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맹조의발톱):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 그림 =  
| 그림 =  
| 그림설명 =  
| 그림설명 =  
| 지도 = {{Maplink| frame = yes | plain = yes | frame-align = center
      | frame-width = 300 | frame-height = 250 | frame-coordinates={{좌표|37|34|00|N|126|58|41|E}} | zoom = 9
      | id = Q8684 | marker = rail | marker-color = #000000 |type=shape-inverse|stroke-width=2|stroke-color=#4F4F4F|fill=#FFFFFF|fill-opacity=0.3}}
| 지도설명 = 서울특별시의 지도
| 나라 = {{국기|대한민국}}
| 나라 = {{국기|대한민국}}
| 면적 = 605.23
| 면적 = 약 1,000㎢
| 기후 = [[냉대 동계 소우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Dwa]])
| 기후 = [[냉대 동계 소우 기후]] ([[쾨펜의 기후 구분|Dwa]])
| 인구 = 9,334,828명
| 인구 = 10,071,108명
| 인구년도 = 2025  
| 인구년도 = 2025  
| 인구밀도 = 15,425.47명/km<sup>2</sup>
| 인구밀도 = 10,071.108명/km<sup>2</sup>
| 구 = 30
| 구 = 30
| 단체장 = 홍익표
| 단체장 = 홍익표
57번째 줄: 53번째 줄: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핵심 지역'''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핵심 지역'''


강북은 기존 서울 도심(종로·중구·용산),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창릉구가 포함된 지역으로, 정치·경제·문화의 핵심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광화문과 청와대, 주요 정부 기관이 밀집한 도심권은 행정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강북은 기존 서울 도심(종로·중구·용산),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창릉구, 성북구, 성동구가 포함된 지역으로, 정치·경제·문화의 핵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광화문과 청와대, 주요 정부 기관이 밀집한 도심권은 행정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강남===
===강남===
>'''서울의 맨하탄이 위치한 동북아시아 금융 허브'''
>'''서울의 맨해튼이 위치한 동북아시아 금융 허브'''


영등포구, 양천구, 구로구, 관악구, 동작구, 금천구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동북아시아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여의도는 서울의 맨하탄으로 불리며 스카이라인이 아름답다.
영등포구, 양천구, 구로구, 관악구, 동작구, 금천구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동북아시아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여의도는 서울의 맨하탄으로 불리며 스카이라인이 아름답다.


===서부===
===중부===
>'''부천과의 통합으로 형성된 신경제 중심지'''
>'''부천과의 통합으로 형성된 신경제 중심지'''


서울의 서부 지역은 부천과 통합되면서 경제·산업 중심지로 발전했습니다. 부천 지역에는 첨단 산업 단지와 물류 허브가 형성되었고, 인천과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어 국제적 물류 거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대서울의 제조업과 첨단 기술 기반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축을 형성합니다.
강서구, 오정구, 원미구, 소사구가 위치한 서울의 중부 지역은 부천 지역이 편입되면서 경제·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소사구는 첨단 산업 단지와 물류 허브가 형성되었고, 원미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심에 위치해있어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이 지역은 원인천과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어 수도권 교통 허브는 물론 동북아의 물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지역은 서울의 제조업과 첨단 기술 기반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축을 형성한다.


===서북부===
===서북부===
>'''항공 허브이자 주거·녹지 지역'''
>'''항공 허브이자 주거·녹지 지역'''


계양구, 부평구, 서구, 영종구가 위치한 서북부 지역은 기존 서울보다 자연 친화적인 주거 지역으로 조성되었다. 이 지역은 대규모 녹지 공간과 함께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주거와 교육, 문화 시설이 조화롭게 구성된 지역으로 발전했다. 영종도에는 동북아 최대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있다.
계양구, 부평구, 청라구, 영종구가 위치한 서북부 지역은 기존 서울보다 자연 친화적인 주거 지역으로 조성되었다. 이 지역은 대규모 녹지 공간과 함께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주거와 교육, 문화 시설이 조화롭게 구성된 지역으로 발전했다. 영종도에는 동북아 최대 공항인 세종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있다.
 
대서울의 북부는 고양 덕양구 일부(대덕동, 화전동, 창릉동)가 편입되며 기존 서울보다 자연 친화적인 주거 지역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 지역은 대규모 녹지 공간과 함께 신도시 인천공항과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남서부===
>'''시흥 편입으로 형성된 신주거·산업 지역'''
 
시흥의 보통천 이북 지역이 편입되면서 대서울의 남서부 지역은 새로운 주거 및 산업 클러스터로 개발되었습니다. 수도권 서남부와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었으며, 특히 첨단 제조업과 연구 단지가 조성되면서 미래 산업 중심지로 부상했습니다.


===원인천===
===원인천===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제물포구, 미추홀구, 연수구는 기존 인천의 원도심이며,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역할과 전통적인 주거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원인천 지역은 개항 시대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제물포구, 미추홀구, 연수구는 기존 인천의 원도심이며,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역할과 전통적인 주거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원인천 지역은 개항 시대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6. 대서울의 광역 교통망과 기능 분화
===남부===
대서울은 기존 서울보다 넓어진 행정구역을 고려해 대규모 광역 교통망을 구축하였습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와 대서울 순환철도망이 신설되어 주요 도심 간 이동이 원활해졌으며, 인천과의 연결성도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기존 서울 도심과 부천·고양·시흥 간 기능을 분화하여 균형 발전을 이루도록 계획되었습니다.
>'''신주거·미래 산업 중심지'''


이러한 행정 지리적 변화로 인해 대서울은 단순한 수도의 개념을 넘어, 동아시아 최대 경제·문화 허브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소래구, 남동구, 광명구가 있는 남부 지역은 새로운 주거 산업 클러스터로 개발되었다. 수도권 서남부와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었으며, 첨단 제조업과 연구 단지가 조성되면서 경공업 위주의 공단 지역에서 미래 산업 중심지로 부상했다.


==하위 행정구역 목록==
==하위 행정구역 목록==

2025년 3월 25일 (화) 12:14 기준 최신판

서울
특별시
파일:Flag of Seoul.svg 파일:Seal of Seoul.svg
시기 휘장
표어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행정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행정구역 30구
시청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시장 홍익표
지역어 경기 방언
인구
인구 10,071,108명 (2025년)
인구밀도 10,071.108명/km2
지리
면적 약 1,000㎢
기후 냉대 동계 소우 기후 (Dwa)
상징
시목 은행나무
시화 개나리
시조 까치
마스코트 해치와 소울 프렌즈
기타
시간대 한국 표준시 (UTC+9)
우편번호 01000 ~ 08999
지역번호 02[1]

개요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로써 대한민국의 유일한 특별시다.

역사

서울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지역으로, 신석기 시대의 암사동 유적이 이를 증명한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가 한성을 수도로 삼았으나, 이후 고구려와 신라의 공격으로 변천을 겪었다. 고려 시대에는 남경(서울의 옛 이름)으로 불리며 정치·경제적 중요성이 커졌고, 조선 태조가 1394년 한양을 수도로 정하면서 정치·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후 조선 왕조 500년 동안 수도의 위상을 유지하며 발전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경성으로 불리며 식민 지배를 겪었다. 해방 후 대한민국의 수도로 자리 잡은 서울은 빠르게 현대적인 도시로 성장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은 행정 개편을 통해 확장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우선 1960년대 서울이 포화 상태에 이르자 1963년에 정부는 광명, 부천, 고양 덕양구 일부(대덕동, 화전동, 창릉동), 시흥 보통천 이북 지역을 편입했다. 이 과정에서 인구와 경제력이 더욱 집중되었다. 이후 1977년, 경인 통합이 추진되면서 시흥 보통천 이북 지역과 인천까지 포함하는 광역 수도권 체제가 형성되었고, 행정 통합과 도시 계획을 통해 수도권의 균형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서울은 단순한 행정 수도를 넘어 동아시아의 핵심 경제 도시로 자리 잡게 되었다.

현재 서울특별시는 첨단 산업과 금융,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도시로 성장했다. 인천과 통합된 수도권의 교통망이 획기적으로 확충되었고, 주요 산업 단지가 서울 전역으로 확대되며 경제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했다. 또한, 서울은 국제적인 기업과 연구 기관들이 모이는 허브로 발전했으며, 환경 친화적 도시 개발과 스마트 도시 시스템을 통해 미래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 속에서 서울은 대한민국을 넘어 동아시아와 세계를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리

강북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핵심 지역

강북은 기존 서울 도심(종로·중구·용산), 마포구, 은평구, 서대문구, 창릉구, 성북구, 성동구가 포함된 지역으로, 정치·경제·문화의 핵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광화문과 청와대, 주요 정부 기관이 밀집한 도심권은 행정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강남

>서울의 맨해튼이 위치한 동북아시아 금융 허브

영등포구, 양천구, 구로구, 관악구, 동작구, 금천구를 아우르는 지역으로, 동북아시아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여의도는 서울의 맨하탄으로 불리며 스카이라인이 아름답다.

중부

>부천과의 통합으로 형성된 신경제 중심지

강서구, 오정구, 원미구, 소사구가 위치한 서울의 중부 지역은 부천 지역이 편입되면서 경제·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소사구는 첨단 산업 단지와 물류 허브가 형성되었고, 원미구는 서울특별시의 중심에 위치해있어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이 지역은 원인천과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어 수도권 교통 허브는 물론 동북아의 물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지역은 서울의 제조업과 첨단 기술 기반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축을 형성한다.

서북부

>항공 허브이자 주거·녹지 지역

계양구, 부평구, 청라구, 영종구가 위치한 서북부 지역은 기존 서울보다 자연 친화적인 주거 지역으로 조성되었다. 이 지역은 대규모 녹지 공간과 함께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주거와 교육, 문화 시설이 조화롭게 구성된 지역으로 발전했다. 영종도에는 동북아 최대 공항인 세종국제공항이 위치하고 있다.

원인천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제물포구, 미추홀구, 연수구는 기존 인천의 원도심이며, 수도권 수출입의 중심지 역할과 전통적인 주거 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원인천 지역은 개항 시대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남부

>신주거·미래 산업 중심지

소래구, 남동구, 광명구가 있는 남부 지역은 새로운 주거 및 산업 클러스터로 개발되었다. 수도권 서남부와 연결되는 교통망이 강화되었으며, 첨단 제조업과 연구 단지가 조성되면서 경공업 위주의 공단 지역에서 미래 산업 중심지로 부상했다.

하위 행정구역 목록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동대문구
  • 성북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관악구
  • 창릉구 [2]
  • 계양구
  • 청라구 [3]
  • 부평구
  • 남동구
  • 영종구
  • 제물포구
  • 미추홀구
  • 연수구
  • 소래구[4]
  • 광명구
  • 오정구
  • 원미구
  • 소사구
  1. 경기도 과천시·광명시 일원과 고양시 덕양구 일부(옛 고양군 신도읍·화전읍 지역), 하남시 일부(옛 광주군 서부면 일부), 시흥시 일부(과림동 일대), 부천시 일부(옥길동, 역곡동 일부), 안양시 일부(석수동 접경지역), 구리시 일부(아천동 일부)는 지역번호가 02이다.
  2. 고양시 덕양구 대덕동, 화전동, 창릉동 지역
  3. 구)인천 서구 지역 중 경인아라뱃길 이남
  4. 시흥시 보통천 이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