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demaro Ligioni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Valdemaro Ligioni (토론 | 기여) |
||
122번째 줄: | 122번째 줄: | ||
== 정치 == | == 정치 == | ||
== 상원 상임관료회 == | == 상원 상임관료회 == | ||
=== 상임관료회 국무경 ===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11f46; width: 100%; text-align: center" | |||
| style="color: #fff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0deg, #000080 0%, #000080 20%, #000080 80% , #000080);" | '''[[파일:영남국무경약장 흰색.png|75px]] <br>영남 국민 정부 상임관료회 국무경''' | |||
|- | |||
| colspan="1"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40deg, #000080 0%, #000080 20%, #000080 80% , #000080);" | | |||
<div class="mw-customtoggle-countrymakeworld"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transparent; color:#ffffff;"><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countrymakeworld"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강용석|{{글씨 색|#000000|강용석}}]]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리언평|{{글씨 색|#000000|리언평}}]]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이희순|{{글씨 색|#000000|왕호}}]]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박을류|{{글씨 색|#000000|박을류}}]]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길현일|{{글씨 색|#000000|길현일}}]]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임진목|{{글씨 색|#000000|임진목}}]]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황보일|{{글씨 색|#000000|황보일}}]]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송민욱|{{글씨 색|#000000|송민욱}}]]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width="25%" style="background:#000080; color:#fff;" | | |||
|-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유길빈|{{글씨 색|#000000|유길빈}}]]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선우공석|{{글씨 색|#000000|선우공석}}]]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한공|{{글씨 색|#000000|한공}}]] | |||
| width="25%" style="background:#fff; color:black;" |[[리순|{{글씨 색|#000000|리순}}]] | |||
|- | |||
| colspan="100" | | |||
{| class="wikitable" style="color: #000; margin: -5.5px -10px; text-align: center; width: calc(100% + 20px);" | |||
|- | |||
|} | |||
|- | |||
|} | |||
|} | |||
=== 상임관료회 의석 === | |||
== 하원 관민공동회 == | == 하원 관민공동회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080; font-size:10pt;width:90%"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0080; font-size:10pt;width:90%" |
2021년 10월 4일 (월) 15:03 판
![]() | ||||||||||||||||||||||||||||||||||||||||||||||||||||
[ 펼치기 · 접기 ]
|
嶺南 大韓 國民 政府 Yeongnam Korean People's Government | ||||||||||||||||||||||||
![]() |
파일:영남 천마장.png | |||||||||||||||||||||||
---|---|---|---|---|---|---|---|---|---|---|---|---|---|---|---|---|---|---|---|---|---|---|---|---|
국기 | 국장 | |||||||||||||||||||||||
大韓奉守 爲民俱贊 대한봉수 위민구찬[1] | ||||||||||||||||||||||||
상징 | ||||||||||||||||||||||||
국가 | 찬가 | |||||||||||||||||||||||
원앙 | ||||||||||||||||||||||||
할미꽃 | ||||||||||||||||||||||||
천마 | ||||||||||||||||||||||||
역사 | ||||||||||||||||||||||||
[ 펼치기 · 접기 ]
| ||||||||||||||||||||||||
지리 | ||||||||||||||||||||||||
[ 펼치기 · 접기 ]
| ||||||||||||||||||||||||
인문환경 | ||||||||||||||||||||||||
[ 펼치기 · 접기 ] | ||||||||||||||||||||||||
하위 행정구역 | ||||||||||||||||||||||||
[ 펼치기 · 접기 ] | ||||||||||||||||||||||||
정치 | ||||||||||||||||||||||||
[ 펼치기 · 접기 ] | ||||||||||||||||||||||||
경제 | ||||||||||||||||||||||||
[ 펼치기 · 접기 ]
| ||||||||||||||||||||||||
단위 | ||||||||||||||||||||||||
[ 펼치기 · 접기 ]
| ||||||||||||||||||||||||
ccTLD | ||||||||||||||||||||||||
.yk | ||||||||||||||||||||||||
국가 코드 | ||||||||||||||||||||||||
YK, YKG | ||||||||||||||||||||||||
전화 코드 | ||||||||||||||||||||||||
+07 |
영남의 자랑거리 |
---|
지리산 천왕봉, 낙동강 경천대, 양산 통도사, 밀양 촉석루, 월성 첨성대 |
개요
영남 대한 국민 정부(한자:嶺南 大韓 國民 政府) (영어:Yeongnam Korean People's Government)는 한반도의 영남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대한국가연방의 구성국이다.
국가상징
국기•국장
![]() |
|
---|---|
나라깃발(국기) | 나라도장(국장) |
국가
![]() |
---|
국가 조국의찬가(祖國之歌) |
역사
1945년 8월 15일, 일본제국이 패망하고 광복함에 따라서 영남에 미군이 들이닥쳤다. 당시 영남은 사상적으로 분열되어 있었는데, 우리민족을 중심으로 뭉친 근왕당은 대연국의 왕을 우리도 추대하여 전통질서에 편입되고자 하였고 이에 반하는 민족의식을 벗어나 세계적인 공산•사회주의 질서에 편입되고자 한 공산당은 광복 초반부터 첨예하게 대립하였다.
1947년 1월 7일, 영남 평의회 정부가 수립되어 근왕당과 공산당은 연정을 시작하게 된다, 당시 강원과 호남 지역에서 여러 한인정부가 세워지는것을 본 영남인들은 일단 건국준비를 서둘렀고, 건국의 목표를 달성한 후 공민내전발발 1947년 11월 2일 까지 10개월동안의 연정동안 거의 매일 평의회에서 회의가 열렸지만 10개월동안 통과된 법안은 20개가 되지 못하였고, 행정명령도 50개정도에 그쳤다.
공민내전
공화정의 폐지
달구벌의 난
만민공동회 개최
대한 국민 정부 수립
지리
행정구역
영남 대한 국민 정부 행정구역 | |||||
---|---|---|---|---|---|
지도 | 기호 | 명칭 | 중앙서 | ||
★ | 수경도읍관 낙양 首京都邑官 洛陽 |
낙양 洛陽 | |||
≛ | 웅도거읍 월성 雄都巨邑 月城 |
월성 月城 | |||
≛ | 국진울포 동뫼 國津珍浦 東山 |
동뫼 東山 | |||
≛ | 산중호걸 달구 山中豪傑 達句 |
달구 達句 | |||
유민소지[4] 維民所止[5] | |||||
1 문경서 | 2 예천서 | 3 영주서 | |||
4 봉화서 | 5 안동서 | 6 영양서 | |||
7 의성서 | 8 청송서 | 9 영덕서 | |||
10 구미서 | 11 군위서 | 12 영천서 | |||
13 통양서 | 14 김천서 | 15 성주서 | |||
16 칠곡서 | 17 경산서 | 18 거창서 | 19 합천서 | ||
20 고령서 | 21 창녕서 | 22 청도서 | 23 밀양서 | ||
24 울산서 | 25 함양서 | 26 산청서 | 27 진주서 | ||
28 의령서 | 29 함안서 | 30 북창서 | 31 김해서 | ||
32 밀양서 | 33 기장서 | 34 하동서 | 35 사천서 | ||
36 고성서 | 37 서창서 | 38 동창서 | 39 남해서 | ||
40 거제서 | 41 통영서 | 42 우릉서 | 43 석도서 | ||
44 장기서 | 45 대마서[6] |
사회•문화
정치
상원 상임관료회
상임관료회 국무경
![]() 영남 국민 정부 상임관료회 국무경 |
[ 펼치기 · 접기 ] |
상임관료회 의석
하원 관민공동회
당명 및 당수 | 이념 | 스펙트럼 | 의석 | 기타 | |
---|---|---|---|---|---|
![]() |
이밀호(李謐浩) | 근왕주의, 사회민주주의, 사회보수주의 | 중도 우익 ~ 우익 | 71석 | 여당, 달구벌-근인회 연정 |
근왕인민회의 | |||||
![]() |
강총(剛聰) | 민주사회주의, 민중민주주의, 입헌군주주의, 민권주의 | 좌익~극좌 | 41석 | 제1 야당 |
공화노동연맹 | |||||
![]() |
대주스님 안임서 (大柱僧 安恁書) |
불교우선주의, 호국불교, 일심사상 | 보수 | 11석 | 공동 제2야당 |
금강산화공덕회 | |||||
![]() |
언수 공석주(言倕 孔石晝) | 이기일원론, 자유보수주의, 애국주의 | 보수 | 11석 | 공동 제2야당 |
율곡유군자당 | |||||
![]() |
박진(朴眞) | 생태주의, 환경정의, 평등주의, 풀뿌리 민주주의 | 중도~진보 | 7석 | 제3 야당 |
강호지락단 | |||||
![]() |
흠진태(欠疹台) | 보수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반공주의, 민주주의 | 중도~보수 | 3석 | 제4 야당, 달구벌-근인회 연정 |
달구벌자유당 | |||||
![]() |
장산국(萇山局) | 지역주의, 자유시장추구 | 중도~보수 | 1석 | 기타 지역정당 |
동래권익협의회 |
근왕파
영남 대한 국민 정부는 대연국의 국왕을 수호하려는 보수적인 가치관을 지니고 있다. 제2당에 해당하는 공화로동련맹도 좌익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지만 "작은 왕, 큰 공화정부" 를 주장하며 국왕의 존재를 인정하는 주장을 당론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공산당은 국가보안법에 의해 불법으로 간주되지만 국왕의 존립 인정여부에 따라서 국가보안위협의 여부가 결정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