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나먕3: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연습장:나먕4]]
[[연습장:나먕4]]
=네우게르마니엔=
=네우게르마니엔=
{{글씨 크기|22.5|✦}} {{글씨 크기|15|태양계}}
=군정=
{{글 숨김}}
{{글 숨김}}
{{Css|총력전}} [[분류:총력전]]
{{Css|총력전}} [[분류:총력전]]
{{사이트 배경|bg=#111111}}
{{사이트 배경|bg=#111111}}
{{총력전}}
{{총력전}}
{{틀 (총력전)}}
----
----
{| class="wikitable dark:!border-white"; style="background:#111;color:#ABDFFF;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ABDFFF;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
{| class="wikitable dark:!border-white"; style="background:#111;color:#ABDFFF;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ABDFFF;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
|-
|-
! colspan="4" style="width:450px; background:#333;" | [[파일:네우게르마니엔 휘장 (총력전).svg|x40px|link=]]<div style="margin: 5px 0px 0px 0px"></div>{{글씨 색|#ABDFFF|{{글씨 크기|15|네우게르마니엔 행성}}}}<div style="margin: -2px 0px">{{글씨 색|#ABDFFF|Planet of Neugermanien}}
! colspan="4" style="width:450px; background:#333;" | {{글씨 색|#ABDFFF|{{글씨 크기|15|카레트니코비아 군정청}}}}<div style="margin: -2px 0px">{{글씨 색|#ABDFFF|Military Government of Karetnykovia}}
|-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 <div style="margin: 12px 0px"><span style="display: inline-flex; padding:1px;background:#E2E8EC; vertical-align: middle">[[파일:네우게르마니엔 행성기 (총력전).svg|150px]]</span>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 <div style="margin: 12px 0px">{{테두리|[[파일:연방군 깃발 (총력전).svg|150px]]}}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div style="margin: 12px 0px">[[파일:네우게르마니엔 휘장 (총력전).svg|110px]]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div style="margin: 12px 0px">[[파일:연방군 휘장 (총력전).svg|110px]]
|-
|-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기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정기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휘장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휘장
|-
| colspan="4" style="width:%;background:#111" align=center | '''국왕 만세<br>Es Lebe der König'''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가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가
| colspan="3" | 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 colspan="3"; rowspan="3" | ''없음''<ref>카레트니코비아 연방군정청 설립과 함께 폐지됨</ref>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화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화
| colspan="3" | 네우게르마니엔 에델바이스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목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목
| colspan="3" | 네우게르마니엔 너도밤나무
|-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역사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천체 특성
|-
|-
| colspan="4" style="background:#;"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yeoksa|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div class="mw-customtoggle-jiri"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transparent; color:#ABD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jiri"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left; ">
{| style="font-size:10.5pt; 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left;margin-top:-2px "
|-
|-
| colspan="4" |'''첫 정착''' 10033년 6월 10일<br>'''네우게르마니엔 성립''' 10068년 4월 22일<br>'''제국 위기''' 10986년 ~ 10987년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치
*
| rowspan="1" |
|-
{{펼접끝}}
|-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리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심도 분류
|-
| rowspan="1" | [[변방계 (총력전)|변방계]]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jiri|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치
| rowspan="1" | [[ㅊㄹㅈ 은하 (총력전)|ㅊㄹㅈ 은하]] [[ㅊㄹㅈ 성군 (총력전)|ㅊㄹㅈ 성군]] [[ㅊㄹㅈ 다성계 (총력전)|ㅊㄹㅈ 다성계]] [[네우게르마니엔 행성계 (총력전)|네우게르마니엔 행성계]]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형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소속 행정구역
| rowspan="1" | 지구형 행성
| rowspan="1" | 헤네피르 연방관구 아오라키 연방지구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표면 구성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표면 구성
| rowspan="1" | 수면 65%, 육지 35%
| rowspan="1" | 육지 21%, 바다 79%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둘레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둘레
| rowspan="1" | 34,297km
| rowspan="1" | 27,932km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성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전 주기
| 2개 (네우게르마니엔 알파, 네우게르마니엔 베타)
| rowspan="1" | 268일 15시간 34분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수도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자전 주기
| rowspan="1" | 베르겐슈타트
| rowspan="1" | 17시간 40분
|-
|-
{{펼접끝}}
|}</div></div>
|-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문환경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문환경
73번째 줄: 70번째 줄:
! rowspan="3" width=1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구
! rowspan="3" width=1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구
! width=18%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인구
! width=18%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인구
| 21억 6천만 <ref>본 행성과 두 개의 위성, 그리고 네우게르마니엔의 통치 하에 있는 인근 우주식민지 포함</ref>
| 2억 3천만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출산율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출산율
| 3.18명
| 2.01명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기대수명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기대수명
82번째 줄: 79번째 줄:
|-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어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어
| 영어, 네우게르만 독일어
| 지구 언어<ref>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ref>
|-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 문자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 문자
| 알파벳
| 지구 문자
|-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교
! colspan="2"; rowspan="1";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대
| 네우게르마니엔 신성교회
|-
! colspan="2";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대
|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
| [[네우게르마니엔 왕립군 (총력전)|네우게르마니엔 왕립군]]
|-
|-
|}</div></div>
|}</div></div>
106번째 줄: 98번째 줄: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방행정제도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방행정제도
| 단일 국가, 중앙집권제
| 단일 국가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주급 행정구역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주급 행정구역
| 16개 , 1개 왕도, 2개 위성
| 15개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현급 행정구역
| 215개 현, 7개 왕도구, 17개 위성구, 8개 식민지
|-
|-
|}</div><div>
|}</div><div>
125번째 줄: 114번째 줄: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체제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체제
| 군주제, 의원내각제, 과두제, 단원제, 일당제
| [[군정청 (총력전)|군정]] (점령군 정부)
|-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민주지수 (총력전)|{{글씨 색|#ABDFFF|연방민주지수}}]]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민주지수 (총력전)|{{글씨 색|#ABDFFF|연방민주지수}}]]
| {{colorbox|#333333}} [[연방민주지수 (총력전)#비민주정|비민주정]]
| 집계 중단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왕<br>(행성원수)
| [[스벤 3세 (총력전)| 스벤 3세]]
|-
! rowspan="8"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br>요인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수상 (행성사무총장)
| [[오토 반 에베르트 (총력전)|오토 반 에베르트]]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부수상 (행성사무부총장)
| [[알로이스 폰 마첼스베르거 (총력전)|알로이스 폰 마첼스베르거]]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추밀원장 (행성의회의장)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정사령관
| [[프란츠 폰 샤이데만 (총력전)|프란츠 폰 샤이데만]]
| 존 하지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왕립법원장 (행성법원장)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가<br>요인
| [[한스 그로테볼 (총력전)|한스 그로테볼]]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정장관
| 푼살마깅 체하르덴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대주교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민정장관
| [[하이드리히 5세 (총력전)|하이드리히 5세]]
| 이반 치스차코프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집정관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과도입법회 의장
| [[헤르만 슈틸리코프 (총력전)|헤르만 슈틸리코프]]
| 카르멘 이바호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사령관
| [[프레츠 란츠베어 (총력전)|프레츠 란츠베어]]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재무관
| [[한스 폰 카포게르버 (총력전)|한스 폰 카포게르버]]
|-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집권 여당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집권 여당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 없음 (군정 체제)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성
| 베르겐슈타인 (Bergenstein)
|-
|-
|}</div><div>
|}</div><div>
175번째 줄: 146번째 줄:
|-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경제 체제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통제경제
| 통제경제
|-
|-
! colspan="1";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정 화폐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GRDP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대외적
| style="background:#; color:#ABDFFF;" | 테라 (Terra,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내부적
| style="background:#; color:#ABDFFF;" | 쾨닉스마르크 (Königsmark, 𝖐𝖒)
|-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GDP<br>(명목)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 ₮ 6조 2,316억
| ₮ 247억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1인당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1인당
| ₮ 2,885
| 107
|-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재정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재정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입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입
| ₮ 6,238억
| 26억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출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출
| ₮ 6,780억
| 634억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채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채
| 약 ₮ 2조
| 집계 중단
|-
|-
|}</div></div>
|}</div></div>
212번째 줄: 176번째 줄: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정 연호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네우게르마니엔 왕립기원
| 서력기원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도량형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도량형
220번째 줄: 184번째 줄:
| 우측 통행
| 우측 통행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시간대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시간대
| 네우게르마니엔 표준시, 지구 표준시
|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
| 카레트니코비아 표준시
|-
|-
|}</div></div>
|}</div></div>
|-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fff;" |[[파일:네우게르마니엔 휘장 (총력전).svg|x40px|link=]]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fff;" |[[파일:연방군 휘장 (총력전).svg|30px|link=]]
|}
|}


239번째 줄: 205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 style="border:none" | [[파일:노보슬라비아 프로필 (총력전).png]]<br><br>
| style="border:none" | [[파일:카레트니코비아 프로필 (총력전).png]]<br><br>
'''{{글씨 크기|14|하늘이 열린 날}}'''<br>
'''{{글씨 크기|14|폐허가 남은 땅}}'''<br>카레트니코비아는 20세기 초 무정부주의 운동가였던 세멘 카레트닉의 이름에서 명칭을 따온 행성입니다. 이름값대로, 이 행성은 한때 '무정부적 이상주의의 정수'라 불렸던 행성입니다. 연방 곳곳에서 이 행성에 모인 아나키스트들은 조직적으로 행성을 개척하고 무장부주의 공동체를 구축했습니다. 그들은 수백 년간 외부 간섭 없이 직접민주주의와 협동노동을 통해 자급자족 사회를 유지해왔습니다. '모든 권위에 대한 거부, 모든 폭력에 대한 저항'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이들은 여러 무정부주의 행성과의 느슨한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연방의 질서 아닌 스스로의 질서를 창출해 나갔습니다. <br><br>하지만 이상은 현실의 벽 앞에서 무너졌습니다. 총력전의 와중에, 연방정부는 다른 행성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카레트니코비아에서도 인력과 자원을 징발하려 했습니다. '권위적 정부'에 의한 '약탈'은 무정부주의자들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카테르니코비아와 여러 무정부주의 행성들은 자원 공출을 거부했습니다. 연방정부는 이를 반역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토벌을 단행했습니다. 연방군의 대규모 강습과 고궤도 폭격으로 인해 도시와 농장, 시민회관들이 초토화되었고,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습니다. 현재 카레트니코비아는 연방군의 군정 하에 놓여 있습니다. 도시 곳곳에는 연방군 검문소가 세워져 있고, 인터넷과 행성통신은 제한되었으며, 통행금지령과 감시드론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br><br>옛 영광을 잊지 못한 아나키스트들은 지하로 숨어들었고, 게릴라전을 벌이며 연방군에 저항합니다. 변방계 인종주의를 내세우며 떠오른 극우파들 역시 연방군을 괴롭힙니다. 이 두 세력은 서로를 증오하지만, 연방군으로부터 그들의 고향을 지킨다는 명분을 공유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고향은, 더이상 지킬 게 없을 정도로 황폐화되어 있습니다. 토양은 오염되었고, 발전소는 멀쩡한 것이 손에 꼽히며, 대부분의 생산시설은 파괴되어 폐허로 남아있습니다. 전쟁고아와 부상자들은 거리에서 구걸하며, 주민들은 연방군과 자선단체의 배급으로 연명합니다. 고통받는 자들은 아무 잘못 없는 주민들입니다. 과거의 자유를 그리워하지만, 더이상의 혁명도, 더이상의 전쟁도 원치 않는 이들입니다. <br><br>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레트니코비아에는 여전히 예전의 정신이 희미하게나마 살아 있습니다. 도시 외곽의 폐허 속에서 아이들은 여전히 '자유'와 '협동'이라는 단어를 배웁니다. 그것이 과거의 유산이든, 미래의 씨앗이든.  
그날, 인류는 처음으로 이 행성의 대기를 가르고 착륙했습니다. 거대한 대륙, 끝없는 임야, 하늘빛을 담은 호수와 어머니 같은 산맥. 첫 번째 개척자는 땅에 입을 맞추고 맹세했습니다. "나는 땅의 수호자가 되리라." 그리고 사람들은 그의 무릎 꿇음을 '즉위'라 불렀습니다. 이제 그로부터 열두 세기. 개척자의 피는 왕가의 휘장을 타고 흘러, 지금의 국왕 폐하께 이르렀습니다. 폐하는 하느님의 기름부음을 받으신 분입니다. 폐하께서는 강인한 통치자이자 자애로운 아버지로, 이 땅의 모든 생명을 품에 안으십니다. 사람들은 그렇게 믿고, 또 믿음을 실천합니다. 기도는 국왕의 건강으로 시작되고, 축제는 국왕의 이름으로 끝납니다. 이 땅의 백성 중에는 국왕에게 순종하지 않는 자가 없습니다. 누군가가 그 이유를 묻는다면, 충성스러운 만백성은 입을 모아 이렇게 대답할 것입니다. "목자는 양떼를 보호하고, 양떼는 목자에게 순종합니다. 그것이 하느님이 인간에게 내려주신 섭리입니다."
{|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width: 50%; max-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정치는 간단명료합니다. 국왕이 옳고, 국왕이 정의이며, 국왕이 법입니다. 폐하께서는 수상과 추밀원장 그리고 여러 현명한 대신들을 모아 조언을 듣지만, 언제나 스스로 결단하시며, 그 결단은 하느님의 뜻과 다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국왕의 조서는 도리에 어긋나는 법이 없으며, 국왕의 정책은 실패하는 법이 없습니다. 만백성이 폐하의 뜻에 순종하는 한, 이 땅은 평화와 안정이 온존되고 백성들의 기쁨이 넘칠 것입니다. 그렇기에 국왕의 칙령은 절대적이며, 그 자체로 현실을 규정합니다. 폐하의 붉은 인장이 찍힌 조서에는 그 누구도 불경하게 토를 달 수 없습니다. 이 땅의 언론은 침묵 속에서 폐하의 지혜를 되새기기에 바쁩니다. 감히 의문을 품는 자들은 그 존재 자체로 부끄러움을 느끼며, 다만 침묵 속에서 폐하의 깊은 의도를 이해하고자 할 뿐입니다.  
 
이곳의 사람들은 순종을 미덕으로 삼고, 희생을 의무로 여깁니다. 그들은 국왕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모든 것을 기꺼이 희생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자신보다 소중한 것은 공동체이고, 공동체보다 위대한 것은 폐하이시니까요. 어쩌면 다른 행성의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토록 엄격한 법과, 순종하는 백성, 전제적인 군주까지. 그러나 그들은 알지 못합니다. 폐하께서 그의 백성을 얼마나 사랑하시는지를. 우리도 모릅니다. 어찌 그 깊이를 다 헤아릴 수 있겠습니까?
 
그저 우리는 고개를 숙입니다. 그리고 입을 모아 찬양합니다.
 
 
{|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width: 50%; max-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
! style="background:#111" | <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폐하 만세. 폐하 만세. 폐하 만세.</span>
! style="background:#111" | <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무너진 이상 위로, 현실이 묵직하게 내려앉은 땅입니다.</span>
|}
|}
|}</div>
|}</div>
264번째 줄: 221번째 줄:
| style="border:none"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왕가</div>
! colspan="3" style="background:#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군정청 사령부</div>
|-
|-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국왕<br>'''[[스벤 3세 (총력전)|스벤 3세]]'''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br><br>'''군정장관<br>푼살마깅 체하르덴'''<br>연방군 소장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왕비<br>'''그레타'''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군정사령관<br>존 리드 하지'''<br>연방군 중장<br><br><br>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br><br>'''민정장관<br>이반 치스차코프'''<br>과도입법회
|}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조정</div>
|-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수상<br>'''오토 반 에베르트'''<br>[[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추밀원장<br>'''프란츠 폰 샤이데만'''<br>[[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
|}
{| style="width:100%"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집정관<br>'''헤르만 슈틸리코프'''<br>[[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사령관<br>'''프리츠 란츠베어'''<br>[[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재무관<br>'''한스 폰 카포게르버'''<br>[[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
|-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정치적 영향력</div>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정치적 영향력</div>
289번째 줄: 231번째 줄: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50055 2%, #FF3E3A 2%, #FF3E3A 4%, #f5d900 4%, #f5d900 5%, #0082E6 5%, #0082E6 11%, #004275 11%, #004275 56%, #2d2d2d 56%, #2d2d2d 98%, #8e3900 98%, #8e3900 99%, #674777 99%);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글씨 색|transparent|총력전}}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0000 8%, #D50055 8%, #D50055 37%, #FF3E3A 37%, #FF3E3A 42%, #F68B1F 42%, #F68B1F 44%, #FFDA28 44%, #FFDA28 55%, #0082E6 55%, #0082E6 71%, #2C3C99 71%, #2C3C99 74%, #323232 74%, #323232 79%, #8e3900 79%, #8e3900 97%, #777777 97%);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글씨 색|transparent|총력전}}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3 2%, #ABDFFF 2%, #ABDFFF 99%, #333 99%);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3 42%, #ABDFFF 42%, #ABDFFF 71%, #333 71%);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
|}
{| style="width:100%; border:none"
{| style="width:100%; border:none"
298번째 줄: 240번째 줄: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당명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당명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념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념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지지율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영향력
|-
| style="background: none; color:#B0000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B000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카레트니코비아 공산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총력전/이념#공산주의|정통공산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8%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D50055;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D50055;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D50055;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D50055;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혁명주의자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자유인민평의회 (총력전)|자유인민평의회]]-[[BRA (총력전)|BRA]]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주의|혁명전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주의|사회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9%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F3E3A;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F3E3A;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FF3E3A;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FF3E3A;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복음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카테르니코비아 사회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민주주의|기독교 진보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민주주의|향토사회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5%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68B1F;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F68B1F;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과도입법회 좌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좌파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5d90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FDA28;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f5d9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FFDA28;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자유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과도입법회 자유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우파자유주의|시장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우파자유주의|고전적 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1%'''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378DD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0082E6;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378DD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0082E6;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개혁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과도입법회 보수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보수주의|보수적 개혁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보수주의|연합보수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6%'''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6%'''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004275;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2C3C99;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004275;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2C3C99;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입헌파]]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카테르니코비아 인민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가부장주의|준입헌군주정]]'''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권위주의|향토보수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45%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3%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2d2d2d;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8e390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2d2d2d;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323232;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전제파]]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루게레로 군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전제주의|전제군주정]]'''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전제주의|군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42%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5%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674777;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8e390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px #fff; background:#8e39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8e39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대중파]]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카레트니코비아 애국전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파시즘|파시스트 포퓰리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파시즘|파시스트 포퓰리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8%
|-
|-
| style="background: none; color:#674777;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background: none; color:#777;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674777;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777;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류구원주의자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기타''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인류구원주의|인류구원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3%
|-
|-
|}
|}
373번째 줄: 331번째 줄: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동조합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동조합
|-
|-
| style="border:none" | 일당제
| style="border:none" | 다당제
| style="border:none" | 국교
| style="border:none" | 다원론
| style="border:none" | 관제 노조
| style="border:none" | 비사회주의 노조 허용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민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민
381번째 줄: 339번째 줄: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집회의 자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집회의 자유
|-
|-
| style="border:none" | 귀화
| style="border:none" | 국경 폐쇄
| style="border:none" | 노예제 금지
| style="border:none" | 노예제 금지
| style="border:none" | 집회 금지
| style="border:none" | 집회 통제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언론의 자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언론의 자유
389번째 줄: 347번째 줄: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난민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난민
|-
|-
| style="border:none" | 관제 언론
| style="border:none" | 언론 검열
| style="border:none" | 상류층만
| style="border:none" | 등재된 사람
| style="border:none" | 입국 심사제
| style="border:none" | 난민 금지
|}
|}
{| style="width:100%; border:none"
{| style="width:100%; border:none"
400번째 줄: 358번째 줄: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저임금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저임금
|-
|-
| style="border:none" | 관제 무역
| style="border:none" | 자유 무역
| style="border:none" | 일률 과세
| style="border:none" | 일률 과세
| style="border:none" | 낮은 최저임금
| style="border:none" | 이름뿐인 최저임금
|}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style="width: 100%; border:none"
412번째 줄: 370번째 줄:
| style="border:none" | 긴 노동시간
| style="border:none" | 긴 노동시간
| style="border:none" | 아동 노동 제한
| style="border:none" | 아동 노동 제한
| style="border:none" | 낮은 연금
| style="border:none" | 연금 없음
| style="border:none" | 이름뿐인 실업급여
| style="border:none" | 실업급여 없음
|}
|}
{| style="width:100%; border:none"
{| style="width:100%; border:none"
422번째 줄: 380번째 줄: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해규제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해규제
|-
|-
| style="border:none" | 제한된 안전규정
| style="border:none" | 최소한의 안전규정
| style="border:none" | 기초의료 지원
| style="border:none" | 기초 의료 지원
| style="border:none" | 최소한의 규제
| style="border:none" | 푀소한의 규제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교육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교육
431번째 줄: 389번째 줄:
|-
|-
| style="border:none" | 공교육
| style="border:none" | 공교육
| style="border:none" | 사형
| style="border:none" | 사형제
| style="border:none" | 불법화
| style="border:none" | 비범죄화
|-
|-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젠더권리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젠더권리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소수민족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치안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치안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간 복제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간 복제
|-
|-
| style="border:none" | 전통적 역할
| style="border:none" | 성평등
| style="border:none" | 평등권
| style="border:none" | 도청
| style="border:none" | 도청
| style="border:none" | 불법
| style="border:none" | 불법
450번째 줄: 412번째 줄:
|-
|-
| style="border:none" | 중등교육 기반
| style="border:none" | 중등교육 기반
| style="border:none" | 정치적 학계
| style="border:none" | 임시 연구시설
| style="border:none" | 기초적 기계화
| style="border:none" | 원시적 영농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행정효율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행정효율
457번째 줄: 419번째 줄: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업장비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업장비
|-
|-
| style="border:none" | 만족스러운 관료제
| style="border:none" | 결함있는 관료제
| style="border:none" | 경험 있는 산업기반
| style="border:none" | 원시적인 산업
| style="border:none" | 현대적 공업장비
| style="border:none" | 구식 공업장비
|}
|}
|}</div></div></div>
|}</div></div></div>




네우게르마니엔은 [[연방 (총력전)|연방]]의 [[변방계 (총력전)|변방계]]에 위치한 군주정 행성이다. 행정적 의미의 네우게르마니엔은 본 행성 뿐만 아니라 행성의 2개의 위성과 여러 우주식민지도 포함한다. 20억이 넘는 인구와<ref>변방계에서 인구가 20억 명이 넘는 행성은 아주 드물다.</ref> 잘 확립된 법질서, 변방계 치고는 나름 선진적인 기술과 잘 돌아가는 경제, 활발한 우주무역까지 갖추고 있기 때문에, 변방계 행성 중에서는 국력이 꽤나 강한 편이며 그 영향력도 상당하다. 이로 인해 변방 행성 중에서는 매우 드물게 [[연방조정부 (총력전)|연방조정부]]가 영사관도 아닌 공사관을 설치해두고 있다.
카레트니코비아는 레벨로 연방관구에 위치한 행성이다. 원래는 자치권을 보장받는 [[연방행성 (총력전)|연방행성]]이었으나, 연방정부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진압되어 자치권을 몰수당했다. 현재는 [[연방군 (총력전)|연방군]]의 군정청이 통치 중이다.  


네우게르마니엔의 명칭은 왕가의 민족적 배경과 관련있다. 게르만 배경의 베르겐슈타인 왕가는 자신들이 정착한 행성을 '새로운 게르마니아'이라는 뜻으로 '''노이게르마니엔<sub>Neugermanien</sub>이라고 지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음이 '''네우게르마니엔'''으로 변화했다.
행성의 명칭은 20세기 초 [[지구 (총력전)|지구]] 우크라이나 지역의 무정부주의 운동가였던 [https://en.m.wikipedia.org/wiki/Semen_Karetnyk 세멘 카레트닉]의 이름에서 따왔다.


==역사==
== 역사 ==
===건국과 성장===
== 사회 ==
서기 10033년, 당시에는 연방의 가장 외곽에 있던 무인행성인 GWZ-8R43K에 스벤 베르겐슈타인과 그의 가족이 탄 작은 우주개척선이 착륙했다. 스벤과 그 가족은 강을 낀 평원에 거주지를 짓고 정착했으며, 이전에는 단순한 일렬번호로 불리던 행성의 명칭을 노이게르마니엔(네우게르마니엔)으로 정했다. 이후 네우게르마니엔에 여러 정착민들이 도착하면서, 스벤과 그 가족은 새 개척자들의 정착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이 과정에서 스벤은 정착민들의 지도자격이 되었다. 10068년, 게르마니엔 정착지의 인구는 수천으로 불어났고, 스벤의 통치 하에 정착지는 평화를 누리며 점차 부유해져 갔다. 하지만 돈의 냄새를 맡은 [[해적 (총력전)|해적]]이 무방비 상태의 정착지를 약탈하기 위해 모여들었다. 네우게르마니엔 근처에는 그들을 지켜줄 [[연방군 (총력전)|연방군]]조차 주둔하고 있지 않았다.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스벤은 정착민들을 이끌고 기적적으로 해적을 격퇴했다. 이에 정착민들은 스벤을 '네우게르만인들의 왕'으로 추대했고, 네우게르마니엔은 군주정 행성이 되었다.
== 정치 ==
== 경제 ==
== 문화 ==
== 군사 ==
== 자연 ==


스벤 1세가 된 스벤 베르겐슈타인으로부터 여러 세대동안 베르겐슈타인 왕조는 왕위를 세습하며 현명한 통치로 행성에 평화와 번영을 가져왔다. 초기에는 행성의 광물자원 수출로 연명하던 경제는 광업에 대한 투자에 힘입어 점차 성장했고, 조정은 광물 수출로 벌어들인 돈을 학문과 인프라 건설에 아낌없이 투자했다. 네우게르마니엔의 경제구조는 점차 다각화되어갔으며 끊임없이 팽창했다. 이러한 경제성장은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냈고, 수많은 외부인이 행성에 이주하였다. 네우게르마니엔의 인구는 이민을 통한 계속된 유입과 준수한 출산율에 힘입어 106세기에 들어서는 1억 명을 넘어서게 되었다. 조정은 문화와 종교 그리고 교육의 힘을 통해 새로 불어난 인구를 끊임없이 통합했고, 덕분에 네우게르마니엔은 그 백성의 다양한 출신배경에도 불구하고 단일한 정체성을 이루며 군주의 지도 아래에 하나로 통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 기타 ==
== 둘러보기 ==
== 각주 ==
{{글 숨김 끝}}


===세력확장 시도와 좌절===
= 톰스크 =
110세기 말, 네우게르마니엔은 눈부신 번영을 구가하고 있었다. 인구는 20억에 근접해가고 있었고, 학문과 경제는 황금기를 맞이했다. 행성은 경제적으로나 인구적으로나 인근 행성들 중 최강의 국력을 자랑했다. 그러자 당시 네우게르마니엔의 왕이었던 카를 1세는 강대한 네우게르마니엔의 힘을 행성 너머로 보이고 싶어했다. 카를 1세는 막대한 재정을 동원해 네우게르마니엔 행성 인근의 무인행성과 위성들에 여러 우주식민지를 건설하여 네우게르마니엔의 통치 하에 두는 한편, 그의 왕국을 방위하는 네우게르마니엔 왕립군<ref>타 행성의 [[행성군 (총력전)|행성군]]에 해당한다. 지구의 자치국가인 미국에도 이와 비슷한 주방위군이라는 조직이 존재한다.</ref>의 규모를 크게 확대하였다. 덕분에 네우게르마니엔 왕립군은 일대 지역에서 가장 강력한 행성군을 보유한 행성이 되었다. 모든 함선을 새하얀 색으로 도색한 왕립함대는 수십 척의 중소형 함선들로 구성되어, 행성 인근의 해적단들을 소탕하며 그 위용을 과시했다. 김남양 연방조정부 공사가 왕을 접견해 급격한 군비확장의 이유를 묻자 왕은 단순 자위용이라고 답했다.<ref>훗날 김 공사는 이 접견에 대해 "네우게르마니엔의 군비 증강의 목적은 행성 자위가 아니라 왕의 자위인 것이었다."라고 평가했다.</ref>
{{글 숨김}}
{{Css|총력전}} [[분류:총력전]]
{{사이트 배경|bg=#111111}}
{{총력전}}
{{총력전 배너}}
----
{| class="wikitable dark:!border-white"; style="background:#111;color:#ABDFFF;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ABDFFF;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
|-
! colspan="4" style="width:450px; background:#333;" | {{글씨 색|#ABDFFF|{{글씨 크기|15|에라피오스 행성}}}}<div style="margin: -2px 0px">{{글씨 색|#ABDFFF|Planet of Eraphios}}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 <div style="margin: 12px 0px">{{테두리|[[파일:에라피오스 행성기 (총력전).svg|150px]]}}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div style="margin: 12px 0px">[[파일:에라피오스 휘장 (총력전).svg|110px]]
|-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기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휘장
|-
| colspan="4" style="width:%;background:#111" align=center | '''{{글씨 색|#ABDFFF|과학과 지식의 힘으로}}<br>{{글씨 색|#ABDFFF|Cum Vi Scientiae Et Cognitionis}}'''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가
| colspan="3"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화
| colspan="3"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목
| colspan="3" | 월계수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역사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yeoksa|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colspan="4" |'''에라피오스 형성''' 약 45억 년 전<br>'''에라피오스 발견''' 1969년 7월 20일<br>'''찻 에라피오스 착륙''' 2060년 2월 1일
*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천체 특성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teukseong|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치
| rowspan="1" | [[우리 은하 (총력전)|우리 은하]] [[오리온 성군 (총력전)|오리온자리]] 나선팔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심도 분류
| rowspan="1" | [[중간계 (총력전)|중간계]]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소속 행정구역
| rowspan="1" |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표면 구성
| rowspan="1" | 육지 27%, 수면 73%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둘레
| rowspan="1" | km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자전 주기
| 24시간 (지구표준시간)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전 주기
| 365.26일 (에라피오스 표준시간)<ref>지구 표준시간으로는 약 365.26일</ref>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문환경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inmun|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rowspan="2" width=1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구
! width=18%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인구
| 27억 1천만 명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출산율
| 1.86명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어
| 지구 언어<ref>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 문자
| 지구 문자
|-
! colspan="2";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대
|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
| 에라피오스 행성군
|-
{{펼접끝}}
|-
! colspan="4" style="color:#ABDFFF;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333" | 하위 행정구역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haengjeong|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방행정제도
| 연방 국가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주급 행정구역
| 37개 주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급 행정구역
| 1282개 군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jeongchi|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체제
| 민주공화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다당제, 문민통제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민주지수 (총력전)|{{글씨 색|#ABDFFF|연방민주지수}}]]
| {{colorbox|#83A6B8}} [[연방민주지수 (총력전)#불완전민주정|불완전민주정]]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사무총장<br>(국가원수)
| 이오네스 프란체스쿠
|-
! row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가<br>요인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사무부총장
| 하멘토 레위니다스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상원의장
| 제리 웨스트모어랜드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하원의장
| 야제프 바론카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법원장
| 루크멘 카심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도부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입법부
| 에라피오스 행성의회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정부
| 에라피오스 행성행정부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사법부
| 에라피오르 행성법원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집권 여당
| 사회혁신연구소<br>오언 재단
|-
{{펼접끝}}
|-
! colspan="4" style="color:#ABDFFF; background:#333;" | 경제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gyeongje|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GDP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1인당
|  ₮  (높음)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재정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입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출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성채
|  ₮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단위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danwi|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정 기년법
| 서력기원
|-
| 에라피오스 책력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도량형
| SI 단위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시간대
|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
| 에라피오스 표준시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fff;" |[[파일:에라피오스 휘장 (총력전).svg|30px|link=]]
|}
{{목차}}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333; color:#ABDFFF ;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ABDFFF; text-shadow:0px 0px 1px #ABDFFF;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max-width:600px"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에라피오스 (총력전).png|link=]]</div>
|-
|}
'''{{center|{{글씨 크기|11.5|ㅊㄹㅈ}}}}{{center|{{글씨 크기|8.5|ㅊㄹㅈ - ㅊㄹㅈ}}}}'''


카를 1세는 단순히 왕국의 위용을 과시하는 데서 그치고 싶지 않았다. 그는 인근의 [[연방 (총력전)#행정구역|연방행성]]들을 굴복시켜 네우게르마니엔의 봉신행성으로 삼고, 자신은 황제에 즉위해 네우게르마니엔 제국을 건국하고자 하는 원대한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카를 1세의 조정은 인근의 여러 행성들 당근과 채찍을 동원해 네우게르마니엔의 세력권에 편입시키고자 했다. 그는 네우게르마니엔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높은 인근 군소 연방행성들에, 자신의 계획에 협조하면 무역 특혜를 제공하고 협조하지 않으면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양면으로 압박했고, 왕립함대를 동원해 해당 행성들 근처를 순회하게 하는 무력시위도 벌였다. 네우게르마니엔이 [[연방정부 (총력전)|연방정부]]의 허락도 없이 다른 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한 것을 연방이 제지하지 않았기에, 왕은 이번에도 연방이 그의 계획을 방관하리라 판단했다.
{{-}}
==개요==


하지만 그것은 카를 1세의 오판이었다. 무역에 대한 제재와 타 연방행성에 대한 무력시위는 각 행성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하는 연방정부조차도 단호히 반대하는 사안이었다.<ref>자치행성 간의 무역장벽과 행성의 타 행성에 대한 강제적 지배는 연방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이다.</ref> 연방정부는 즉시 공사관을 통해 네우게르마니엔 조정에 경고 메세지를 보내고, 상당한 규모의 함대를 파견해 네우게르마니엔을 압박했다. 또한 네우게르마니엔이 계획을 실행에 옮길 시 연방 단위의 경제제재를 실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네우게르마니엔의 확장 시도로 인한 연방과 네우게르마니엔 사이의 이러한 갈등상태를 네우게르마니엔 측에서는 ''''제국 위기''''라고 부른다. 연방의 의지를 확인한 카를 1세는 물러설 수밖에 없었고 계획을 폐기했다. 한편 이 사건으로 인해 인근의 군소 연방행성들은 네우게르마니엔에 악감정을 품기 시작했다.
<div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background:#333; color:#; width: 100%; max-width:100%; font-size:10pt; padding: 3px 12px 3px 12px">


===총력전===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1">
[[연방 (총력전)|연방]]과 [[적 (총력전)|적]]의 [[총력전 (총력전)|총력전]]은 네우게르마니엔의 입지를 더욱 흔들어놓았다. 그동안 네우게르마니엔의 내정에 불간섭 기조를 유지하면서 무역세와 인두세을 징수하는 것에만 관심을 보였던 [[연방정부 (총력전)|연방정부]]가, 네우게르마니엔에 총력전에 협조할 것을 [[연방조정부 (총력전)|연방조정부]] 공사관을 통해 요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연방은 연방군애서 복무할 인력 징병과 연방의 전쟁수행을 도울 각종 자원 공출 그리고 악화일로의 재정상황에 숨통을 트여줄 전시채권 판매를 원했다. 연방은 변방계 행성들에 요구조건 수용을 압박하기 위해 여러 함선을 동원해 무력시위를 하였다.  당시 네우게르마니아의 왕이었던 카를 2세는 그의 신민이 입을 피해를 우려해 연방의 요구를 거부하려고 했지만 결국에는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동안 행성이 구가한 번영은 연방의 자유무역체제 안에서 일궈진 것이었으며, 연방의 요구를 거절한다면 발생할 무역의 단절과 연방의 토벌을 감당해낼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조정이 연방정부에 굴복함에 따라 [[연방방위부 (총력전)|연방방위부]]는 네우게르마니엔에 [[전쟁준비위원회 (총력전)|전쟁준비위원회]]를 설치하고 징병과 공출을 실시했다. 총력전 첫 해에만 120만 명의 청년이 징집되어 전선으로 보내졌다.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여백|1.5em}}'''개요'''{{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정치</span>{{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3">법률</span>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 style="border:none" | [[파일:ㅊㄹㅈ (총력전).png]]<br><br>
'''{{글씨 크기|14|ㅊㄹㅈ}}'''<br>
ㅊㄹㅈ
{|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width: 50%; max-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 style="background:#111" | <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ㅊㄹㅈ</span>
|}
|}</div>


네우게르마니엔의 신민들은 처음에는 왕의 명령에 따라 영광스러운 전쟁에 참여하기 위해 밝은 표정으로 자진해서 모병소를 찾았다. 하지만 총력전이 장기화되고 사상가자 날마다 폭증하자 전쟁에 대해 회의적인 기류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카롤 2세는 [[연방 조정부 (총력전)|연방 조정부]]에 네우게르마니엔의 부담을 줄여줄 것을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연방은 이를 번번히 거부했다. 게르마니엔 조정은 신민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대주교를 통해 이 총력전을 성전으로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마침내 총력전이 휴전기에 접어들기 전까지 네우게르마니엔은 청년층의 15%가 전사하는 뼈아픈 피해를 입었다. 휴전 직후, 격무에 시달리던 카를 2세가 승하하였고, 카롤 2세의 장남인 [[스벤 3세 (총력전)|스벤 3세]]가 그의 뒤를 이어 네우게르마니엔의 왕으로 즉위하였다. 스벤 3세와 그의 충성스러운 조정은 곧 재개될 총력전에 대한 대응책과, 징병 및 공출로 인한 행성적 피해를 복구할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여백|1.5em}}<span class="mw-customtoggle-2 mw-customtoggle-1">개요</span>{{여백|1em}} · {{여백|1em}}'''정치'''{{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2 mw-customtoggle-3">법률</span>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에라피오스 행정부</div>
|-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사무총장<br>[[파일:ㅊㄹㅈ.png|x120px]]<br>이오네스 프란체스쿠'''<br>사회혁신연구소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사무부총장<br>[[파일:ㅊㄹㅈ.png|x120px]]<br>하멘토 레위니다스'''<br>오언 재단
|-
|}
{| style="width:100%"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재무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세바스티앙 쇼메리아'''<br>사회혁신연구소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과학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골다 미유'''<br>오언 재단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학무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모한 지랄'''<br>사회혁신연구소
|-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행성의회</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E3A 19%, #f68b1f 19%, #f68b1f 54%, #f5d900 54%, #f5d900 83%, #0082E6 83%);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글씨 색|transparent|총력전}}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DFFF 54%, #333 54%);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
{| style="width:100%; border:none"
|-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정당 색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당명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념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의석률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F3E3A;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FF3E3A;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오언 재단'''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민주주의|사회민주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9%'''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68b1f;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f68b1f;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사회혁신연구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좌파자유주의|사회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35%'''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5d900;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f5d9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자연권 학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우파자유주의|시장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9%
|-
| style="background: none; color:#0082E6;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0082E6;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버크 연구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보수주의|자유시장 보수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7%
|-
|}
|}</div>


==왕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3">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333;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ABDFFF; text-shadow:0px 0px 1px #ABDFFF;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max-width:600px"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1. 네우게르마니엔의 왕가는 베르겐슈타인 가문이며, 왕가는 왕국을 영원토록 통치한다.<br>2. 왕가는 절대적인 신성불가침이며, 백성은 왕가를 침해할 수 없다.
| {{여백|1.5em}}<span class="mw-customtoggle-3 mw-customtoggle-1">개요</span>{{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3 mw-customtoggle-2">정치</span>{{여백|1em}} · {{여백|1em}}'''법률'''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정치법</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정당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종교의 권리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동조합
|-
| style="border:none" | 다당제
| style="border:none" | 다원론
| style="border:none" | 비사회주의 노조 허용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민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예제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집회의 자유
|-
| style="border:none" | 이민 허용
| style="border:none" | 노예제 금지
| style="border:none" | 집회 허용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언론의 자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투표권 행사자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난민
|-
| style="border:none" | 자유 언론
| style="border:none" | 등재된 사람
| style="border:none" | 전문적인 난민들만
|}
{| style="width: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군사정책</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군 복무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여성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감찰
|-
|-
| style="text-align: right"| 《네우게르마니엔 법전 - 충성법》
| style="border:none" | 모병제
| style="border:none" | 완전히 평등한 복무
| style="border:none" | 교전규칙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333; color:#ABDFFF ;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ABDFFF; text-shadow:0px 0px 1px #ABDFFF;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max-width:450px"
{| style="width: 100%; border:none"
| <div style="margin: 31.5px 27px">[[파일:네우게르마니엔 휘장 (총력전).svg|link=]]</div>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훈련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종통합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병역면제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군의 정치성
|-
| style="border:none" | 전문적인 훈련
| style="border:none" | 군 내 인종통합
| style="border:none" | 공무원 면제
| style="border:none" | 완전한 문민통제
|}
{| style="width: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경제법</div>
|-
|-
|style="text-align:center;"|베르겐슈타인 왕조 휘장<ref>행성 휘장과 완벽히 동일하다.</ref>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무역법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소득세법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저임금
|-
|-
| style="border:none" | 자유 무역
| style="border:none" | 누진세
| style="border:none" | 높은 최저임금
|}
|}
'''베르겐슈타인 왕가<sub>Königshaus Bergenstein</sub>는 네우게르마니엔의 왕가이다. 네우게르마니엔의 개국군주인 스벤 1세를 시조로 하며, 스벤 1세부터 지금까지 천 년이 넘는 기간동안 네우게르마니아의 왕작을 세습하고 있다. 베르겐슈타인 왕가의 본궁은 수도 베르겐슈타트에 있는 베르겐슈타인 궁전이다.
{| style="width: 100%; border:none"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법적 노동시간
왕가는 여러 왕실재산을 소유하고 있다. 베르겐슈타인 궁전과 기타 여러 별궁 그리고 여러 숲과 벌판과 섬들이 대표적인 왕실 소유 부동산이다. 또한 조정이 거두어들이는 조세의 10%는 왕실의 내탕금으로 편입된다. 왕실 내탕금은 온전히 왕의 의중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처를 의회에 보고할 의무가 없다. 이러한 왕실재산은 집사장<sub>Meisterkämmerer</sub>이 관리한다.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아동노동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연금
왕가 구성원의 지위와 신체는 신성불가침이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는 법이 제정되어 있다. 왕실존엄법에 따르면, 왕가 구성원에게 고의로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자는 30년 이상의 강제노역형이 선고되며, 왕가 구성원이 죽거나 중상을 입을 경우 사형에 처해진다. 특히 왕에 대해서는 법이 더욱 엄격한 처벌이 규정되어 있다. 왕에게 고의로 신체적 상해를 입히는 자는 사형에 처해지며, 미수에 대해서도 무기징역이 선고된다. 과거에는 왕실 구성원에게 상해를 입히는 자는 연좌제로 죄로 물었지만, 5년 전인 11246년에 스벤 3세가 추밀원의 반대를 무릎쓰고 연좌제를 완전히 폐지하여 현재는 왕실 구성원에게 상해를 입히더라도 죄인의 가족에게 연좌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실업급여
 
|-
왕실예법에 따르면, 남성 왕족의 아내와 자식은 왕족이지만, 여성 왕족의 자식은 왕족으로 보지 않는다. 따라서 왕녀는 왕족의 일원이지만, 왕녀의 부군과 자식은 왕족이 아니다. 왕족은 정기적으로 열리는 왕족회의에 참여하여 왕가의 사무를 돌봐야 하는 의무가 있다. 마땅한 이유 없이 왕족회의에 지속적으로 불참하는 왕족은 왕족의 자격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공적인 외교업무나 연방군 복무, 혹은 건강 등의 문제로 인해 참석하지 못하는 경우는 정당한 결석사유로 인정된다. 모든 왕족은 적당한 수준의 품위유지비와 경칭, 그리고 경호 특혜를 제공받는다. 이중에서 경호는 3촌 이내의 가족 중에 왕족이 있는 평민에게도 제공된다.
| style="border:none" | 보통 노동시간
 
| style="border:none" | 아동 노동 금지
=== ===
| style="border:none" | 높은 연금
'''네우게르마니엔의 왕<sub>König der Neugermanien</sub>'''은 네우게르마니엔의 국가원수이자 군주이다. 사실상의 전제군주로 군림하며 네우게르마니엔을 통치한다.
| style="border:none" | 적당한 실업급여
 
|}
네우게르마니엔의 왕위는 장자상속제를 원칙으로 승계된다. 혼외관계로 낳은 자식은 아들이라 하더라고 왕위계승권이 없으며 왕자로 인정되지도 않는다. 적장자을 제외한 다른 왕자들은 모두 [[연방군 (총력전)|연방군]]에 입대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에 대해 네우게르마니엔 조정은 공식적으로는 "왕자를 연방군에 보냄으로써 [[연방 (총력전)|연방]]에 대한 왕국의 헌신을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왕위계승권자를 행성 밖으로 보내 왕위 계승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분쟁을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로 인해 연방군에 입대한 왕자는, 기존의 계승권자가 모종의 이유로 계승권을 박탈당하기 전까지는 다시는 행성으로 돌아올 수 없다.<ref>보통 연방군 하급장교로 입대하는데, 명령을 내리는 왕자에서 명령을 받는 하급장교로 처지가 바뀐 걸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했다고 한다.</ref> 왕의 장남은 12세가 되는 날에 왕세자로 책봉되며 왕세자의 장남 역시 12세가 되는 날에 왕세손에 책봉된다. 왕이 양위하거나 사망하면 그 즉시 왕세자가 국왕에 즉위하게 된다. 만약 왕이 아들이 없다면 왕위는 왕과 촌수로 가장 가까운 남자 왕족에게 계승된다. 왕의 대관식은 본궁인 베르겐슈타인 궁전에서 거행되며, 이후 의회에서 즉위선서를 하고 베르겐슈타트 광장에서 백성 앞에 나아가 백성들의 환호를 받는다.
{| style="width: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사회법</div>
왕은 사실상 무제한의 권력을 가진다. 이는 네우게르마니엔이 사실상의 전제군주국이기 때문이다. 명목상의 입법부인 추밀원이 존재하지만 추밀원은 자문기구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기에 왕을 견제할 수도 없고, 애초에 추밀원 의원들이 그럴 의지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왕은 재상과 여러 대신들의 조언을 듣지만 결정은 온전히 왕의 몫이다. 그 권한은 적어도 내우게르마니엔의 통치권이 미치는 범위 안에서는 무한하기에, 왕의 칙서가 곧 타 행성의 헌법과 맞먹는 권위를 지닌다. 그렇다고 해서 네우게르마니엔의 왕들이 오직 자신의 기분에 따라 절대권력을 마구 휘두르는 폭군은 아니다.<ref>만약 그랬다면 베르겐슈타인 왕조가 천 이백 년 넘게 이어지지도 못했을 것이다.</ref> 왕은 결정권자인 동시에 그에 대한 책임을 지는 사람이기에, 왕은 대신들과의 회의를 거쳐 신중히 칙서를 내린다. 또한 대주교와 교회를 통해 민심을 읽고 이를 보살펴야 하며, 스스로가 왕국의 가장 신실한 신자로서 교회 윤리를 지켜 만백성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산업안전
현재 네우게르마니엔의 왕은 카를 2세의 장남인 [[스벤 3세 (총력전)|스벤 3세]]이다. 11227년에 선왕인 카를 2세의 사망으로 즉위하여 현재까지 제위 중이다. 스벤 3세의 부인이자 왕비는 그레타 베르겐슈타인으로, 네우게르마니엔의 명문가 중 하나인 샤이데만 가문 출신이다. 스벤 3세는 왕비와의 사이에 두 아들과 세 딸을 두고 있다. 장남인 디트리히는 왕세자의 신분으로, 장차 왕위를 계승할 후계자이다. 차남 루트비히와 삼녀 [[베르티나 왕녀 (총력전)|베르티나]]는 현재 연방군 장교로 복무중이며, 현재 각각 [[연방해병대 (총력전)|해병대]] 소령, [[연방해군 (총력전)|해군]] 소위의 계급이라고 한다.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의료보험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해규제
네우게르마니엔의 왕은 다음과 같은 작위를 보유하고 세습한다.
|-
 
| style="border:none" | 최소한의 안전규정
* 네우게르마니엔의 왕
| style="border:none" | 보편적 의료보함
* 네우게르마니엔 교회의 보호자
| style="border:none" | 적당한 규제
* 에델바이스 기사단 단장
|-
* 베르겐슈타인 궁전과 모든 별궁의 궁주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교육
* 성스러운 도시연합의 통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고형
* 모든 주와 위성과 왕도의 공작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성소수자
* 모든 현과 왕도구와 행성외 식민지의 백작
|-
 
| style="border:none" | 공공 고등교육
==정치==
| style="border:none" | 강제노동형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333;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ABDFFF; text-shadow:0px 0px 1px #ABDFFF;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max-width:600px"
| style="border:none" | 법적 보호
| "백성은 임금에게 복종하고, 임금은 백성을 보호한다", 이건 너무나 당연한 명제 아니야?
|-
|-
| style="text-align: right"| [[베르티나 왕녀 (총력전)|베르티나 왕녀]]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젠더권리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소수민족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치안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간 복제
|-
|-
| style="border:none" | 성평늩
| style="border:none" | 평등권
| style="border:none" | 경찰
| style="border:none" | 불법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max-width:600px; width:100%; color:#ABDFFF; background:#111111;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text-align: center"
{| style="width: 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사회발전</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학문적 기반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연구시설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농사방식
|-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네우게르마니엔의 [[연방민주지수 (총력전)|{{글씨 색|#ABDFFF|연방민주지수}}]]
| style="border:none" | 학문의 황금기
| style="border:none" | 최첨단 연구시설
| style="border:none" | 발전된 영농
|-
|-
| '''3.81 / 10'''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행정효율
| '''{{colorbox|#333333}} [[연방민주지수 (총력전)#비민주정|비민주정]]'''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산업지식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업장비
|-
|-
| style="border:none" | 완벽한 관료제
| style="border:none" | 획기적인 산업
| style="border:none" | 최첨단 공업장비
|}
|}
네우게르마니엔은 겉으로는 입헌군주정을 지향하지만 실제로는 전제군주정과 다를 바 없는 통치구조를 가지고 있다. 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군주의 권력은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라고 믿는 왕권신수설을 공인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민주공화국이라면 분리되어 있어야 할 입법·사법·행정 3권이 모두 왕에게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왕이 국정을 혼자서 처리할 수는 없는 노릇이고, 또 연방정부에 행성이 민주적으로 운영된다는 것을 표면적으로나마 보여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여러 국가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div></div></div>


*'''추밀원''': 네우게르마니엔의 형식적 입법기관. 타 행성의 행성의회에 해당하지만 실제로는 그 본연의 역할인 입법권이 왕에 의해 행사되기 때문에 실권 없는 자문기구 취급을 받는다. 추밀원장은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명예직이며 추밀원 의원 역시 반쯤은 명예직이다. 법률에 명시된 추밀원의 권한으로는 법률안의 심사와 국가예산의 결산, 왕에 대한 법률 자문 등이 있다. 의원의 1/3은 왕에 의해 임명되며 나머지 2/3는 선거에 의해 선출된다. 추밀원 의원선거는 5년에 한 번씩 실시되며 선거권자와 피선거권자는 고액납세자로 제한된다. 모든 추밀원 의원은 왕의 친위정당인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충성당]] 소속이지만 각자 정파를 가지고 있어 정파간의 정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 [[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총력전)|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네우게르마니엔의 유일한 합법정당. 당 강령에 군주 절대옹위가 명시되어 있는, 명백한 군주 친위정당이다. 모든 추밀원 의원과 조정 각료가 충성당 소속이다. 다만 당 내부에 여러 다채로운 계파가 있어서, 정치적 균형 속에서 정파 간의 견제가 어느 정도 이루어진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왕립법원''': 네우게르마니엔의 사법기관. 타 행성의 행성법원에 대응하며 예하에 지방법원들을 두고 있다. 피고인의 유무죄를 가리고 법률에 따라 범죄자를 심판하는 역할을 맡는다. 비정치적인 대부분의 사건에 대해서는 독립적인 판결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자문기구 그 이상의 가치를 가지지 못하는 추밀원에 비해서는 훨씬 큰 권한을 가지고 있다.
'''에라피오스'''


*'''왕립군''': 네우게르마니엔의 군사조직. 타 행성의 [[행성군 (총력전)|행성군]]에 대응한다. 행성을 저강도 무력분쟁에서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주 업무는 네우게르마니엔의 근처 우주공간에서 무역로를 노리는 [[해적 (총력전)|해적]]을 소탕하는 것이다. [[총력전 (총력전)|총력전]] 중에는 왕립군의 지휘권을 인계받은 연방군 장교의 지시를 완강히 거부해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주역사령부와 큰 마찰을 빚은 적이 있다.
== 역사 ==
 
===주요 관직===
*'''수상''':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로, 왕가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공직이다. 타 행성의 행성사무총장에 대응된다. 왕을 보좌하며 국정 전반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주로 경험 많은 노관료가 임명된다.
 
*'''추밀원장''': 형식적 입법기관이자 왕의 자문기관인 추밀원의 장으로, 법률상 수상 다음으로 높은 공직이다. 역할은 왕에게 법률자문을 하는 것이지만 추밀원 자체가 권한이 크지 않다보니 그 수장인 추밀원장도 명예직으로 여겨진다. 보통 여러 공훈을 세운, 은퇴 직전의 늙은 원로가 역임한다.
 
*'''대주교''': 네우게르마니엔 교회의 수장. 원칙대로라면 교단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선출되어야 하지만 왕에 의해 임명되는 것이 실상이다. 백성의 의중을 듣고 이를 조정에 전달하는, 국정운영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회 주교 중에서 임명된다.
 
*'''부수상''': 수상을 보좌하는 직책. 타 행성의 행성사무차장에 해당한다. 언제선가부터 외교의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수상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며 수상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직책이다보니 위상이 높은 편이다.
 
*'''집정관''': 행성의 내정을 돌보는 직책. 치안과 민정을 담당한다.
 
*'''재무관''': 행성의 재정을 돌보는 직책. 돈을 다루는만큼 재무전문가가 주로 임명된다.
 
*'''사령관''': 왕립군을 지휘하는 직책. 직업군인이 임명된다.
 
*'''감찰관''': 고위층의 비리와 부정부패 등을 조사하는 직책. 고위층에 대한 수사권이라는 강한 칼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요직으로 평가받는다. 비교적 젊고 유망한 관료가 임명된다.
 
==지방행정==
네우게르마니엔의 지방행정제도는 기본적으로 주현제이다. 왕국 직할에 주(Herzogtum)가 있으며, 그 밑에 현(Grafschaft)이 있다. Herzogrum과 Grafschat는 원래는 각각 봉건제의 공작령과 백작령에 대응하는 용어이지만, 철저한 중앙집권 행성인 네우게르마니엔에서 두 용어가 단순히 행정구역의 명칭으로 쓰이기 때문에, 한국어로는 각각 주와 현으로 번역된다. 명목상으로 주와 현의 우두머리는 각각 공작(Herzog)과 백작(Graf)이지만, 그 두 작위는 왕이 겸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지방 행정사무를 처리하는 관직은 각각 후작(Vizeherzog)과 자작(Vizegraf)이다.<ref>두 단어는 직역하면 각각 부공작과 부백작이다.</ref> 후작과 자작은 모두 완전한 임명직으로, 임기가 정해져 있어 정기적으로 교체된다.
 
==자연환경==
네우게르마니엔은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지 1200년이 넘은, 변방계에서는 비교적 안정된 정착지이며, 지표 전역에 걸쳐 평균기온이 섭씨 5도에서 12도 사이를 유지하는 냉온대 기후를 특징으로 한다. 이는 연방 내 대부분의 유인 행성에 비해 다소 낮은 편으로 분류되며 낮은 기온은 생태뿐만 아니라 주거 설계와 인프라 운영 방식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형은 대체로 완만한 구릉과 넓은 평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거대한 대륙 세 개와 다수의 중소형 군도로 구성된다. 행성의 지질 활동은 약한 편이라 지진이나 화산 폭발과 같은 자연재해가 드물다. 낮은 기온 탓에 극지방은 연중 내내 두터운 빙하로 덮여 있으며 중위도 지역에도 눈이 자주 내리는 탓에 수자원이 풍부하다. 강과 호수는 비교적 천천히 흐르며 물은 냉각된 상태로 맑고 깨끗하다. 이는 초기 정착민들이 물 처리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급 가능한 정수 시설을 설계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저온 수계는 원생 미생물의 성장률이 낮아 토착 생태계의 다양성은 다른 행성에 비해 낮은 편이다.
 
식생은 대부분 테라포밍 계획에 따라 이식된 종자와 유전자 조작 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저온에 강한 북방 계열 침엽수와 지의류가 널리 퍼져 있다. 낮은 기온과 햇빛의 각도, 연중 짧은 생장기를 고려하여, 이곳의 식물은 대부분 잎이 작고 성장 속도가 느리다. 잎사귀는 빛을 최대한 포착하기 위해 진한 녹색을 띠며, 일부 유전종은 태양광에 반응하여 색조가 변하는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경작지는 대부분 온실 안에 마련되어 있으며, 유전자 개량 작물들이 연중 두세 차례 수확 가능한 형태로 재배된다. 그러나 외부 노지에서 자라는 자생 식물군도 꾸준히 퍼져나가, 초기에는 인공적이었던 생태계가 현재는 독자적인 균형을 이루는 단계에까지 도달했다. 동물군 역시 주로 지구계 생물을 기초로 하되, 기후에 적응한 품종 위주로 개량되어 정착되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은 털이 두꺼운 초식동물과 비행력이 낮은 조류들로, 이들은 외부 기온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적은 열량으로도 생존할 수 있는 대사 구조를 지닌다. 유전자 조작을 거친 가축류는 반자동 사육지에서 관리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 상태로 방목되기도 한다.
 
==사회·문화==
===일반적 특징===
===종교===
네우게르마니엔은 네우게르마니엔 신성교회를 국교로 지정하고 있다. 네우게르마니엔 기독교라고도 불리는 신성교회는, 고대 인류의 카톨릭 교회에서 분화된 종파이다. 네우게르마니엔인 절대다수가 신성교회의 신자이며, 교회는 사람들의 생활 속 깊이 연관되어 있다. 성탄절, 부활절 등 신성교회의 축일은 국가공휴일이며, 교육, 결혼, 장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성교회는 네우게르마니엔인의 삶을 규정한다. 또한 일반적인 평민의 정치참여가 제한된 네우게르마니엔에서 교회는 평민이 군주에게 의견과 불만을 전할 수 있는 창구의 역할도 한다. 또한 교회는 이웃에 대한 사랑이라는 기독교적 교리를 기반으로 하여 자선과 구휼을 담당하며 사회적 약자를 돕는 자선단체를 겸한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왕권신수설을 지지하면서 왕의 전제적 통치를 정당화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신성교회 신자가 이니라고 해서 명시적인 불이익이 생기는 건 아니지만, 교회는 네우게르만인 삶의 일부라 비신자는 생활에 지장이 있을 수 있다.
 
===교육===
네우게르마니엔의 학사제도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의 4-6-3-6제도이다. 고등학교까지가 의무교육이며, 교육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다만 대학교 진학률은 10%대로 높지 않고, 대부분의 학생은 직업고등학교에 진학해 직업학교 졸업 이후 곧바로 취업한다. 네우게르마니엔의 최고 교육기관은 왕립대학교<sub>Königliche Universität</sub>로, 6년제의 종합대학교이다. 왕립대학 졸업생들은 대부분 관료나 학자, 기업 고위임원 등이 된다. 이외에도 다양한 고등교육기관이 존재하며, 대부분 정부 혹은 신성교회에서 운영한다. 고등교육기관 중 사립학교는 없으며, 네우게르마니엔 정부나 교회가 아닌 다른 기관에서 운영하는 고등교육기관은 연방정부에서 운영하는 네우게르마니엔 연방대학교와 연방군이 운영하는 네우게르마니엔 연방군 종합사관학교 뿐이다.
 
===식문화===
네우게르마니엔이 전반적으로 기온이 낮아 추운 행성이다보니, 고열량 위주의 식단이 발달해있다. 네우게르마니엔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유제품, 고기, 생선, 버섯이며, 곡물과 채소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데, 이는 네우게르마니엔의 기후가 농업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은 발전된 기술과 경제 덕에 곡물과 채소를 쉽게 재배할 수 있게 되었지만, 그것이 어려웠던 정착 초기에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식재료를 위주로 요리해 먹던 식문화가 그대로 굳어져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ref>다만 현재는 요리에 곡류와 채소도 꽤 쓰는 편이다.</ref>
 
네우게르마니엔 요리는 따뜻한 수프의 비중이 큰데, 주로 우유와 버터 등으로 국물을 만들거나 고기육수를 국물로 써서, 거기에 각종 고기나 생선, 채소 등을 넣어 끓여먹는 식이다. 또한 고기와 생선을 훈제하여, 채소 등과 같이 먹는 요리도 많다. 음료류로는 부테르비어(Butterbier), 즉 버터맥주가 유명하다. 맥주에 버터와 계란, 설탕을 넣고 끓여 만드는 따뜻한 음료인데, 끓이는 과정에서 알콜이 날아가 알콜 함량은 극히 낮다고 한다.<ref>네우게르마니엔 당국은 부테르비어를 술이 아닌 음료로 분류한다.</ref> 네우게르마니엔인들은 부테르비어를 아주 사랑하는데, 성인은 일일 평균 1.7L의 부테르비어를 마신다고 한다. 네우게르마니엔 왕립군의 전투식량에도 부테르비어가 반드시 포함된다. 호밀빵 등 빵 종류도 있지만 이쪽은 든든한 한끼라기보단 길거리에서 파는 간식이나 간딴히 떼우는 끼니 정도의 느낌이 강하다. 그냥 빵만 팔거나 먹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빵을 갈라 그 속에 고기와 채소를 넣어 먹는다.
 
===법===
네우게르마니엔의 법은 대외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상당히 합리적이다. 불경죄 등 왕실과 관련된 법에 의한 처벌은 정말로 가차없지만, 그 이외의 형법은 대체적으로 연방 표준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간통죄가 존재하며, 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아주 엄격한 편이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외교==
===연방정부===
네우게르마니엔과 [[연방정부 (총력전)|연방정부]]는 다소 미묘한 관계를 맺고 있다. 기본적으로 양측은 서로에게서 얻을 것이 많다. 네우게르마니엔이 초창기 빠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연방정부에 의한 자유무역 체제였으며, 현재도 네우게르마니엔은 연방 내부의 행성간 무역을 통해서 큰 이익을 얻고 있다. 연방정부 입장에서는, 네우게르마니엔은 [[연방 (총력전)|연방]] [[변방계 (총력전)|변방계]]의 몇 없는 주요 거점이자, 동시에 그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인근 [[해적 (총력전)|해적]]을 소탕해 주위의 행성간 무역로의 안전을 보장하는 파수꾼이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양측은 서로에 대해서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네우게르마니엔에게 연방정부는 카를 1세가 시도한 영역 확장에 제동을 건 장애물이다. 또한 연방정부가 네우게르마니엔은 관심 없는 총력전을 위해 막대한 양의 물자와 인력을 징발했기 때문에 네우게르마니엔 대중도 연방정부에 대해 상당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 한편 연방정부 입장에서 네우게르마니엔은 자신의 힘만 믿고 변방에서 골목대장 노릇을 하며 주위의 약소 행성들을 겁박하는 문제아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에 연방정부는 네우게르마니엔을 압박하고 억제할 겸, 인근의 해적도 소탕할 겸, 네우게르마니엔 행성계의 무인위성에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군관구사령부를 설치하고 소함대를 주둔시켜 놓은 상태다.
 
연방정부는 110세기부터 네우게르마니엔의 수도 베르겐슈타트에 공사관을 설치해둔 상태다.<ref>104세기에 설치한 영사관을 승격시킨 것이다.</ref> 이는 영사관조차 변변치 않은 변방계에서는 보기 드문 조치로, 연방정부가 네우게르마니엔의 체급을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네우게르마니엔 역시 연방의 수도성인 [[지구 (총력전)|지구]]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이웃 행성들===
네우게르마니엔은 이웃 자치행성들과도 참 미묘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네우게르마니엔은 [[변방계 (총력전)|변방계]]에서 손꼽히는 강대한 행성인 만큼 주변 행성들도 네우게르마니엔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경제적으로 네우게르마니엔과의 무역의존도가 높은 건 물론이고 유행이나 미의 기준 등 문화적으로도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그렇지만 네우게르마니엔과 그 인근 행성들이 사이가 썩 좋은 건 아니다. 네우게르마니엔의 카를 1세가 세력확장 시도를 하면서 인근 행성들을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굴복시키려 했고, 그로 인해 이웃 행성들은 네우게르마니엔을 아직까지도 경계하고 있다.
 
특히 카를 1세에 맞서 군소 자치행성들을 규합하고 연방정부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청한 자치행성인 카르마타는 네우게르마니엔에 큰 악감정을 품고 있다. 네우게르마니엔의 확장 시도가 좌절된 이후 카르마타는 유난히 [[해적 (총력전)|해적]]들의 약탈에 시달렸는데, 해적의 규모가 평소보다 훨씬 크며, 눈에 띄게 조직화된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카르마타는 네우게르마니엔이 확장 시도 좌절에 대한 보복으로 해적들의 카르마타 약탈을 사주한 것이라고 의심하여 연방법원에 네우게르마니엔을 고소하기도 했다. 네우게르마니엔은 의혹에 대해 딱 잡아뗐고 [[연방조정부 (총력전)|연방조정부]]의 조사 결과도 증거 불충분으로 결론났지만, 카르마타는 여전히 해적 공격의 배후에 네우게르마니엔 조정이 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양측의 국민감정도 크게 안 좋다.
 
==기타==
==각주==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충썽=
= 과테말라 =
{{글 숨김}}
{{글 숨김}}
{{총력전}}[[분류:총력전]]
{{Css|총력전}} [[분류:총력전]]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color:#ABDFFF; max-width:450px; float:right; border:2px solid #ABDFFF; background:#111"
{{사이트 배경|bg=#111111}}
{{총력전}}
{{총력전 배너}}
----
{| class="wikitable dark:!border-white"; style="background:#111;color:#ABDFFF; 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ABDFFF;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
|-
! colspan="4" style="width:450px; background:#333;" | {{글씨 색|#ABDFFF|{{글씨 크기|15|루바란 행성}}}}<div style="margin: -2px 0px">{{글씨 색|#ABDFFF|Planet of Luvaran}}
|-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 <div style="margin: 12px 0px">{{테두리|[[파일:루바란 행성기 (총력전).svg|150px]]}}
! colspan="2" style="width:50%;background:#111"| <div style="margin: 12px 0px">[[파일:루바란 휘장 (총력전).svg|110px]]
|-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기
! colspan="2" width=5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휘장
|-
| colspan="4" style="width:%;background:#111" align=center | '''{{글씨 색|#ABDFFF|Libertatem et Felicitatem}}<br>{{글씨 색|#ABDFFF|자유와 번영}}'''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가
| colspan="3"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화
| colspan="3"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목
| colspan="3" | 월계수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역사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yeoksa|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 colspan="2" align=center style="background-color: transparent ; height:85px;" | <div style="margin: 31.5px 27px">[[파일:네우게르마니엔 행성기 (총력전).svg]]</div>
| colspan="4" |'''루바란 형성''' 약 억 년 전<br>'''루바란 발견''' 년 월 일<br>'''첫 정착''' 년 월 일<br>'''연방 가입''' 년 월 일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large|네우게르마니엔 충성당}}
{{펼접끝}}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영문명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천체 특성
| Neugermanian Loyalist Party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teukseong|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독문명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치
| Neugermanische Loyalistenpartei
| rowspan="1" | [[우리 은하 (총력전)|우리 은하]] [[오리온 성군 (총력전)|오리온자리]] 나선팔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창당일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심도 분류
| 10158년 9월 20일 (지구 표준시)
| rowspan="1" | [[변방계 (총력전)|변방계]]
|-
|-
! width=30%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전신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소속 행정구역
| 애국동맹<br>주권당
| rowspan="1" | 헤네피르 연방관구 쿄탄 연방지구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대표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성형
|  
| rowspan="1" | 지구형 행성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이념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성
| 가부장적 보수주의<br>왕권신수론{{구분선}}'''• 비주류'''<br>보수적 개혁주의<br>기독교 진보주의<br>시장자유주의
| rowspan="1" |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스펙트럼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표면 구성
| 우익{{구분선}}'''• 비주류'''<br>중도좌파 ~ 극우
| rowspan="1" | 육지 28%, 수면 72%
|-
|-
! style="background-color:#333 ; color:#ABDFFF;" | 추밀원 의원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둘레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ABDFFF 100%, #aaa 100%); color:#ffffff;" | '''750석 / 750석 (100%)'''
| rowspan="1" | km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자전 주기
| 22시간 22분 (지구표준시간)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전 주기
| 331일 (루바란 표준시간)<ref>지구 표준시간으로는 약 308.5일</ref>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문환경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inmun|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수도
| rowspan="1" | 시우다데리카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최대 도시
| rowspan="1" | 레토마르카
|-
! rowspan="2" width=1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인구
! width=18%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인구
| 7억 2천만 명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출산율
| 3.11명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어
| 지구 언어<ref>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공용 문자
| 지구 문자
|-
! colspan="2";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군대
| [[연방군 (총력전)|연방군]]
|-
| 루바란 행성군
|-
{{펼접끝}}
|-
! colspan="4" style="color:#ABDFFF;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333" | 하위 행정구역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haengjeong|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방행정제도
| 단일 국가
|-
! width=30%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1급 행정구역
| 28개 행성관구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2급 행정구역
| 585개 주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3급 행정구역
| 12733개 군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jeongchi|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정치 체제
| 민주공화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과두제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연방민주지수 (총력전)|{{글씨 색|#ABDFFF|연방민주지수}}]]
| {{colorbox|#4A5B66}} [[연방민주지수 (총력전)#혼합정|혼합정]]
|-
! Colspan="2" style="width: 25% ;background:#333; color:#ABDFFF;" | 대통령<br>(국가원수)
| 가페르 멘데스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국가<br>요인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부통령
| 헤르만 킨젤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의회의장
| 그로코니 슈트람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원장
| 미옹수 킴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지도부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입법부
| 루바란 행성의회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행정부
| 루바란 행성행정부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사법부
| 루바란 행성법원
|-
!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집권 여당
| 국가발전당
|-
{{펼접끝}}
|-
! colspan="4" style="color:#ABDFFF; background:#333;" | 경제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gyeongje|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GRDP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총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1인당
|  ₮
|-
! rowspan="3"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재정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입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세출
|  ₮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위성채
|  ₮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단위
|-
| colspan="4" style="background:#;" |
{{펼접|id=danwi|div||style=background:none; color:#ABDFFF}}
|-
! width=30%;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법정 기년법
| 서력기원
|-
| 루바란 책력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도량형
| SI 단위
|-
!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 rowspan="2"; style="background:#333; color:#ABDFFF;" | 시간대
|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
| 루바란 표준시
|-
{{펼접끝}}
|-
! colspan="4" style="background:#333; color:#fff;" |[[파일:루바란 휘장 (총력전).svg|30px|link=]]
|}
{{목차}}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333; color:#ABDFFF ; border: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color:#ABDFFF; text-shadow:0px 0px 1px #ABDFFF;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float:; max-width:600px"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루바란 (총력전).png|link=]]</div>
|-
|-
|}
|}
'''{{center|{{글씨 크기|11.5|ㅊㄹㅈ}}}}{{center|{{글씨 크기|8.5|ㅊㄹㅈ - ㅊㄹㅈ}}}}'''
{{-}}
{{-}}
==개요==
==개요==
네유게르마니엔 충성당은 네우게르만 유일의 합법정당이자 국왕의 친위정당이다.


==정파==
<div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box-shadow:0px 0px 5px #ABDFFF; background:#333; color:#; width: 100%; max-width:100%; font-size:10pt; padding: 3px 12px 3px 12px">
{{colorbox|#004275}} '''입헌파'''([[이념 (총력전)#가부장주의|준입헌군주정]]) : 입헌파는 전제파와 함께 네우게르마니엔 정치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정파이다. 입헌파는 왕권신수론을 부정하지 않으며, 국왕을 중심으로 한 권력질서 유지에 찬동하는 보수주의 정파이다. 다만 입헌파는 헌법을 제정하여 네우게르마니엔을 입헌국가로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전제파에 비해 다른 분야에서도 조금 더 온건한 성향이다.
 
<div class="mw-collapsible" id="mw-customcollapsible-1">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여백|1.5em}}'''개요'''{{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정치</span>{{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3">법률</span>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 style="border:none" | [[파일:ㅊㄹㅈ (총력전).png]]<br><br>
'''{{글씨 크기|14|ㅊㄹㅈ}}'''<br>
ㅊㄹㅈ
{| style="border: 2px solid #ABDFFF; width: 50%; max-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 style="background:#111" | <span class="mw-customtoggle-1 mw-customtoggle-2">ㅊㄹㅈ</span>
|}
|}</div>


{{colorbox|#2d2d2d}} '''전제파'''([[이념 (총력전)#전제주의|전제군주정]]) : 전제파는 입헌파와 함께 네우개르마니엔 정치의 쌍벽을 이루는 반동적 보수주의 정파이다.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며, 전제군주정이라는 전통적 국체의 보존을 강력히 지지한다. 또한 헌법의 제정도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2">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여백|1.5em}}<span class="mw-customtoggle-2 mw-customtoggle-1">개요</span>{{여백|1em}} · {{여백|1em}}'''정치'''{{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2 mw-customtoggle-3">법률</span>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루바란 대통령위원회</div>
|-
| width=50%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대통령<br>[[파일:ㅊㄹㅈ.png|x120px]]<br>가페르 멘데스 '''<br>국가발전당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부통령<br>[[파일:ㅊㄹㅈ.png|x120px]]<br>헤르만 킨젤'''<br>국가발전당
|-
|}
{| style="width:100%"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재무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오소리오 콜마치'''<br>무소속 (상공회의소)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내무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제닉스 피터슨'''<br>국가발전당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군무장관<br>[[파일:ㅊㄹㅈ.png|x100px]]<br>오브라이언 메노니트'''<br>무소속 (군부)
|-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wikitable;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정치적 영향력</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00000 9%, #D50055 9%, #D50055 31%, #FF3E3A 31%, #FF3E3A 36%, #f68b1f 36%, #f68b1f 51%, #f5d900 51%, #f5d900 64%, #0082E6 64%, #0082E6 66%, #004275 66%, #004275 86%, #674777 86%, #674777 86%, #323232 86%, #323232 98%, #777777 98%);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글씨 색|transparent|총력전}}
|-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3 51%, #ABDFFF 51%, #ABDFFF 64%, #333 64%, #333 66%, #ABDFFF 66%, #ABDFFF 98%, #333 98%); color:#fff; border:none; text-align: left" |
|}
{| style="width:100%; border:none"
|-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정당 색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당명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념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영향력
|-
| style="background: none; color:#B00000; border:none; font-size:20pt" |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B000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적기군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총력전/이념#공산주의|정통공산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9%
|-
| style="background: none; color:#D50055;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D50055;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비제도권 노동운동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총력전/이념#사회주의|생디칼리슴]]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2%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F3E3A;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FF3E3A;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사회민주노동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사회민주주의|사회민주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5%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68b1f;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0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fff; background:#f68b1f;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새로운 희망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좌파자유주의|중도적 대중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5%
|-
| style="background: none; color:#f5d900;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f5d900;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루바란 상공회의소'''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우파자유주의|신자유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3%'''
|-
| style="background: none; color:#0082E6;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0082E6;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민동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보수주의|가부장적 보수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
|-
| style="background: none; color:#004275;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004275;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국가개발당'''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총력전/이념#권위주의|과두정]]'''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0%'''
|-
| style="background: none; color:#674777;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12.5px #fff; background:#323232;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루바란 군부'''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념 (총력전)#전제주의|전제주의]]'''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12%'''
|-
| style="background: none; color:#777; border:none; font-size:20pt" | <div style="margin: 0px -5px">
{| style="width:12px; height:20px; border: 1.5px solid #fff;box-shadow:0px 0px 0px #fff; background:#777; color:#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기타 정치세력''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2%
|-
|}
|}</div>


{{colorbox|#0082E6}} '''개혁파'''([[이념 (총력전)#보수주의|보수적 개혁주의]]) : 개혁파는 네우게르마니엔의 소수정파로, 체제 내에서의 점진적인 개혁을 원하는 세력이다. 네우게르마니엔의 전통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헌법 제정과 추밀원 의회화를 통한 입헌정치를 지향한다. 주로 상공인, 유학파 관료 및 지식인의 지지를 받으며, 국왕 스벤 3세의 후원을 받아 몸젭을 불리도 있다.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3">
{| style="width:10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background: transparent; margin-top: 10px; font-size:11pt"
| {{여백|1.5em}}<span class="mw-customtoggle-3 mw-customtoggle-1">개요</span>{{여백|1em}} · {{여백|1em}}<span class="mw-customtoggle-3 mw-customtoggle-2">정치</span>{{여백|1em}} · {{여백|1em}}'''법률'''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 none; color:#ABDF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98%; max-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border:none" |
{| style="width:100%"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정치법</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정당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종교의 권리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동조합
|-
| style="border:none" | 관제 야당
| style="border:none" | 다원론
| style="border:none" | 관제노조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이민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노예제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집회의 자유
|-
| style="border:none" | 이민 허용
| style="border:none" | 노예제 금지
| style="border:none" | 집회 통제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언론의 자유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투표권 행사자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난민
|-
| style="border:none" | 언론 검열
| style="border:none" | 유산자만
| style="border:none" | 입국심사제
|}
{| style="width: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경제법</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무역법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소득세법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저임금
|-
| style="border:none" | 자유 무역
| style="border:none" | 저소득자 중심
| style="border:none" | 이름뿐인 최저임금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법적 노동시간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아동노동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연금
! width=25%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실업급여
|-
| style="border:none" | 긴 노동시간
| style="border:none" | 아동 노동 제한
| style="border:none" | 낮은 연금
| style="border:none" | 이름뿐인 실업급여
|}
{| style="width: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사회법</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산업안전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의료보험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해규제
|-
| style="border:none" | 최소한의 안전규정
| style="border:none" | 기초 의료 지원
| style="border:none" | 적당한 규제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교육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최고형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성소수자
|-
| style="border:none" | 공교육
| style="border:none" | 사형
| style="border:none" | 불법화
|-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젠더권리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소수민족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치안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인간 복제
|-
| style="border:none" | 여성 노동
| style="border:none" | 대중 보호
| style="border:none" | 보안 기관
| style="border:none" | 불법
|}
{| style="width: 100%; border:none"
! colspan="3" style="background: #555; color:#ABDFFF; border:none; font-size: 10.5pt" | <div style="margin: -5px -10px;">사회발전</div>
|-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학문적 기반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연구시설
! width=33%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농사방식
|-
| style="border:none" | 중등교육 기반
| style="border:none" | 정치적 연구시설
| style="border:none" | 대구모 기계화
|-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행정효율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산업지식
! style="background: none; border:none" | 공업장비
|-
| style="border:none" | 적당한 관료제 관료제
| style="border:none" | 경험 있는 산업
| style="border:none" | 공업단지
|}
|}</div></div></div>


{{colorbox|#FF3E3A}} '''복음파'''([[이념 (총력전)#사회민주주의|기독교 진보주의]]) : 복음파는 성경의 말씀을 따르는 것을 지상과제로 하는 소수정파다. 성경을 유연하게 해석해 체제유지의 근거를 만드는 신성교회 주류와는 달리, 복음파는 성경의 모든 내용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여 토지공개념, 부유층 중과세, 정교분리 등 진보적 아젠다를 주장한다. 다만 외부 연구계의 일각에서는 복음파가 진보 정파로 분류되는 것은 극히 보수적인 네우게르마니엔의 특징 때문이며, 실제로는 기독교 근본주의 정파라고 보기도 한다.


{{colorbox|#f5d900}} '''시장파'''([[이념 (총력전)#우파자유주의|시장자유주의]]) :
'''루바란'''은 [[연방 (총력전)|연방]]의 [[변방계 (총력전)|변방계]]에 있는 행성이다. 행정구역 상으로는 헤네피르 연방관구 쿄탄 연방지구에 속해있다.


{{colorbox|#8e3900}} '''대중파'''([[이념 (총력전)#파시즘|파시스트 포퓰리즘]]) :
== 역사 ==
== 행정구역 ==
== 사회 ==
== 문화 ==
== 경제 ==
== 정치 ==
== 외교 ==
== 군사 ==


==각주==
== 각주 ==
{{글 숨김 끝}}
{{글 숨김 끝}}

2025년 7월 5일 (토) 14:41 기준 최신판

연습장:나먕2 연습장:나먕4

네우게르마니엔

태양계

군정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틀 (총력전)


카레트니코비아 군정청
Military Government of Karetnykovia
군정기 휘장
행성가 없음[1]
행성화
행성목
천체 특성
[ 펼치기 · 접기 ]
위치
연방심도 분류 변방계
소속 행정구역 헤네피르 연방관구 아오라키 연방지구
표면 구성 육지 21%, 바다 79%
둘레 27,932km
공전 주기 268일 15시간 34분
자전 주기 17시간 40분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억 3천만 명
출산율 2.01명
기대수명
공용어 지구 언어[2]
공용 문자 지구 문자
군대 연방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지방행정제도 단일 국가
주급 행정구역 15개 주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군정 (점령군 정부)
연방민주지수 집계 중단
군정사령관 존 하지
국가
요인
군정장관 푼살마깅 체하르덴
민정장관 이반 치스차코프
과도입법회 의장 카르멘 이바호
집권 여당 없음 (군정 체제)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통제경제
GRDP ₮ 247억
1인당 ₮ 107
재정 세입 ₮ 26억
세출 ₮ 634억
행성채 집계 중단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연호 서력기원
도량형 SI 단위
통행 방향 우측 통행
시간대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카레트니코비아 표준시

개요

 개요  ·  정치  ·  법률


폐허가 남은 땅
카레트니코비아는 20세기 초 무정부주의 운동가였던 세멘 카레트닉의 이름에서 명칭을 따온 행성입니다. 이름값대로, 이 행성은 한때 '무정부적 이상주의의 정수'라 불렸던 행성입니다. 연방 곳곳에서 이 행성에 모인 아나키스트들은 조직적으로 행성을 개척하고 무장부주의 공동체를 구축했습니다. 그들은 수백 년간 외부 간섭 없이 직접민주주의와 협동노동을 통해 자급자족 사회를 유지해왔습니다. '모든 권위에 대한 거부, 모든 폭력에 대한 저항'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이들은 여러 무정부주의 행성과의 느슨한 연결고리를 바탕으로 연방의 질서 아닌 스스로의 질서를 창출해 나갔습니다.

하지만 이상은 현실의 벽 앞에서 무너졌습니다. 총력전의 와중에, 연방정부는 다른 행성에서도 그랬던 것처럼 카레트니코비아에서도 인력과 자원을 징발하려 했습니다. '권위적 정부'에 의한 '약탈'은 무정부주의자들이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카테르니코비아와 여러 무정부주의 행성들은 자원 공출을 거부했습니다. 연방정부는 이를 반역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토벌을 단행했습니다. 연방군의 대규모 강습과 고궤도 폭격으로 인해 도시와 농장, 시민회관들이 초토화되었고,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습니다. 현재 카레트니코비아는 연방군의 군정 하에 놓여 있습니다. 도시 곳곳에는 연방군 검문소가 세워져 있고, 인터넷과 행성통신은 제한되었으며, 통행금지령과 감시드론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옛 영광을 잊지 못한 아나키스트들은 지하로 숨어들었고, 게릴라전을 벌이며 연방군에 저항합니다. 변방계 인종주의를 내세우며 떠오른 극우파들 역시 연방군을 괴롭힙니다. 이 두 세력은 서로를 증오하지만, 연방군으로부터 그들의 고향을 지킨다는 명분을 공유합니다. 하지만 그들의 고향은, 더이상 지킬 게 없을 정도로 황폐화되어 있습니다. 토양은 오염되었고, 발전소는 멀쩡한 것이 손에 꼽히며, 대부분의 생산시설은 파괴되어 폐허로 남아있습니다. 전쟁고아와 부상자들은 거리에서 구걸하며, 주민들은 연방군과 자선단체의 배급으로 연명합니다. 고통받는 자들은 아무 잘못 없는 주민들입니다. 과거의 자유를 그리워하지만, 더이상의 혁명도, 더이상의 전쟁도 원치 않는 이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레트니코비아에는 여전히 예전의 정신이 희미하게나마 살아 있습니다. 도시 외곽의 폐허 속에서 아이들은 여전히 '자유'와 '협동'이라는 단어를 배웁니다. 그것이 과거의 유산이든, 미래의 씨앗이든.

무너진 이상 위로, 현실이 묵직하게 내려앉은 땅입니다.
 개요  ·  정치  ·  법률
군정청 사령부


군정장관
푼살마깅 체하르덴

연방군 소장
군정사령관
존 리드 하지

연방군 중장




민정장관
이반 치스차코프

과도입법회
정치적 영향력
총력전
정당 색 당명 이념 영향력
카레트니코비아 공산당 정통공산주의 8%
자유인민평의회-BRA 사회주의 29%
카테르니코비아 사회당 향토사회주의 5%
과도입법회 좌파 사회자유주의 2%
과도입법회 자유파 고전적 자유주의 11%
과도입법회 보수파 연합보수주의 16%
카테르니코비아 인민당 향토보수주의 3%
루게레로 군벌 군벌 5%
카레트니코비아 애국전선 파시스트 포퓰리즘 18%
기타 - 3%
 개요  ·  정치  ·  법률
정치법
정당 종교의 권리 노동조합
다당제 다원론 비사회주의 노조 허용
이민 노예제 집회의 자유
국경 폐쇄 노예제 금지 집회 통제
언론의 자유 투표권 행사자 난민
언론 검열 등재된 사람 난민 금지
경제법
무역법 소득세법 최저임금
자유 무역 일률 과세 이름뿐인 최저임금
법적 노동시간 아동노동 연금 실업급여
긴 노동시간 아동 노동 제한 연금 없음 실업급여 없음
사회법
산업안전 의료보험 공해규제
최소한의 안전규정 기초 의료 지원 푀소한의 규제
교육 최고형 성소수자
공교육 사형제 비범죄화
젠더권리 소수민족 치안 인간 복제
성평등 평등권 도청 불법
사회발전
학문적 기반 연구시설 농사방식
중등교육 기반 임시 연구시설 원시적 영농
행정효율 산업지식 공업장비
결함있는 관료제 원시적인 산업 구식 공업장비


카레트니코비아는 레벨로 연방관구에 위치한 행성이다. 원래는 자치권을 보장받는 연방행성이었으나, 연방정부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진압되어 자치권을 몰수당했다. 현재는 연방군의 군정청이 통치 중이다.

행성의 명칭은 20세기 초 지구 우크라이나 지역의 무정부주의 운동가였던 세멘 카레트닉의 이름에서 따왔다.

역사

사회

정치

경제

문화

군사

자연

기타

둘러보기

각주

톰스크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에라피오스 행성
Planet of Eraphios
행성기 휘장
과학과 지식의 힘으로
Cum Vi Scientiae Et Cognitionis
행성가
행성화
행성목 월계수
역사
[ 펼치기 · 접기 ]
에라피오스 형성 약 45억 년 전
에라피오스 발견 1969년 7월 20일
찻 에라피오스 착륙 2060년 2월 1일
천체 특성
[ 펼치기 · 접기 ]
위치 우리 은하 오리온자리 나선팔
연방심도 분류 중간계
소속 행정구역
표면 구성 육지 27%, 수면 73%
둘레 km
자전 주기 24시간 (지구표준시간)
공전 주기 365.26일 (에라피오스 표준시간)[3]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27억 1천만 명
출산율 1.86명
공용어 지구 언어[4]
공용 문자 지구 문자
군대 연방군
에라피오스 행성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지방행정제도 연방 국가
주급 행정구역 37개 주
군급 행정구역 1282개 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공화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다당제, 문민통제
연방민주지수     불완전민주정
행성사무총장
(국가원수)
이오네스 프란체스쿠
국가
요인
행성사무부총장 하멘토 레위니다스
상원의장 제리 웨스트모어랜드
하원의장 야제프 바론카
행성법원장 루크멘 카심
지도부 입법부 에라피오스 행성의회
행정부 에라피오스 행성행정부
사법부 에라피오르 행성법원
집권 여당 사회혁신연구소
오언 재단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DP
1인당 ₮ (높음)
재정 세입
세출
위성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기년법 서력기원
에라피오스 책력
도량형 SI 단위
통행 방향 우측 통행
시간대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에라피오스 표준시
ㅊㄹㅈ
ㅊㄹㅈ - ㅊㄹㅈ

개요

 개요  ·  정치  ·  법률
파일:ㅊㄹㅈ (총력전).png

ㅊㄹㅈ
ㅊㄹㅈ

ㅊㄹㅈ
 개요  ·  정치  ·  법률
에라피오스 행정부
사무총장

이오네스 프란체스쿠

사회혁신연구소
사무부총장

하멘토 레위니다스

오언 재단
재무장관

세바스티앙 쇼메리아

사회혁신연구소
과학장관

골다 미유

오언 재단
학무장관

모한 지랄

사회혁신연구소
행성의회
총력전
정당 색 당명 이념 의석률
오언 재단 사회민주주의 19%
사회혁신연구소 사회자유주의 35%
자연권 학회 시장자유주의 29%
버크 연구소 자유시장 보수주의 17%
 개요  ·  정치  ·  법률
정치법
정당 종교의 권리 노동조합
다당제 다원론 비사회주의 노조 허용
이민 노예제 집회의 자유
이민 허용 노예제 금지 집회 허용
언론의 자유 투표권 행사자 난민
자유 언론 등재된 사람 전문적인 난민들만
군사정책
군 복무 여성 감찰
모병제 완전히 평등한 복무 교전규칙
훈련 인종통합 병역면제 군의 정치성
전문적인 훈련 군 내 인종통합 공무원 면제 완전한 문민통제
경제법
무역법 소득세법 최저임금
자유 무역 누진세 높은 최저임금
법적 노동시간 아동노동 연금 실업급여
보통 노동시간 아동 노동 금지 높은 연금 적당한 실업급여
사회법
산업안전 의료보험 공해규제
최소한의 안전규정 보편적 의료보함 적당한 규제
교육 최고형 성소수자
공공 고등교육 강제노동형 법적 보호
젠더권리 소수민족 치안 인간 복제
성평늩 평등권 경찰 불법
사회발전
학문적 기반 연구시설 농사방식
학문의 황금기 최첨단 연구시설 발전된 영농
행정효율 산업지식 공업장비
완벽한 관료제 획기적인 산업 최첨단 공업장비


에라피오스

역사

과테말라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루바란 행성
Planet of Luvaran
행성기 휘장
Libertatem et Felicitatem
자유와 번영
행성가
행성화
행성목 월계수
역사
[ 펼치기 · 접기 ]
루바란 형성 약 억 년 전
루바란 발견 년 월 일
첫 정착 년 월 일
연방 가입 년 월 일
천체 특성
[ 펼치기 · 접기 ]
위치 우리 은하 오리온자리 나선팔
연방심도 분류 변방계
소속 행정구역 헤네피르 연방관구 쿄탄 연방지구
행성형 지구형 행성
위성
표면 구성 육지 28%, 수면 72%
둘레 km
자전 주기 22시간 22분 (지구표준시간)
공전 주기 331일 (루바란 표준시간)[5]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수도 시우다데리카
최대 도시 레토마르카
인구 총 인구 7억 2천만 명
출산율 3.11명
공용어 지구 언어[6]
공용 문자 지구 문자
군대 연방군
루바란 행성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지방행정제도 단일 국가
1급 행정구역 28개 행성관구
2급 행정구역 585개 주
3급 행정구역 12733개 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민주공화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과두제
연방민주지수     혼합정
대통령
(국가원수)
가페르 멘데스
국가
요인
부통령 헤르만 킨젤
의회의장 그로코니 슈트람
법원장 미옹수 킴
지도부 입법부 루바란 행성의회
행정부 루바란 행성행정부
사법부 루바란 행성법원
집권 여당 국가발전당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GRDP
1인당
재정 세입
세출
위성채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 기년법 서력기원
루바란 책력
도량형 SI 단위
통행 방향 우측 통행
시간대 지구 그리니치 표준시
루바란 표준시
ㅊㄹㅈ
ㅊㄹㅈ - ㅊㄹㅈ

개요

 개요  ·  정치  ·  법률
파일:ㅊㄹㅈ (총력전).png

ㅊㄹㅈ
ㅊㄹㅈ

ㅊㄹㅈ
 개요  ·  정치  ·  법률
루바란 대통령위원회
대통령

가페르 멘데스

국가발전당
부통령

헤르만 킨젤

국가발전당
재무장관

오소리오 콜마치

무소속 (상공회의소)
내무장관

제닉스 피터슨

국가발전당
군무장관

오브라이언 메노니트

무소속 (군부)
정치적 영향력
총력전
정당 색 당명 이념 영향력
적기군 정통공산주의 9%
비제도권 노동운동 생디칼리슴 22%
사회민주노동당 사회민주주의 5%
새로운 희망 중도적 대중주의 15%
루바란 상공회의소 신자유주의 13%
인민동맹 가부장적 보수주의 2%
국가개발당 과두정 20%
루바란 군부 전제주의 12%
기타 정치세력 - 2%
 개요  ·  정치  ·  법률
정치법
정당 종교의 권리 노동조합
관제 야당 다원론 관제노조
이민 노예제 집회의 자유
이민 허용 노예제 금지 집회 통제
언론의 자유 투표권 행사자 난민
언론 검열 유산자만 입국심사제
경제법
무역법 소득세법 최저임금
자유 무역 저소득자 중심 이름뿐인 최저임금
법적 노동시간 아동노동 연금 실업급여
긴 노동시간 아동 노동 제한 낮은 연금 이름뿐인 실업급여
사회법
산업안전 의료보험 공해규제
최소한의 안전규정 기초 의료 지원 적당한 규제
교육 최고형 성소수자
공교육 사형 불법화
젠더권리 소수민족 치안 인간 복제
여성 노동 대중 보호 보안 기관 불법
사회발전
학문적 기반 연구시설 농사방식
중등교육 기반 정치적 연구시설 대구모 기계화
행정효율 산업지식 공업장비
적당한 관료제 관료제 경험 있는 산업 공업단지


루바란연방변방계에 있는 행성이다. 행정구역 상으로는 헤네피르 연방관구 쿄탄 연방지구에 속해있다.

역사

행정구역

사회

문화

경제

정치

외교

군사

각주

  1. 카레트니코비아 연방군정청 설립과 함께 폐지됨
  2. 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
  3. 지구 표준시간으로는 약 365.26일
  4. 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
  5. 지구 표준시간으로는 약 308.5일
  6. Earthian languages /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약 7천 개 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