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조선인민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Communist 1968님이 한나라당(조선인민공화국) 문서를 한나라당 (조선인민공화국)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조선인민공화국 정당}}
{{정당 정보  
{{정당 정보  
|국가 = [[조선인민공화국]]
|이름 = 한나라당  
|이름 = 한나라당  
|원어 이름 =  
|원어 이름 =  
|배경색 = #008BD5   
|배경색 = #008BD5   
|당기 =  
|당기 =  
|로고 = [[파일:hanara white.png]]
|로고 = hanara white.png
|로고_크기 = 150px
|로고_크기 = 200px
|워드마크 =  
|워드마크 =  
|그림 =  
|그림 =  
12번째 줄: 12번째 줄:
|약칭 =   
|약칭 =   
|언어1 = [[영어]]
|언어1 = [[영어]]
|언어1_이름 = Great National Party
|언어1_이름 = Grand National Party
|언어2 = [[중국어 번체자|대만어]]
|언어2 = [[중국어 번체자|대만어]]
|언어2_이름 = 大國家黨  
|언어2_이름 = 大國家黨  
20번째 줄: 20번째 줄:
|언어4_이름 = ハンナラとう  
|언어4_이름 = ハンナラとう  
|당수 =  
|당수 =  
|대표 = [[이혜훈]]
|대표 = [[정의화]]
|의장 =  
|의장 =  
|총재 =  
|총재 =  
|총비서 =  
|총비서 =  
|원내대표 = [[정의화]]
|원내대표 = [[이명수]]
|원내총무 = [[안상수(창원)|안상수]]
|원내총무 = [[홍준표]]
|정책위원장 = '''[[이명박]]'''
|정책위원장 =  
|사무총장 = [[박맹우]]
|사무총장 = [[박맹우]]
|창준위원장 = [[김구]]  
|창준위원장 = [[김구]]  
38번째 줄: 38번째 줄:
|지도자3_이름 =  
|지도자3_이름 =  
|선거후보 =  
|선거후보 =  
|당가 = [[애국가]]
|당가 = [https://www.youtube.com/watch?v=Tn-6pKo3kEI 애국가]
|표어 = |창당 = 1875년 |해산 = |피병합 = |분당전 = |분당후 = |선행조직 = |통합정당 = |후계정당 = |중앙 당사 = [[독일 연방국]] [[쾨니히스베르크]] [[오토 벨스 하우스]] |기관지 = 전진 (Vowert) |부문조직1_제목 = 준군사조직 |부문조직1 = [[흑적금 국기단]] |재정지원 = |재정_연도 = |당원 = 505,832명 |당원_연도 = 2019.3 |이념 = [[사회민주주의]] |스펙트럼 = 중도좌파 |종교 = |선거연합 = |자매정당 = |교섭단체 = |국제조직 = |유럽정당 = |유럽의회 = |가입조직1_제목 = |가입조직1 = |상징색 = [[빨강색]] |의회의석 = |의회의석 정수 = |지방의회 = |지방의회 정수 = |상원의석 = |상원의석 정수 = |하원의석 = |하원의석 정수 = |유럽의회의석 = |유럽의회의석 정수 = |의석1 제목 = [[분데스탁]] |의석1 수 = 573 |의석1 정수 = 1500 |의석2 제목 = [[라이히스탁]] |의석2 수 = 313 |의석2 정수 = 845 |의석3 제목 = [[유럽의회]] |의석3 수 = 27 |의석3 정수 = 145 |의석4 제목 = 외스터라이히 의회 |의석4 수 = 53 |의석4 정수 = 183 |의석5 제목 = 노르웨이 의회 |의석5 수 = 49 |의석5 정수 = 173 |의석6 제목 = 스웨덴 의회 |의석6 수 = 101 |의석6 정수 = 349 |의석7 제목 = 덴마크 의회 |의석7 수 = 45 |의석7 정수 = 150 |의석8 제목 = 영국 의회 |의석8 수 = 194 |의석8 정수 = 432 |웹사이트 = |테러지정 = }} '''독일 사회민주당'''({{llang|de|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조치알데모크라티셰 파르타이 도이칠란트}})은 [[독일 연방국]]의 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제 3의 길, 민주사회주의 정당으로, 현재 총리인 [[올라프 숄츠]]배출한 여당이다. 1875년 창당되었고 1890년 공식 등록되었다. 1919년 사회주의 정당으로써는 최초로 합법적 방식으로 집권하였다. [[독일 가톨릭중앙당]]과는 경쟁 관계이다. 1919년부터 2019년까지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오토 벨스]], [[쿠르트 슈마허]], [[헤르베르트 프람]], [[헬무트 슈미트]][[오스카어 라퐁텐]] 등 수많은 총리를 배출해왔다. 1961년 [[드레스덴 강령]]으로 기존의 마르크스주의 노선을 버리고 [[사회민주주의]], 사회 합의주의 등을 당의 강령으로 선택하였다. 사회주의 노선을 고수하나, [[조선민주국]]에서의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과 다르게 민주주의를 확대했으며, 또한 극좌가 아닌 중도좌파로 분류된다. 중앙당과는 기존 양당제를 유지해왔으며, 2018년에는 [[앙겔라 메르켈]]을 실각시키고 [[올라프 숄츠]]를 총리로 배출하기도 하였으나, 이후 독일 경제 침체로 지지율이 급락하여 2019년 EU 의회 선거에서 [[운동 2019]]에도 지지율이 밀려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 이념 == === 경제 === 독일 사회민주당은 '''사회적 시장경제'''와 '''케인스주의''', '''사회민주주의'''를 추구한다. 노동자와 기업간의 타협을 통해서 노동자의 인권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사회협의주의'''또한 지향한다. 독일 사회민주당은 복지 제정을 확대해 최대 35%까지로 올리자고 주장하며, 최저임금 지정에 찬성한다. 사회민주당의 기업관은 친 노동자, 반 기업이다. 사민당은 기업에 대한 규제와 증세를 찬성하며 특히 상속세와 법인세를 엄격히 늘려야한다고 한다. [[오스카어 라퐁텐]] 前 사민당 의장에 의해 사민당은 자본주의 탈피와 사회주의화를 추구하는 '''민주사회주의''', '''중도 마르크스주의'''도 강령으로 받아들였다. === 외교 === 사민당은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과 [[제 2세계]] 중간에 서는 중립적 외교를 표명한다. [[독일 가톨릭중앙당]]의 독자적 노선과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사민당 지도부는 그때 그때 양쪽의 편을 다 들어주는 편이다. 예를 들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을때]]에는 소련을 비판했고, [[2017년 베네수엘라 쿠데타 위기]]에는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중립적 외교에는 [[헤르베르트 프람]]의 영향이 강했고, 이전에는 [[아나키스트 인터내셔널]]에 동조적이었다. === 사회 === 젠더적으로 [[페미니즘]]과 [[이퀄리즘]]에 동조적이다. 다만 여성 인권 신장과 동성애 인권 확대 등을 당 강령으로는 삼고 있으나, 노동자 권리 확대 이후에 해결할 과제라면서 젠더적 문제에는 회의적인 편이다. 그래도 1987년 낙태법 폐지에 찬성하기도 하였다. 아나키즘과 자유지상주의, 반체제 운동에는 독일 국가체를 훼손한다면서 반대하고있다. 이 당은 [[1957년 독일 국민투표|1957년 왕정 폐지]]를 이끌기도 한 공화주의 정당이다. 전체적으로는 보수 - 진보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적 사회관을 지향한다. == 타 정당과의 관계 == *[[독일 가톨릭중앙당]] *[[독일 녹색당]] 현재도 연정 파트너이고, 여러부분에서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사이가 돈독하다. [[로베르트 하베크]] 녹색당 대표가 [[올라프 숄츠]] 총리 취임을 축하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하였고, 사민당 의원들도 자주 SNS로 녹색당 의원들을 칭찬한다. *[[독일 공산당]] 창립자 [[로자 룩셈부르크]]의 영향으로 1960년대까지는 사이가 최악이었으나, [[에리히 호네커]]가 당 서기장으로 선출된 이후에는 연립 내각에 참여하면서 분위기가 풀어졌다. 그러나 1980년 [[독일 공산당]]이 스탈린주의 노선을 따르는 분파들을 모두 쫓아내고 정통 룩셈부르크주의를 추구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한 이후에는 두 당의 관계가 다시 냉각되기에 이른다.  
|표어 =  
{{조선인민공화국의 정당}}
|창당 = 1938년
|해산 =  
|피병합 =  
|분당전 =  
|분당후 = [[조선애국당]]
|선행조직 =  
|통합정당 =  
|후계정당 =  
|중앙 당사 = [[조선인민공화국]] [[서울특별시]] 한양빌딩
|기관지 =  
|부문조직1_제목 =
|부문조직1 =  
|재정지원 = 400,000원
|재정_연도 =  
|당원 = {{감소}}2,090,342명
|당원_연도 = 2018.8
|이념 = [[보수주의]]<br>[[우익대중주의]]<br>'''과거'''<br>[[우익민족주의]]<br>[[아나키즘적 자본주의]]
|스펙트럼 = 중도우파~우파
|종교 = '''분파'''<br>기독교
|선거연합 = [[조선애국당]], [[무소속 연합]]
|자매정당 =  
|교섭단체 =  
|국제조직 =  
|유럽정당 = [[유라시아 인민당]]
|유럽의회 =  
|가입조직1_제목 =  
|가입조직1 =  
|상징색 = [[하늘색]]  
|의회의석 =  
|의회의석 정수 =
|지방의회 =  
|지방의회 정수 =  
|상원의석 =  
|상원의석 정수 =  
|하원의석 =  
|하원의석 정수 =
|유럽의회의석 =  
|유럽의회의석 정수 =  
|의석1 제목 = 조선인민공화국 의회
|의석1 수 = 129
|의석1 정수 = 400
|의석2 제목 = 조선인민공화국 감사
|의석2 수 = 3
|의석2 정수 = 16
|의석3 제목 = 조선인민공화국 수령
|의석3 수 = 110
|의석3 정수 = 405
|의석4 제목 = 조선인민공화국 광역의원
|의석4 수 = 301
|의석4 정수 = 1000
|의석5 제목 = 조선인민공화국 기초의원
|의석5 수 = 2019
|의석5 정수 = 5000
|의석6 제목 =
|의석6 수 =  
|의석6 정수 =  
|의석7 제목 =  
|의석7 수 =  
|의석7 정수 =  
|의석8 제목 =  
|의석8 수 =  
|의석8 정수 =
|웹사이트 =
|테러지정 =  
}}  
'''한나라당'''은 [[조선인민공화국]]의 중도우파 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정당으로, 전 총통인 [[이명박]]배출한 야당이다. 1938년 창당되었고 공식 등록되었다. [[민주당 조선인민공화국|민주당]]과는 경쟁 관계이다. 1938년부터 2019년까지 [[김구]], [[안창호]], [[김종필]], [[이명박]], [[반기문]][[오세훈]] 등 수많은 총리를 배출해왔다. 1950년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로 기존의 민족주의 노선을 버리고 [[우익대중주의]]당의 강령으로 선택하였다. 이후 조선인민공화국 경제 침체로 지지율이 급락하여 [[제11회 조선인 전국동시지방선거|2016년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 이념 ==  
=== 경제 ===  
한나라당은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를 추구한다.  
=== 외교 ===  
=== 사회 ===
== 타 정당과의 관계 ==  
*[[조선애국당]]  
분당으로 예전만큼 사이가 좋지는 못하지만, 여러부분에서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사이가 돈독하다.  
{{조선인민공화국의 선거}}

2020년 1월 24일 (금) 13:01 기준 최신판

조선인민공화국의 정당
2018년 기준
여당 (255석)
민주당
201석
사회민주당
44석
야당 (145석)
한나라당
129석
평화민주당
12석
조선애국당
13석
조선공산당
1석
한나라당
로고
영어 Grand National Party
대만어 大國家黨
중국어 大国家党
일본어 ハンナラとう
당가 애국가
상징색 하늘색
이념 보수주의
우익대중주의
과거
우익민족주의
아나키즘적 자본주의
스펙트럼 중도우파~우파
종교 분파
기독교
당원  (2018.8) 감소2,090,342명
국가 재정지원 400,000원
당직자
대표 정의화
원내대표 이명수
원내총무 홍준표
사무총장 박맹우
창립준비위원장 김구
창립자 김구
역사
창당 1938년
분당된
정당
조선애국당
예하 부문
중앙당사 조선인민공화국 서울특별시 한양빌딩
선거연합 조선애국당, 무소속 연합
국제 부문
유럽정당 유라시아 인민당
의석
조선인민공화국 의회
129 / 400
조선인민공화국 감사
3 / 16
조선인민공화국 수령
110 / 405
조선인민공화국 광역의원
301 / 1,000
조선인민공화국 기초의원
2,019 / 5,000

한나라당조선인민공화국의 중도우파 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정당으로, 전 총통인 이명박을 배출한 야당이다. 1938년 창당되었고 공식 등록되었다. 민주당과는 경쟁 관계이다. 1938년부터 2019년까지 김구, 안창호, 김종필, 이명박, 반기문오세훈 등 수많은 총리를 배출해왔다. 1950년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로 기존의 민족주의 노선을 버리고 우익대중주의를 당의 강령으로 선택하였다. 이후 조선인민공화국 경제 침체로 지지율이 급락하여 2016년 지방선거에서 참패하고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이념

경제

한나라당은 자본주의신자유주의를 추구한다.

외교

사회

타 정당과의 관계

분당으로 예전만큼 사이가 좋지는 못하지만, 여러부분에서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사이가 돈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