, 1874년 이를 추진시키게 하였다.
고조가 1877년에 천붕하고 고종이 즉위하자 불안정한 정국 탓에 자칫 잘못하면 지엄한 군상대권을 건드려 한다는 서슬 퍼런 혐의에 엮여 목이 달아날 수 있기에 한동안 법전 제정은 멈췄다. 그러나 고종이 일본, 청나라에서의 외변을 무찌른 후 고조의 적법한 후계로서의 권위가 인정받자 다시금 필요성이 대두되어 헌법 제작에 박차를 가하였다.
선포 |
프로이센 헌법과 프랑스 헌법의 영향을 짙게 받아 제작된 대한국 헌법은 광무 9년(1886년) 종묘가 아닌 새로 건축한 석조전에서 선포되었다. 헌법에 의거하여 정부 조직도가 개편되었고, 법률을 조직하는 의회가 꾸려지게 되었으며, 대한에서도 주먹구구식이지만 선거라는 것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흠정 대한국 헌법 제정 이후 외교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서양 국가들이 비로소 대한을 '문명화' 된 국가라고 여기기 시작한 것이다.
광무 22년(1899년)에는 대한국 헌법에 일부 수정을 가하였으며 광무 23년(1900년)에는 20세기에 맞춰 투표에 관한 조항을 개정하였다. 이후 대한국 헌법은 융희제 시절 크게 번창하여 입헌군주정의 기틀을 닦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내용 |
제 1장 대황제 |
|
제 2장 신민의 권리와 의무 |
|
제 3장 의회 |
|
제 4장 국무대신 및 추밀고문 |
|
제 5장 사법 |
|
제 6장 회계 |
|
제 7장 보칙 |
|
The Last Empire | ||||||||
Land of the Light and Night | → | TLE [GWR] | → | TLE [Hoi4] | → | The Last Empire | → | For the Futu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