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호 (대현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열차명 정보
{{namucat|Project Utopia|대현월국 철도청}}
| 열차명 = 통일호
{{틀:현월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 열차명2=
{{틀:현월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배경색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390px; float: right;  width: 100%; border: 2px solid #147D80; text-align: center;" text-align: center;
| 그림 =
|-
| 그림설명 =
| colspan="4"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글씨 크기|13|통일호}}'''</br>Tong-il Express | 統一號</br>'''{{정당 둥근상자2|운행종료|#fff|#FF0000}}'''
| 국가 = {{국기|대현월국}}
|-
| 종류 = 급행 열차
! colspan="2"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운영사
| 현황 = 운행 중
| colspan="2" | [[대현월국 철도청]]
| 지역 =
|-
| 기간 = [[2022년]] 11월 12일~현재
! colspan="2"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개통일
| 후속 =
| colspan="2" | [[2022년]] [[11월 12일]]
| 운영자= [[대현월국 철도청]]
|-
| 이전사업자 =  
! colspan="2"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폐지일
| 평균승객 =  
| colspan="2" | [[2024년]] [[3월 17일]]
| 기점 = [[한월역|한월]]{{·}}[[북산역|북산]]{{·}}[[북한월역|북한월]]
|-
| 역수 인수변경 =  
! colspan="2"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등급
| 역수 = 82
| colspan="2" | 보통열차
| 종점 = [[창진역|창진]]{{·}}[[창산역|창산]]{{·}}[[개양포역|개양포]]{{·}}[[북항역|북항]]{{·}}[[해동역|해동]]{{·}}[[예원역|예원]]{{·}}[[영포역|영포]]{{·}}[[동도역|동도]]{{·}}[[인주역|인주]]{{·}}[[평천역|평천]]{{·}}[[풍산역|풍산]]
|-
| 영업거리 =  
! colspan="2" style="background: #147D80; color: #F9BE00; | 폐지 당시</br>사용 차량
| 평균소요시간 =  
| colspan="2" | 추후 작성 예정
| 배차간격 =
|-
| 열차번호 =  
|}
| 노선 = [[영남선]]{{·}}[[동부해안선]]{{·}}[[북월선]]{{·}}[[반석선]]{{·}}[[금양선]]{{·}}[[진포선]]{{·}}[[하동선]]{{·}}[[해양선]]{{·}}[[북월선]]
| 클래스 = 특실{{·}}일반실
| 장애인 지원 = 지원
| 좌석 =  
| 취침 =
| 식사 =  
| 전망 =
| 엔터테인먼트 =
| 수하물 =  
| 기타 =  
| 차량 =
| 궤간 =
| 전철화 =
| 최고속도 = 120km/h
| 노선소유자 = [[대현월국 정부]]
| 루트번호 =
| 비고 =
| 노선도 =
}}


==개요==
==개요==
==운행 구간==
통일호(統一號/Tong-il Express)는 [[대현월국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열차의 등급 중 하나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운행되었으며, [[비둘기호 (대현월국)|비둘기호]]가 수도권에서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통일호는 지방의 벽지노선을 운행하는 완행열차 포지션을 전담하였다.
[[2023년]] 2월 1일을 기준으로 통일호가 운행 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현재 운행 구간===
==역사==
====[[영남선]]====
[[2022년]]부터 [[대현월국]] 서민들의 이동수단으로써 사랑받으며 운행했지만, 열차의 노후화와 지방의 인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면서 감소, 이에 따라 점차 통일호가 정차하던 정차역들이 하나 둘 줄어들기 시작했고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와 일부 구간에선 정차역이 별 차이가 없는데 운행 속도마저 비교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등급의 유지 필요성이 떨어지자 [[현월철도공사]]가 출범되는 동시에 폐지되었다.
*1201~1228(왕복 14회): [[한월역|한월]]~[[창진역|창진]]
*1301~1310(왕복 5회): [[한월역|한월]]~[[동반석역|동반석]]
*1311~1324(왕복 7회): [[한월역|한월]]~[[진덕역|진덕]]
*1341~1344(왕복 4회): [[동반석역|동반석]]~[[창진역|창진]]


====[[금양선]]====
이후 통일호의 완행열차 역할은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통근열차]]가 넘겨받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1271~1274(왕복 2회): [[한월역|한월]]~[[해동역|해동]]
==과거 운행 계통==
*1441~1442(왕복 1회): [[북산역|북산]]~[[삼포역|삼포]]
==종류==
*1901~1912(왕복 6회): [[동반석역|동반석]]~[[예원역|예원]]/[[해동역|해동]]
===객차형===
*1941~1944(왕복 2회): [[북항역|북항]]~[[삼포역|삼포]]
===동차형===
*1951~1952(왕복 1회): [[서창진역|서창진]]~[[동도역|동도]]
==여담==
*1953~1954(왕복 1회): [[서창진역|서창진]]~[[삼포역|삼포]]
*1971~1976(왕복 3회): [[삼포역|삼포]]~[[대도역|대도]]
 
====[[진포선]]====
*1501~1518(왕복 9회): [[북산역|북산]]~[[영포역|영포]]
*1521~1524(왕복 2회): [[북산역|북산]]~[[자유역|자유]]
*1531~1542(왕복 6회): [[자유역|자유]]~[[영포역|영포]]
*1571~1574(왕복 2회): [[진덕역|진덕]]~[[남하산역|남하산]]
 
====[[하동선]]====
*1401~1412(왕복 6회): [[북산역|북산]]~[[동도역|동도]]
*1421~1422(왕복 1회): [[자유역|자유]]~[[영포역|영포]]
*1981~1982(왕복 2회): [[남하산역|남하산]]~[[동도역|동도]]
 
====[[해양선]]====
*1551~1568(왕복 9회): [[북산역|북산]]~[[인주역|인주]]
 
====[[반석선]]•[[동부해안선]]====
*1231~1234(왕복 2회): [[한월역|한월]]~[[개양포역|개양포]]
*1751~1758(왕복 4회): [[동반석역|동반석]]~[[북항역|북항]]
*1771~1796(왕복 13회): [[동반석역|동반석]]~[[권천역|권천]]/[[창산역|창산]]
 
====[[북월선]]====
*1601~1610(왕복 5회): [[북한월역|북한월]]~[[펑산역|풍산]]
*1621~1624(왕복 2회): [[북한월역|북한월]]~[[창산역|창산]]
*1625~1628(왕복 2회): [[북한월역|북한월]]~[[산척역|산척]]
 
====[[가도선]]•[[가평선]]====
*1631~1642(왕복 6회): [[북한월역|북한월]]~[[평천역|평천]]
*1671~1674(왕복 2회): [[평천역|평천]]~[[동반석역|동반석]]
*1681~1682(왕복 1회): [[평천역|평천]]~[[창산역|창산]]
 
===[[문산선 (대현월국)|문산선]]===
*1281~1282(왕복 1회): [[한월역|한월]]~[[풍산역|풍산]]
*1701~1716(왕복 8회): [[진덕역|진덕]]~[[산척역|산척]]
 
==정차역==
*'''[[영남선]]''': '''[[한월역|한월]]'''<ref>진포선/하동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통과, 경부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필수정차</ref>-'''[[북산역|북산]]'''<ref>영남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통과, 진포선/하동선 계열 무궁화호는 전 열차 필수정차</ref>-'''[[강동포역|강동포]]'''-'''[[정촌역|정촌]]'''-[[대원역|대원]]-'''[[월평역|월평]]'''-[[문동역|문동]]-[[미화역|미화]]-'''[[진덕역|진덕]]'''-[[금평역|금평]]-[[이평역|이평]]-'''[[금성역|금성]]'''-'''[[서화역|서화]]'''-[[석곡역|석곡]]-'''[[반석역|반석]]'''-'''[[동반석역|동반석]]'''-[[도성역|도성]]-[[상현역|상현]]-[[밀천역|밀천]]-[[임성역|임성]]-[[남월역|남월]]-'''[[현포역|현포]]'''-'''[[창진역|창진]]'''
 
*'''[[진포선]]''': '''[[서진덕역|서진덕]]'''-[[산동역|산동]]-'''[[도남역|도남]]'''-[[유평역|유평]]-'''[[자유역|자유]]'''-'''[[사화역|사화]]'''-'''[[화동역|화동]]'''-'''[[하산역|하산]]'''-'''[[남하산역|남하산]]'''-[[아성역|아성]]-'''[[만성포역|만성포]]'''-'''[[지산역|지산]]'''-'''[[삼포역|삼포]]'''-'''[[신영포역|신영포]]'''-'''[[영포역|영포]]'''
 
*'''[[북월선]]''': '''[[북한월역|북한월]]'''-'''[[성문역|성문]]'''-'''[[해월도성역|해월도성]]'''-[[신포역|신포]]-[[성호역|성호]]-'''[[안천역|안천]]'''-'''[[산척역|산척]]'''-'''[[달양역|달양]]'''-'''[[봉현역|봉현]]'''-'''[[석천역|석천]]'''-'''[[풍산역|풍산]]'''-'''[[공암역|공암]]'''-'''[[칠전역|칠전]]'''-[[서월동역|서월동]]-'''[[월동역|월동]]'''
 
*'''[[하동선]]''': '''[[남하산역|남하산]]'''-[[대실역|대실]]-[[사동역|사동]]-'''[[대도역|대도]]'''-'''[[강포역|강포]]'''-[[우성역|우성]]-'''[[동도역|동도]]'''
 
*'''[[금양선]]''': [[밀천역|밀천]]-'''[[현강역|현강]]'''-'''[[율곡역|율곡]]'''-'''[[청명역|청명]]'''-'''[[예원역|예원]]'''-'''[[원평역|원평]]'''-'''[[해동역|해동]]'''
 
*'''[[가도선]]''': '''[[산척역|산척]]'''-'''[[황산역|황산]]'''-'''[[산석역|산석]]'''-'''[[오양역|오양]]'''-'''[[장화역|장화]]'''-'''[[가도역|가도]]'''-'''[[무성역|무성]]'''-'''[[해양역|해양]]'''-'''[[옥개역|옥개]]'''-'''[[창동정역|창동정]]'''-'''[[평천역|평천]]'''
 
*'''[[해양선]]''': '''[[월평역|월평]]'''-'''[[명종역|명종]]'''-[[신류원역|신류원]]-'''[[두산역|두산]]'''-[[함교역|함교]]-'''[[장수역|장수]]'''-'''[[감천역|감천]]'''-'''[[인주역|인주]]'''
 
*'''[[동부해안선]]''': '''[[창산역|창산]]'''-[[동내역|동내]]-'''[[개양포역|개양포]]'''-'''[[금례역|금례]]'''-[[천해역|천해]]-[[양하역|양하]]-'''[[권천역|권천]]'''-'''[[설영역|설영]]'''-'''[[월동역|월동]]'''-'''[[금창역|금창]]'''-'''[[북항역|북항]]'''
 
*'''[[반석선]]''': '''[[동반석역|동반석]]'''-'''[[북남역|북남]]'''-'''[[칠전역|칠전]]'''
 
==차량==
==차내 안내방송==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새마을호]]
*[[새마을호 (대현월국)|새마을호]]
*[[통일호]]
*[[무궁화호 (대현월국)|무궁화호]]
*[[비둘기호]]
*[[비둘기호 (대현월국)|비둘기호]]
==각주==
*[[통근열차]]

2025년 5월 21일 (수) 08:44 기준 최신판

현월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 펼치기 · 접기 ]
고속열차 ESTOM
준고속열차 ESTOM LINK
특급열차 새마을호
급행열차 무궁화호
완행열차 통근열차
폐지 통일호, 비둘기호
현월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펼치기 · 접기 ]
통일호
Tong-il Express | 統一號
운행종료
운영사 대현월국 철도청
개통일 2022년 11월 12일
폐지일 2024년 3월 17일
등급 보통열차
폐지 당시
사용 차량
추후 작성 예정

개요

통일호(統一號/Tong-il Express)는 대현월국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열차의 등급 중 하나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운행되었으며, 비둘기호가 수도권에서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통일호는 지방의 벽지노선을 운행하는 완행열차 포지션을 전담하였다.

역사

2022년부터 대현월국 서민들의 이동수단으로써 사랑받으며 운행했지만, 열차의 노후화와 지방의 인구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면서 감소, 이에 따라 점차 통일호가 정차하던 정차역들이 하나 둘 줄어들기 시작했고 무궁화호와 일부 구간에선 정차역이 별 차이가 없는데 운행 속도마저 비교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등급의 유지 필요성이 떨어지자 현월철도공사가 출범되는 동시에 폐지되었다.

이후 통일호의 완행열차 역할은 무궁화호통근열차가 넘겨받으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과거 운행 계통

종류

객차형

동차형

여담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