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아연맹: 두 판 사이의 차이

184번째 줄: 184번째 줄:
=== 일본의 가입 문제 ===
=== 일본의 가입 문제 ===
===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
===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
== 조직 ==
* [[범아연맹 의회]]
** [[범아정상회의]]
** 범아연맹 총의회
** 범아연맹 평의회
* [[범아연맹 내무조정위원회]]
* [[범아연맹 재정위원회]]
* [[범아연맹 사법재판위원회]]
* [[범아연맹 외교국방위원회]]
** [[범아연맹군]]


== 한계 ==
== 한계 ==

2021년 10월 10일 (일) 23:54 판

범아연맹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범아연맹
汎亞然盟 | Pan-asian Confederation

[ 언어별 명칭 펼치기 · 접기 ]
한국-개마어 범아연맹
만몽어 ᠪᠠᠨᠠᠰᡳᠠᠨ ᠴᠣᠨ
위구르어 اتحاد عموم آسيا
티베트어 ཀཅཏཔཙ ཞརཧ
일본어 汎亜然盟
영어 Pan-asian Confederation
중국어 汎亞然盟 (번체자)
泛亚然盟 (간체자)
창설 1994년 9월 1일
본부 몽골인민공화국 에르데네트
정부 형태 국가 연합
인구 200,056,100명 (2020)
면적 6,624,216.45km2
인구 밀도 30.20명 / km2 (2020)
조약 울란바토르 조약 (1994년 8월 31일)
치치하르 조약 (2005년 12월 7일)
정치 의장 단스란비레긴 아마르
부의장 박진호
GDP
(명목)
$4,932,809,790,000 (세계 4위, 2020)
1인당 $24,657 (세계 36위, 2020)
구성 회원국 6개국
옵저버 일본국
색깔 빨간색 (#CC043C) 노란색 (#CCBA63)
ccTLD .pa

개요

범아연맹의 영역

1994년 구공산권 국가였던 개마, 동투르키스탄, 몽골, 만주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소련 그리고 미국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자주권을 지키고 동아시아 내 패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한 국가 연맹이다. 티베트가 연맹 결성 멤버로 참여하였으며 몇년 후 대한민국이 가입하여 현재에 이른다.

역사

영향력

미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다음으로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인구는 총 2억명으로 나이지리아에 이은 세계 8위에 해당된다.

정치

기구

의회

의회는 총의회와 평의회로 나뉘어진다. 각 국가간 인구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2개의 의회는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의원을 선출하는데, 총의회는 각 국가당 25명을 선출하며 평의회는 인구비례에 맞게 의원을 뽑는다. 이는 미국 연방의회를 모방한 것이다. 선출 방식은 두 의회 모두 정당 비례대표로 동일하다. 총의회는 총 155석[1], 평의회는 총 685석[2]으로 구성된다.

각 국가의 정당은 총의회 및 평의회에서도 똑같이 활동하나 국가가 6개고 당연히 원내정당 수도 그에 비례해 많을 수 밖에 없으므로 성향이 비슷한 정당끼리 원내 교섭단체를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교섭단체로는 동아시아 보수당[3], 아시아사회당[4], 범아자유연합[5] 등이 존재한다. 또한 범아회의론을 주장하는 정당들끼리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회원국

회원국 가입 체제 수도 인구수 총 GDP (명목) 1인당 GDP
개마공화국 1994년 9월 1일 공화제, 의원내각제 청진 45,059,700명 $788,544,750,000 $17,500
만주연방공화국 1994년 9월 1일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하르빈 51,494,100명 $782,710,320,000 $15,200
대한민국 2000년 1월 1일 공화제, 의원내각제 서울 68,348,200명 $2,706,588,720,000 $39,600
몽골인민공화국 1994년 9월 1일 공화제, 이원집정부제 울란바토르 3,718,000명 $33,090,200,000 $14,900
티베트 왕국 1994년 9월 1일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라싸 4,503,800명 $56,297,500,000 $12,500
동투르키스탄 민주공화국 1994년 9월 1일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위륌치 26,932,300명 $565,578,300,000 $21,000

일본의 가입 문제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한계

지리학적인 문제

각 국가들이 너무 길게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지리학적인 문제가 상당하다. 가령 몽골이 연맹에서 탈퇴하기라고 한다면 동투르키스탄과 티베트는 졸지에 개마, 만주, 한국에서 떨어진 섬이 되어버린다. 몽골 뿐 아니라, 한국과 티베트를 제외한 어느 나라라도 동아연맹을 탈퇴할 시 국경이 단절된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몸통에 해당하는 몽골 등의 국가는 상대적으로 경제적 지원, 정치적 혜택을 입기 쉬운 반면 꼬리에 해당하는 티베트는 한국, 개마, 만주로부터 멀어서 부족한 도움만을 받는 처지이기에, 연맹에서 탈퇴하자는 여론이 상당하다.[6]

언어 사용에서의 비효율성

그나마 EU는 그리스등 몇 나라를 제외하면 전부 라틴 문자를 쓰고 있고, 언어도 헝가리어와 핀란드어를 제외하면 전부 인도유럽어족 계통인지라 어느정도 말이 통하지만, 범아연맹의 회원국들은 전부 사용 언어의 차이가 천차만별이고 문자도 각자 달라서 소통이 불편하다. 개마어와 한국어가 비슷하고 만주어와 몽골어는 비슷하지만 나머지 언어들은 매우 다르다. 현재 범아연맹은 티베트어, 만몽어, 한국-개마어, 위구르어 총 4개 언어를 공식 국어로, 일본어를 제1외국어로 삼고있는데, 언어간의 괴리는 둘째치더라도 사용 문자가 각각 티베트 문자, 만주 문자, 한글, 아랍 문자, 한자/가나로 전부 달라서 번역은 물론 기본적인 뜻 파악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연맹 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한국-개마어를 공용어로 삼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다른 국가들, 특히 만주가 크게 반발하여 무산된 바 있다. 그래서 지금은 임시적으로 영어를 어쩔 수 없이 연맹 기구 내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동아시아 특유의 민족주의로 인한 권한 약화

경제 격차와 특정 국가로의 쏠림 문제

회원국중 유이하게[7] 공산독재를 겪지 않은 대한민국으로의 정치/경제/문화적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비판이 있다. 단적으로 대한민국의 인구는 7천만에 육박해 연맹 내에서 가장 많고, 명목 GDP는 다른 모든 회원국의 GDP를 합친것보다도 크다. 이 외에는 전반적으로 동부 3국(만주, 개마, 한국)이 발전되어있는 반면 서부 3국(몽골, 동투르키스탄, 티베트)가 경제적으로 낙후되어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몽골, 동투르키스탄, 티베트의 경제를 책임져야할 유능한 젊은 지식인들이 전부 대한민국으로 빠져나가고 있어 해당 3개 국가의 불만이 무척 크다.

또다른 문제는 정치적 영향력 문제이다. 대한민국은 가장 많은 연맹 평의원을 배출하는 국가이고 경제적인 영향력이 상당한만큼, 범아연맹을 사실상 자국의 꼭두각시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실제로 시리아 내전 당시 이슬람교 신자가 많은 동투르키스탄은 연맹군 파병을 반대했고 만주, 티베트 정부도 반대했으나 대한민국의 밀어붙이기식 행보로 인해 연맹군이 파병된 전력이 있다.

"동아시아 신패권주의"라는 비판

각 회원국의 진보주의자들은 범아연맹은 중국, 중공, 소련, 미국의 패권으로부터 자주권을 지키기 위한 연맹이지만 말이 자주권 수호지 실상은 패권 연합일 뿐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은 2011년 범아연맹의 시리아 내전 파병으로 인해 더욱 거세졌다. 범아연맹의 창설에 가장 강하게 반발했던 아시아의 공산주의자들은 범아연맹을 "제국주의" 단체라고 비난하며 "평화와 자주라는 사탕발림으로 또다른 패권을 형성하려는 제국주의의 망령"이라고 비난한다.

범아회의론

여담

  1. 일본은 옵저버 회원으로서 15명을 보내지만 표결권 없이 발언권만 있는 옵저버 의원이다.
  2. 마찬가지로 일본 몫의 의원 35명은 발언권만 있다.
  3. 보수주의 중도우파~우파
  4. 사회민주주의 중도좌파
  5. 사회자유주의 중도우파~중도좌파
  6. 2020년 7월 기준 시민의 42.5%가 탈퇴를, 45.7%가 잔류를 찬성하고 있다. 참고로 한국은 탈퇴 18.1%, 잔류 73.3%.
  7. 나머지 하나는 티베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