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개대로 (도시 프로젝트):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fff; max-width: 340px; width: 340px; float: center" ! colspan="3" style="width: 340px; background-color:#004a8b; color: #fff" | <big>'''...)
 
편집 요약 없음
30번째 줄: 30번째 줄:
| colspan="3"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0047a0;" | '''개통'''  
| colspan="3"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0047a0;" | '''개통'''  
|-
|-
| colspan="3" align=center |[[1973년]] [[1월 1일]]
| colspan="3" align=center |[[1977년]] [[1월 1일]]
|-
|-
| colspan="3"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0047a0;" | '''주요 경유지'''  
| colspan="3" align=center style="color: #FFF; background: #0047a0;" | '''주요 경유지'''  
40번째 줄: 40번째 줄:
==개요==
==개요==
경개대로는 대한민국의 고속화도로로, 전 구간이 [[1번 국도 (도시 프로젝트)|1번 국도]]에 속해 있다.
경개대로는 대한민국의 고속화도로로, 전 구간이 [[1번 국도 (도시 프로젝트)|1번 국도]]에 속해 있다.
==역사==
과거 [[개성부 (도시 프로젝트)|개성시]]는 개성을 중심으로 방사형 도시계획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그 계획의 일환 중 하나이다. 이 도로는 개성과 서울을 이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1969년에 본격적으로 착공해 국비와 시비가 투입되었으며, 1977년에 개통하지만 [[은평IC (도시 프로젝트)|은평]]-[[진관북한산IC (도시 프로젝트)|진관북한산]] 구간은 보상 문제로 장기계획으로 남겨둔 채 왕복 4차로로 불완전 개통하게 되었다.
개통 이후 [[경의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경의고속도로]]의 대체도로로 각광받으면서 교통량이 증가, 1987년에는 왕복 4차로였던 도로를 교통량 증가로 왕복 6차로로 확장했다.
1993년에는 [[경의고속도로 (도시 프로젝트)|경의고속도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노고산 구간인 연결도로를 개통하게 된다.
이후 2002년 서울특별시의 은평뉴타운 사업으로 25년 이상 착공하지 못하고 있던 은평-진관북한산 구간을 왕복 12차로로 착공하였으며, 추석연휴 직전이었던 2008년 9월 12일에 개통하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왕복 6차로였던 진관북한산-남장단 구간을 10차로로 확장하는 공사에 들어가 은평-진관북한산 구간 개통과 동시에 완공되었다.
2017년 1월 1일자로 통행료 징수 기간이었던 40년이 지나 해당 구간의 통행료는 폐지되었다.<ref>폐지 이전에는 대자TG와 파주TG가 존재했었다.</ref>


[[분류:1번 국도 (도시 프로젝트)]]
[[분류:1번 국도 (도시 프로젝트)]]

2021년 12월 4일 (토) 00:59 판

경개대로
京開大路
Seoul-Gaeseong daero
목포 방면
경기북부대로
← n km

1번 국도
신의주 방면
중앙대로
n km →
천안 방면
자유로
← n km
파일:23번 지방도.png
23번 지방도
평산 방면
경기북부대로
n km →
노선 번호
1번 국도
23번 지방도
기점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은평IC
종점
경기도 장단시 남구 개성부계
관리기관
개통
1977년 1월 1일
주요 경유지
은평IC노고산JC문산IC남장단JC

개요

경개대로는 대한민국의 고속화도로로, 전 구간이 1번 국도에 속해 있다.

역사

과거 개성시는 개성을 중심으로 방사형 도시계획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그 계획의 일환 중 하나이다. 이 도로는 개성과 서울을 이을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1969년에 본격적으로 착공해 국비와 시비가 투입되었으며, 1977년에 개통하지만 은평-진관북한산 구간은 보상 문제로 장기계획으로 남겨둔 채 왕복 4차로로 불완전 개통하게 되었다.

개통 이후 경의고속도로의 대체도로로 각광받으면서 교통량이 증가, 1987년에는 왕복 4차로였던 도로를 교통량 증가로 왕복 6차로로 확장했다.

1993년에는 경의고속도로와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노고산 구간인 연결도로를 개통하게 된다.

이후 2002년 서울특별시의 은평뉴타운 사업으로 25년 이상 착공하지 못하고 있던 은평-진관북한산 구간을 왕복 12차로로 착공하였으며, 추석연휴 직전이었던 2008년 9월 12일에 개통하게 된다. 한편 이와 동시에 왕복 6차로였던 진관북한산-남장단 구간을 10차로로 확장하는 공사에 들어가 은평-진관북한산 구간 개통과 동시에 완공되었다.

2017년 1월 1일자로 통행료 징수 기간이었던 40년이 지나 해당 구간의 통행료는 폐지되었다.[1]

  1. 폐지 이전에는 대자TG와 파주TG가 존재했었다.