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공약)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namucat|테티스|테티스 선거}} | {{namucat|테티스|테티스 선거}} | ||
{{나무위키 국회의원 선거 정보 | {{나무위키 국회의원 선거 정보 | ||
| 틀 너비 = | | 틀 너비 = max400px | ||
| 테두리 색 = #000082 | | 테두리 색 = #000082 | ||
| 배경 색 = #000082 | | 배경 색 = #000082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출구조사 링크 = https://youtu.be/3Cugz2WnYEk?si=BnfchNAQ4fRy5bEK | | 출구조사 링크 = https://youtu.be/3Cugz2WnYEk?si=BnfchNAQ4fRy5bEK | ||
| 이전 선거일 = 2023년 9월 13일 | | 이전 선거일 = 2023년 9월 13일 | ||
| 이전 선거명 = | | 이전 선거명 = 2023년 8월 트란스로렌시아 보궐선거 | ||
| 이전 선거명 (리다이렉트) = | | 이전 선거명 (리다이렉트) = 트란스로렌시아 보궐선거 | ||
| 이번 선거일 = 2022년 9월 20일 | | 이번 선거일 = 2022년 9월 20일 | ||
| 이번 선거명 = 2023년 울티마&모리티아 재보궐선거 | | 이번 선거명 = 2023년 울티마&모리티아 재보궐선거 | ||
| 이번 선거명 (리다이렉트) = 2023년 울티마&모리티아 재보궐선거 | | 이번 선거명 (리다이렉트) = 2023년 울티마&모리티아 재보궐선거 | ||
| 다음 선거일 = | | 다음 선거일 = 2024년 1월 2일 | ||
| 다음 선거명 = | | 다음 선거명 = 2024년 울티마&모리티아 재보궐선거 | ||
| 다음 선거명 (리다이렉트) = | | 다음 선거명 (리다이렉트) = 울티마&모리티아 보궐선거 | ||
| 제1당 = {{보수당 (테티스)}} | | 제1당 = {{보수당 (테티스)}} | ||
| 제1당 지역구 의석수 = 1 | | 제1당 지역구 의석수 = 1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결과== | ==결과== | ||
[[김용태]] 후보가 약 78%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 |||
==여담== | ==여담== | ||
- 울티마 인구가 스탈린 폭동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치루어진 선거라 선거인단이 19명에 불과하다. | - 울티마 인구가 스탈린 폭동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치루어진 선거라 선거인단이 19명에 불과하다. 선거인단 전원이 참가해도 본토 투표자 수의 절반정도밖에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br> | ||
- 선거관리위원회의 착오로 인해 선거가 7시간 가량 미루어졌다. | - 선거관리위원회의 착오로 인해 선거가 7시간 가량 미루어졌다. |
2024년 1월 1일 (월) 21:43 기준 최신판
|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총합 | 득석률 | |||||
---|---|---|---|---|---|---|---|---|---|
보수당 | 1석 | 0석 | 1석 | 100% | |||||
0석 | 0석 | 0석 | 0% | ||||||
|
개요
2023년 9월 20일 치루어진 울티마&모리티아 주지사 재보궐선거이다. 제10회 테티스 지방선거에서 후보자가 나오지 않아 공석이 된 울티마&모리티아 지역구에 대한 주지사와 연방의원 41명을 선출하는 선거로 보수당과 기타 야당의 본토 밖에서의 민심을 측정할 수 있는 전략형 선거이다.
후보
보수당
김용태 후보가 출마하였다.
기타 정당
기타 정당에서는 후보를 출마시키지 않았고, 김용태 후보 1명만이 최종적으로 등록하게 되었다.
선거 공약
1. 울티마 마스코트 및 브랜드 지정
2. 대기업 공장 유치 및 벤처기업 창업 지원
3. 주민참여부 신설
다음 세 공약을 발표했다.
결과
김용태 후보가 약 78%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여담
- 울티마 인구가 스탈린 폭동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치루어진 선거라 선거인단이 19명에 불과하다. 선거인단 전원이 참가해도 본토 투표자 수의 절반정도밖에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 선거관리위원회의 착오로 인해 선거가 7시간 가량 미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